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뮤지컬 <스웨그 에이지: 외쳐, 조선!>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 교육 방안 연구

The Study on Korean Culture Education through The Musical

  • 강주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한국학과)
  • Kang, Joo-Young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
  • 투고 : 2021.09.24
  • 심사 : 2021.10.25
  • 발행 : 2021.10.31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문화 수업에서 뮤지컬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 의의를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은 의사 소통 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언어 지식뿐 아니라 사회적 배경 및 맥락의 이해를 돕는 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연구자는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뮤지컬 콘텐츠를 활용하여 한국어 문화 수업을 구성하였다. 뮤지컬은 뚜렷한 서사 구조와 음악을 중심으로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매력적인 문화콘텐츠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루는 뮤지컬 <스웨그 에이지: 외쳐 조선!>은 현재 사회에서도 유효한 문제의식을 지녔으며 작품의 주인공들이 부르는 '시조(時調)'는 한국 문학 수업 자료로도 활용가능하여 다양한 문화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교육적 자료라 여겨진다. 연구자는 위와 같은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 뮤지컬<스웨그 에이지: 외쳐 조선!>을 활용하여 '시조'를 교수하는 문화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업은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4차시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차시는 '뮤지컬 작품의 전체적인 내용 이해하기(1차시)', '한국 시조에 대해 학습하기(2차시)', '자신의 이야기를 시조로 쓰기(3차시)', '창작한 시조 작품 발표하기(4차시)'로 진행된다. 본 문화 수업은 시조를 소극적으로 학습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시조의 의미를 내재화하고 창작하며 적극적인 향유로까지 영역이 확장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더불어 그동안 한국어 문화 수업에서 주로 다루어졌던 영화, 드라마, 연극, 대중가요 등을 넘어 뮤지컬이라는 공연 장르를 더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교육은 물론 폭넓은 한국의 대중문화를 소개하고 경험하게 하는 고무적인 수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musicals and find a way to utilize them in Korean language culture classes for foreign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aim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education is necessary to help students understand not only the language but also the social background and context of the language. Accordingly, the author of this study has put together a lesson plan for Korean culture incorporating musicals, a topic that has been heretofore disregard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icals are an appealing art medium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s they provide striking visuals centered around distinct narrative structures and music. The musical "Swag Age: Shout out Joseon!," which this study focuses on, provides particularly suitable content, as it deals with social issues that are relevant even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d includes sijo (poetry), which can be used to teach traditional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above characteristics, the author of this study outlines a Korean culture lesson plan teaching sijo through the musical "Swag Age: Shout out Joseon!" The class will be for learners of intermediate level and above, and consists of 4 sessions: 1) Understanding the overall plot of the musical, 2) Learning about Korean sijo, 3) Writing sijo based on your own life, and 4) Presenting your own sijo. This culture class is significant in that it goes beyond simply learning about sijo and enables students to internalize the meaning of and actively enjoy sijo by writing their own version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a compelling class that, on top of its educational value, introduces and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a wider range of Korean popular culture by adding the musical genre to the common repertoire of movies, dramas, plays, and pop songs often covered in Korean culture classes.

