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arasports Activation Plan for Sports Welfare

스포츠복지를 위한 장애인체육 활성화 방안

  • Received : 2021.06.18
  • Accepted : 2021.07.27
  • Published : 2021.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sent state of disabled people participating fully in sports for all, analyze its legal, organizational, and policy status, and present a future direction for parasports in pursuit of better sports welfare.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obtaining the following results concerning a parasports activation plan.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large-scale, systematic public relations through associ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with the objectiv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disabled people participating fully in sports for all.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full revision of the Sport Promotion Act and establishment of a Parasports Promotion Act actively. Thorough preparation for legislation is most of all required to meet the realities and cope with temporal changes. Third,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ffective system through convergent governance of parasports and relevant ministry.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dual concepts of 'physical activity' and 'sports for all,' present a proper direction for policies, and implement efficient policies and project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participation by diverse expert groups in the development of parasports policies. This requires convergence of such elements as philosophy, rehabilitation, education, marketing, and laws in addition to sport ele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복지 향상을 위한 차원에서 장애인체육의 미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장애인체육의 생활체육 완전 실행자 현황, 법적, 조직적, 정책적 현주소의 분석을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얻은 장애인체육 활성화방안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생활체육 완전 실행자의 확대를 위해서는 정부 및 민간조직의 연계를 통한 대단위의 체계적인 홍보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국민체육진흥법의 전면 개정 및 장애인체육진흥법의 제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이는 현실에 부합하고 시대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먼저 철저하게 준비해야하는 법률 제정이 필요한 것이다. 셋째, 장애인체육 및 관련 정부부처의 융합적인 협치를 통한 효과적인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는 이원화된 '신체활동'과 '생활체육'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그에 따른 정책방향성을 제시하여 효율적인 정책 및 사업 등을 추진이 필요하다. 넷째, 장애인체육 정책개발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 집단의 참여를 강화한다. 이는 체육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철학, 재활, 교육, 마케팅, 법 등 요소가 융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翟帥帥(2016). 중국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2015). 스포츠복지 개념 및 정책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3. 김민준(2020). 국민인식조사를 통한 스포츠복지정책 운영방안.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성영혜, 이재연, 서영숙, 이소희(1997). 현대사회와 가족복지. 서울: 숙명여자대학교출판부. 33-34.
  5. 강유석(2013). 지적장애성인의 신체활동량과 건강체력, 신체조성, 혈압 및 혈당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1(4): 13-26.
  6. 이경훈, 김주영, 유재현(2020). 게임바이크를 이용한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 적용이 지적 장애인의 건강관련체력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탐색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2): 119-129.
  7. 김흥태, 김태동(2019).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강원도 스포츠복지 정책방향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8): 411-424.
  8. 문화체육관광부(2020). 2018 체육백서.
  9. 심승구(1999). 한국 특수체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 1999 한국사회체육학회.
  10. Rieder, H., Buttendorf, Th., Rolf. G. H.(1976). Sport Schriftenreich des Bundefuer Jugend. Familie und Gesndheit.
  11. Sherill, C., Pope, C., & Arnhold, R.(1986). Sport Socialization of blind athletes.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80: 740-744. https://doi.org/10.1177/0145482X8608000507
  12. Shephard, R.(1990). Fitness in special populations Champaign. IL: Human kinetics.
  13. Watkinson E. J.(1996). Ready and Willing. Presentation at the Fifth annul conference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nnipeg, Canada.
  14. Savoie, N.(1998). Goal Setting with a Motor Task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c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15. Reid, G.(1999). A Forgotten Dimension in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Individual with a Disability. In J.F. Grehaigne, N. Mahut, & D. Marchal(Eds.) What do People Learn from Physical Activity Programs Proceedings of L'association Internationale Ecoles des Superieures D'education Physique. IUFM de Franche-Comte.
  16. Reid, G.(2001). The Politics of Self-Determination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KOSAPE.
  17. Donovan, L.(2001). Providing the Opportunity for Self-Determinati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urvey. Master's Thesis in Progress. Mc Gill University, Montreal, Quebec, Canada.
  18. 조숙희(2020). 한국 특수체육사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김권일, 김인애(2019). 생애주기 및 장애정도별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7(3): 127-142.
  20. 노형규, 황상현(2014). 한국.미국.일본의 장애인체육 관련 법률적 기반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2(1): 25-38. https://doi.org/10.17006/KJAPA.2014.22.1.25
  21. 김태홍, 제갈윤석(2014). 우리나라 장애인 체육의 역사와 앞으로의 방향. 체육과학연구, 20: 39-47.
  22. 김미숙(2009). 독일장애인스포츠의 발달과정. 체육사학회지, 14(2): 125-136.
