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nvironmental Analysis for Discovering Specialized Local Sports Tourism

지역 특화 스포츠관광 발굴을 위한 환경 분석

  • Yang, Eun-Seok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Sports Science Institute), Hallym University) ;
  • Choi, Kyoung-Ho (Sports Science Institute, Hallym University)
  • 양은석 (한림대학교 체육학과(체육과학연구소)) ;
  • 최경호 (한림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 Received : 2021.01.22
  • Accepted : 2021.10.25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This is an environmental analysis study for discovering specialized local sports tourism and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ports tourism industry in the Chuncheon region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overseas sports tourism and presenting overseas cases of specialized regional sports tourism. Therefore, through SWOT analysis and secondary data surve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ccording to facilities, programs, and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were derived. Sports tourism contributes to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by converging with local tourism centering on sports participation or viewing. Thus, it must be organized with differentiated products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 investigation of the main components of domestic and overseas sports tourism shows that mega sports events or specialized local leisure sports are connected to tourism resources for commercialization. In Korea, 3 to 4 local areas are discovered and supported annually through the specialized local sports tourism promotion program. This study suggests a development plan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Chuncheon Spo-Tour program. In terms of facilit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ccommodation facilities that harmoniz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develop new programs connected to Songam Sports Town, and reinforce existing equipment. In terms of program, it is necessary to develop canoe/kayak water courses utilizing Uiam-Lake, train professionals to operate programs, and develop program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seas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level of each participants. In terms of PR/marketing, it is important to build competitiveness by using ICT, improving public awareness of the sites, and adopting reasonable pricing policies.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local sports tourism products through remedies and efforts will contribute to 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본 연구는 지역 특화 스포츠관광 발굴을 위한 환경 분석으로 국내·외 스포츠관광 현황 분석과 해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춘천 지역의 스포츠관광 산업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SWOT 분석과 2차 자료조사를 통해 시설과 프로그램, 그리고 마케팅 부분에 따른 발전방안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스포츠관광은 스포츠 참여나 관람을 중심으로 지역의 관광과 융합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때문에 해당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상품으로 구성해야 한다. 국내·외 스포츠관광에서 중심이 되는 것을 찾아보면 메가 스포츠이벤트나 지역 특화 레저스포츠를 관광 자원과 연계하여 상품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국내에서도 지역 특화 스포츠관광 육성사업을 통해 매년 3~4개 지역을 발굴하여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춘천 스포투어 프로그램의 성과에 대한 평가와 분석을 통해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설 부분에서는 자연환경과 어우러지는 숙박시설의 구축과 송암스포츠타운 연계 프로그램 개발, 장비의 보강이 이뤄져야 한다. 프로그램 부분에서는 의암호를 활용한 카누와 카약의 물길 코스 개발, 프로그램 운영 전문인력 양성, 참여 대상별 수준, 계절별 특색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 마케팅 부분에서는 ICT 활용과 장소의 인지도 상승 노력, 합리적인 가격 정책을 통해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이와 같은 보완과 노력으로 지역에 특화된 스포츠관광 상품으로 발전시킨다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한림대학교 교비 학술연구비(HRF--202006-005)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김민수, 서원재, 한승진(2018). 지역스포츠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6(4): 149-164.
  2. 문화체육관광부(2013). 스포츠관광 콘텐츠확충 및 모델개발.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3. 한국관광공사(2011). 스포츠관광 마케팅 활성화 연구. 원주: 한국관광공사.
  4. 김태동, 최경호(2018). 올림픽 경기장 사후 활용을 통한 스포츠관광 활성화 방안.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2(8): 201-216.
  5. 고경진, 김민수(2018). 지역 스포츠산업 육성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언.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2: 171-181.
  6.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8). 2016년 기준 문화체육관광산업통계. 서울: 문화관광연구원.
  7. 문화체육관광부(2017). 2017스포츠산업실태조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8. 곽한병(2002). 가치와 여가유형간의 영향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4(6): 3-10.
  9. 석혁기(2002), 스포츠 이벤트 관광 활성화를 통한 스포츠 산업의 전망. 한국체육과학회지, 11(2): 357-367.
  10. 정희준, 신현균(2002). 지역문화자원으로서의 스포츠이벤트: 2002 부산아시안게임을 모델로 한 개발방안 연구. 체육과학연구, 13(3): 57-75.
  11. 강훈, 최종인(2003). 항공스포츠를 이용한 스포츠관광 프로그램개발 방안(서산, 태안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리서치, 14(5): 1238-1252.
  12. 이동헌, 김홍식(2003), 스포츠 관광 활성화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4(5): 423-436.
  13. 조충현, 김홍식, 박은석, 강성찬, 이동헌(2003). 스포츠 관광 활성화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체육과학연구, 26(1): 31-42.