키워드

참고문헌

  1. 노채환(2018). 연극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수업 운용 방안을 중심으로. 외국어교육연구, 32(4):349-327. https://doi.org/10.16933/SFLE.2018.32.4.349
  2. 이성희(2015). 한국 문화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이론과 실제. 박이정.
  3. 변혜원(2007).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모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강주영(2021). 온택트를 통한 뮤지컬 관람 연구: 뮤지컬 <모차르트!> 온라인 관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36(1):5-58.
  5. 이영제(2019).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한국어문법 교육 사례 연구. 겨레어문학, 63:77-309.
  6. 김훈태(2013). 해외 한국어 교육현장에서의 한국대중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드라마와 가요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24(2):131-155.
  7. 조인희, 윤여광(2013). 한류문화에 영향을 미친 Youtube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가수 싸이(PSY) 신드롬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7(2):9-18.
  8. 이성민, 김경만 외(2020). 2019 한류백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9. 오지혜, 권미경(2021).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대중문화 교육의 방향: 케이팝(K-POP)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 17(1):131-153. https://doi.org/10.18842/KLACES.2021.17.1.006
  10. 문금현(2001). 구어 중심의 한국어 교재 편찬 방안에 대하여. 국어교육, 105:233-262.
  11. 윤은미.우인혜(2017). 한국드라마를 활용한 한국 속담 교육 연구. 새국어교육, 110:213-245.
  12. 송대헌(2020).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드라마 <도깨비> 속 관용표현 교육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5):181-191.
  13. J. W. Stewig.C. Buege(1994). Dramatizing lietrature in whole language classroom. 황정현 역(2004), 총체적 언어교육을 위한 교육 연극. 평민사.
  14. 임금복(2009). 영화 <내 마음의 풍금>에 나타난 한국 문화 교육방안. 새국어교육, 82:309-340.
  15. 이은숙(2003). 영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와 한국어 교육. 한국(조선)어 교육연구. 창간호, 499-518.
  16. 신영선, 손세모돌(2018). 교육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모형과 수업. 국어문학, 68:189-233. https://doi.org/10.23016/KLLJ.2018.68.68.189
  17. 박희정(2015). 한국어 표현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연극 기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1):672-679.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672
  18. 이강록(2014). 연극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사례 연구. 한국어문교육, 16:109-127.
  19. 안정민(2017). 뮤지컬을 활용한 한국어 담화 교육 방안 연구, 외국어교육연구, 31(3):193-196.
  20. 한설옥(2019).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 시 읽기 교육 연구: 대중가요와의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30(4):241-264.
  21. 김가람(2015). 대중가요(K-Pop)를 활용한 한국어 연음 현상 발음 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김나경(2018). 한국어 구어 담화 능력 향상을 위한 가요 활용 연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원종원(2013). 뮤지컬. 커뮤니케이션북스.
  24. 김수영(2019). 국내 뮤지컬의 문화 권력의 생성과 분화.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송은아, 표원섭, 임준묵(2017). 뮤지컬 공연에서 관객의 관람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4):37-47.
  26. 송지숙(2010). 뮤지컬에서 아이돌 가수의 캐스팅 효과 분석. 추계예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은혜(2021). 현대 뮤지컬 노래 교육을 위한 보컬 발성 스케일 모델 연구와 적용,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5(4):127-139.
  28. 강석균(2006). 대한민국에서 뮤지컬 만들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9. 박혜성(2013). 창작 뮤지컬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고찰. 한국예술연구, 7:161-179.
  30. 차태오(2006). 뮤지컬 연출. 엠에드.
  31. McMillin, S.(2006). The Musical As Drama: A study of the Principles and Conventions Behind Musical Shows from Kern to Sondheim, Princeton University Press.
  32. 고용한, 강병호(2015). 교육연극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인식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뮤지컬'나는 셔틀이다'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3):249-259.
  33. 조동일(2007). 한국문학강의. 길벗.
  34. 권오경(2004). 시조의 민요화 고. 외대논총, 28:553-568.
  35. 조동일(1981), 민요의 형식을 통해 본 시가사의 전개. 백강 서수생박사 환갑기념론총간행위원회 편. 형설출판사.
  36. 최권진(2020). 시조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실제: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시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56:457-484.
  37. 이송희 (2021). 현대시조를 활용한 유학생 글쓰기: <한국어 작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시조학논총, 55:227-253.
  38. 김선배(1988). 시조문학 교육이 통시적 연구. 박이정.
  39. http://www.spotvnews.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419691/2021.09.20
  40.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21082457291/2021.09.20
  41. https://awards.kmusical.kr/history-awards/4rd-awards/2021.09.20
  42. https://awards.kmusical.kr/history-awards/5rd-awards/2021.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