참고문헌
- Umeda, M., & Kawakami, N.(2012). Association of childhood family environments with the risk of social withdrawal ('hikikomori') in the community population in Japan.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66(2): 121-129. https://doi.org/10.1111/j.1440-1819.2011.02292.x
- 이소연(2020). 스마트폰과 물아일체, 새로운 소비 권력 된 신인류 '포노 사피엔스'. 이코노미조선, 2020. 11. 29.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1/26/2020112601597.html
- 김종민(2020). 대학생 58.8% '나 혼자 산다', 한 달 생활비 평균 61만원. 뉴시스, 2020.2.28.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228_0000935617&cID=13001&pID=13000
- 김현정(2015). 대학생 시민의식 '최하위'... "나만 잘되면 돼". 머니투데이, 2015. 1. 23.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5012218418520783&outlink=1&ref=https%3A%2F%2Fsearch.daum.net
- 김귀환, 어흥선, 나직균, 김철진, 문제영(20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3판). 서울: 정민사.
- 오민아, 조혜영(2017).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및 우울과 공동체 의식 간의 종단적 관계 연구: 성취가치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1): 125-137. https://doi.org/10.7466/JKHMA.2017.35.1.125
- 장수빈(2019).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삶의 목표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6(2): 107-139.
- 윤영, 백아롱(2021). 고등학생의 자기관리역량과 공동체역량 관계에 대인관계 및 배려의 매개효과 검증: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8(6): 261-288.
- Tian, Y., Qin, N., Cao, S., & Gao, F.(2021). Reciprocal associations between shyness, self-esteem, loneliness,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in Chinese adolescents. Addiction Research and Theory, 29(2): 98-110. https://doi.org/10.1080/16066359.2020.1755657
- 박예슬, 이지혜(2019). 부모의 방임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40(3): 13-26.
- 정일영(2019a). 또래애착이 대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62: 77-105.
- 박형빈(2016).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석기, 하문선(2017).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과 휴대전화 의존 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8(3): 269-293.
- Zimmer-Gembeck, M.J., Nesdale, D., Webb, H.J., Khatibi, M., & Downey, G.(2016). A Longitudinal Rejection Sensitivity Model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Unique Roles of Anxiety, Anger, Blame, Withdrawal and Retributio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4(7): 1291-1307. https://doi.org/10.1007/s10802-016-0127-y
- 서수균(2011). 비합리적 신념과 공격성 사이에서 부적응적 인지전략과 대인관계양상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 901-919.
- 조정숙, 박경애(2021). 중학생이 지각한 부정적 부모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상담심리복지교육, 8(1): 25-40.
- 구자규, 선제구(2021). 수동 공격성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매개효과의 검증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34(3): 415-446.
- 조성휘, 가요한(2020). 기독교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 문제에서 전위 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31(4): 261-289.
- Enez Darcin, A., Kose, S., Noyan, C.O., Nurmedov, S., Yilmaz, O., & Dilbaz, N.(2016). Smartphone addi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anxiety and loneliness. Behaviour and Information Technology, 35(7): 520-525. https://doi.org/10.1080/0144929X.2016.1158319
- Jiang, Q., Li, Y., & Shypenka, V.(2018). Loneliness, Individualism,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China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1(11): 711-718. https://doi.org/10.1089/cyber.2018.0115
- 김규림, 황혜원(2020).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경험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9): 615-627. https://doi.org/10.5392/JKCA.2020.20.09.615
- 신윤정, 전주람(2020). 대학생의 그릿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공동체 의식의 이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 965-991.
- 김지영, 이혜경(2020). 휴대전화 의존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8(4): 273-279. https://doi.org/10.14400/JDC.2020.18.4.273
- 김선희, 김경연(1998).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 문제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155-166.
- 정계숙, 박희경(2019). 예비 특수교사의 대인 관계 스트레스, 공동체의식 및 불안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2(3): 1-30.
- 방성아, 박희서(2018). 사회적 위축과 우울감이 청소년 휴대전화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보학회논문지, 23(11): 203-209.
- 송인한, 권세원, 김성은(2014).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 용도와 사회적 위축간의 관계에서 휴대전화 의존도가 가지는 매개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21(8): 185-211.
- 정일영(2019b). 사회적 위축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휴대전화 중독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13(3): 232-264.
- 구미령, 유진은(2021). 분할함수 성장모형을 이용한 아동.청소년기 공동체 의식의 변화와 영향요인 탐색. 교육학연구, 59(2): 361-386.
- 민정식(2017).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이 공동체 의식 및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실재감과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1): 153-164.
- Bowker, J. C., Markovic, A., Cogswell, A., & Raja, R.(2012). Moderating Effects of Aggression on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Withdrawal Subtypes and Peer Difficulties During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1(8): 995-1007. https://doi.org/10.1007/s10964-011-9712-0
- 김민서, 전수영, 조연수, 전훈정(2018). 비행 경험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1(1): 1-9. https://doi.org/10.15434/KSSH.2018.31.1.1
- 정일영(2019c). 부모 학대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56: 103-130.
- Calkins, S.D., & Fox, N.A.(2002). Self-regulatory processes in early personality development: A multilevel approach to the study of childhood social withdrawal and aggress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4(3): 477-498. https://doi.org/10.1017/S095457940200305X
- 이원식(2018). 대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8(3): 75-108. https://doi.org/10.15709/HSWR.2018.38.3.75
- 김진구(2017). 초기 청소년기의 또래네트워크가 공격성의 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또래 공동체 의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4(3): 331-347.
- 김진구, 박종효(2015). 초등학생의 공격성이 사회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23(4): 207-231.
- 박우람, 홍상황(2015).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 적대감,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26(2): 285-302.
- 위유라, 노충래(2014).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6(2): 203-227.
- 권혜원(2003). 중학생의 민주 시민 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시형, 김학수, 나은영(2002).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연구보고서.
- 조붕환, 임경희(2003). 아동의 정서, 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29-746.
- 양은석(2012). 지방대 대학생의 게임중독성향과 스포츠몰입 및 대학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6(4): 93-102.
- 김순이(2018). 간호대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1): 253-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