  14. 김희중, 김정완(2002). 해양스포츠 이벤트가 지역경제변동에 미친 영향: 거제시의 「바다로 세계로」. 경남체육연구, 7(2): 49-67.
  15. 박봉률, 강진홍(2001). 해양스포츠 활성화 방안 연구: 거제시의 「바다로 세계로」 프로그램 중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6(2): 315-332.
  16. 백광, 남동현(2000). 부산 해양스포츠 마케팅 전략 방안. 한국체육과학회지, 9(1): 357-365.
  17. 신영균, 조재기, 손명준(2003). 해양 레저스포츠 관광상품화 개발을 위한 대학과 지방자치 단체간의 커뮤니케이션 모형개발(I). 한국스포츠리서치, 14(6): 1149-1167.
  18. 양명환(2002). 윈드서핑 레저스포츠의 만족도 분석. 경남체육연구, 7(1): 25-39.
  19. 지삼업(2002). 관광 어항어촌과 해양스포츠. 어항어장, 59: 28-33.
  20. 남중웅, 석강훈(2008). 스포츠관광객의 라이프스 타일을 통한 지각된 가치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3(2): 1-13.
  21. 이지환, 안민주(2009). 스포츠 관광의 인지된 가치가 고객만족, 재참가 의도 및 전환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8(1): 149-158.
  22. 김민철, 백승헌(2016). 스포츠관광 체험상품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장기지향성, 추천의도의 관계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5: 111-125.
  23. 조태영, 조태수(2009). 스포츠관광을 위한 펜션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8(2): 223-232.
  24. 안정찬, 김도균, 한진욱(2013). 리스크 레크리에이션 모델 실증을 통한 모험.레저스포츠관광상품 개발 전략연구: 리버버깅 사례를중심으로.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8(2): 39-57.
  25. 이건희(2010). 스포츠 이벤트와 연계한 지역 사회 레저스포츠관광 상품 개발.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1(1): 29-38.
  26. 이미혜(2005). 스포츠관광상품개발에 관한 연구. 논문집, 49: 375-395.
  27. 김낙중(2005). 스포츠관광 상품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8. 구강본(2006). 스포츠관광학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체육철학학회지, 14(4): 271-283.
  29. 김동건(2014). 스포츠관광 참가요인 조사도구 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30. 정영남(2013). 수상레저안전법 쟁점사항 고찰을 통한 개정방안 모색. 한국체육학회지, 52(6): 373-385.
  31. 김관진, 이광수, 김건도(2010). 글로벌 스포츠 관광론. 서울: 대경북스.
  32. Lisa daly(1998). An overview of sport tourism: Building toward a framework, journal of vacation marketing.
  33. 체육인재육성재단(2009). 스포츠관광 이론. 서울: 레인보우북스.
  34. 이주형, 이재곤, 이재섭(2006). 관광과 스포츠. 서울: 대왕사.
  35. 김철우(2004). 스포츠관광의 참가동기, 관광지 속성평가가 재참가 및 전환 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36. 한철언(2001). 21C 스포츠관광. 서울: 백산.
  37. 한국관광공사(2013).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축제활용 신규 정책사업 발굴.
  38. Standeven, Joy., De knop, Paul.(1999). Sport Tourism. Champaign. Human Kinetics.
  39. Gibson, H.(1999). Sport Tourism: The rules of the game. Parks & Recreation, 34(6): 36-43.
  40. 위장량(2011). 스포츠이벤트 개최에 따른 스포츠관광 활성화 사례. 한국스포츠산업협회, 2011스포츠산업포럼.
  41. 백윤철, 김한양(2011). 일본 스포츠 진흥정책의 시사점.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35(2): 473-497.
  42. 유지윤(2004). 세계 주요국가 관광정책 동향 및 사례분석.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43.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2020). 6월 주재 국문화예술등동향보고(주캐나다한국문화원). http://www.kocis.go.kr/kocc/view.do?seq=1035332&page=10&pageSize=10&photoPageSize=6&totalCount=0&searchType=menu0150&searchText=&RN=
  44. 심원섭(2011). 해외 관광정책 추진사례와 향후 정책방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5. 김오성(2011).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스포츠 관광 선진화 방안. 강원대학교.
  46. 강원도민일보.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786107
  47. 춘천시(2016). 춘천시 융.복합 스포츠사업 발전 보고서.
  48. 평창효석문화제. http://www.hyoseok.com/
  49. 부석현(2006). 지역축제의 관광상품화 과정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 관광연구논총, 18: 77-89.
  50. 도란도란 문화놀이터. https://blog.naver.com/
  51. British Columbia Park. https://bcparks.ca/
  52. 김종성(2017). 스포츠관광 활성화와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3): 99-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