  23. 조창옥(2006). 한국장애인체육의 현황과 발전 방향 모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우주형(2006). 장애인체육의 법적 과제. 스포츠와 법, 10(1): 149-162.
  25. 장정웅(2004). 휠체어 장애인스포츠의 활성화 방안.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혜진, 김홍식(2018). 스포츠 정책과 복지국가체제에 관한 연구. 스포츠와 법, 21(2): 3-31.
  27. 노용구, 여경아, 권연택(2017). 스포츠복지의 개념정립과 모형 제안을 위한 이론적 고찰. 한국체육과학회지, 26(6): 35-48.
  28. 김종성, 이양구(2017). 생산적인 스포츠복지향상을 위한 델파이 조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3): 163-172.
  29. 한국스포츠개발원(2016). 북유럽(Nordic) 복지 선진국의 스포츠교류협력. September 4 글로벌스포츠프리즘, 1-42.
  30. 김상겸(2007). 스포츠권의 헌법적 보장과 스포츠기본법의 제정 필요성. 스포츠과학, 100: 22-27.
  31. 노기현(2012). 지속적인 스포츠문화 발전을 위한 스포츠기본법제정의 필요성: 2011년 일본의 스포츠기본법 제정의 의의와 한계를 중심으로. 법학논고, 40: 187-214.
  32. 대한장애인체육회. 생활체육이란. https://www.koreanpc.kr/. 2021.06.12.
  33. 문화체육관광부(2021). 2020년 장애인 생활체육 조사 결과보고서.
  34. 손석정, 백우열(2010). 우리나라 스포츠관계법정비 방안. 스포츠와 법, 13(4): 83-99.
  35. 최철호(2008). 국민체육진흥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스포츠와 법, 12(1): 37-64.
  36. 손석정(2014). 장애인체육진흥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2(4): 195-209.
  37. 대한장애인체육회(2018). 제3차 장애인체육발전 중장기계획 보고서.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38. 조재훈(2014). 장애인 재활체육의 딜레마와 생활체육과의 연계.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2(4): 75-86.
  39. 문화체육관광부(2018). 2017년 장애인생활체육 실태조사.
  40. 보건복지부(2013).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지침서.
  41. 이성모, 진주연(2020). 장애인생활체육실태조사: 생활체육의 개념과 정의 재정립의 필요성.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8(3): 25-35.
  42. 문화체육관광부(2019). 장애인체육진흥법 제정(안) 제안 요청서.
  43. 문화체육관광부. 연혁. https://www.mcst.go.kr/ 2021.06.12.
  44. 문화체육관광부. 조직. https://www.mcst.go.kr/ 2021.06.12.
  45. Australian Sports Commission.(1996). Our achievements Annual Report 1995/96.
  46. 최승권(2002). 법령과 장애인의 체육활동.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0(2): 115-125.
  47. 대한장애인체육회. 조직 및 업무분장. https://www.koreanpc.kr/ 2021.06.12.
  48. 대한장애인체육회(2021). 정관.
  49. 이홍재(2005). 한국장애인복지진흥회 월간 KOWPAD, 2월호.
  50. 대한장애인체육회(2019). 2019년도 대한장애인체육회 혁신계획.
  51. 이광우(2008). 한국의 정권별 장애인체육 정책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2. 남덕현(2020). 한국 특수학교 체육과 장애인 체육환경 시대별 변화과정 탐색. 체육과학연구, 31(2): 318-329. https://doi.org/10.24985/KJSS.2020.31.2.318
  53. 대한장애인체육회(2018). 제3차 장애인체육발전 중장기계획 보고서.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54. 대한장애인체육회(2018). 제3차 장애인체육발전 중장기계획 보고서.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요약본.
  55. 장정웅(2004). 휠체어 장애인스포츠의 활성화 방안.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성문정(2010). 지방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 춘계학술대회, 53-68.
  57. 김권일, 박병도, 이재원(2007). 장애인체육진흥 정책에 대한 전문가 인식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5(2): 137-150. https://doi.org/10.17006/KJAPA.2007.15.2.137
  58. 조창옥, 오아라, 장지훈(2012). 법에 투영된 장애인체육 현황 및 변천과정: 국민체육진흥법.시행령.시행규칙을 중심으로. 스포츠와 법, 15(4): 119-139.
  59. 연기영(2008). 스포츠기본법의 제정방안. 스포츠와 법, 11(4): 113-143.
  60. 이현수, 박수경(2011). 지역사회 장애인 체육과 스포츠 거버넌스 발전방안: 학교체육, 생활체육 중심으로. 한국특수체육학회지, 19(1): 29-42.
  61. 문화체육관광부(2021). 문화로 되찾는 국민일상 문화로 커가는 대한민국. 2021년 업무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