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udience Cognitive Reconstruction of the Extended Meaning of Complex Mechanism Text : For Communication Education using Story Media Expressions

복합기제 텍스트의 확장 의미에 대한 수용자의 인지적 재구성 : 서사적 미디어 표현을 활용한 의사소통 교육을 위해

  • Lim, Ji-Won (Hanbat National University, Faculty of Humanities and Culture)
  • 임지원 (국립한밭대학교 인문교양학부)
  • Received : 2021.09.24
  • Accepted : 2021.10.25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This discussion can be said to be a qualitative study on the possibility of linking communica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and literacy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linked educators based on the theory of interpretation of cognitive meaning of media text containing complex mechanisms. The implicit meaning of media content expression used as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strategy will be accepted as a multilateral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learner's cognitive environment. If so, how is the general media content meaning intended by the content creator being accepted? These doubts are the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 To solve the problem, I leaned on the experimental pragmatic methodology of cognitive aesthetics and applied a model of relevance of cognitive linguistics to connect learners' creative cognitive environment and present content to find a contrast.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basic framework for learners to express their subjectivity and creative thinking that could connect the cognitive environment and present content themselves. In particular, active and positive learners also revealed direct descriptive expressions to build a new cognitive environment, such as suggesting a third alternative to argue the ability to question produced media texts and the validity of the meaning implied in the text. In the future, since media text containing complex mechanisms is an indirect and persuasive communication behavior that occurs easily through various media in modern society, the universal communication principle of reliable conversation between media text creators and audiences should exist.

본 논의는 복합기제를 담은 미디어 텍스트의 확장 의미에 대한 인지화용적 의미 해석 이론을 토대로 대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교육 및 한국어 연계 전공 교육자의 리터러시 교육의 연계가능성에 대해 논의된 질적 연구라 할 수 있다. 쌍방향적 의사소통 전략으로 활용된 미디어 콘텐츠 표현의 내포적 의미는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환경에 따라 다각적인 해석으로 수용될 것이다. 그렇다면 콘텐츠 제작자가 의도한 일반적인 미디어 콘텐츠 의미 내용은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가. 이러한 의구심이 논의의 출발점이다. 필자는 문제해결을 위해 인지의미론의 실험화용적 방법론에 기대어, 인지언어학의 관련성 모델을 적용시켜 학습자의 창의적인 인지환경과 현시적 내용을 연결시켜 그 대비점을 모색하였다. 논의 결과 학습자 스스로 인지환경과 현시적 내용을 연결시킬 수 있는 주체성과 창의적 사고를 표현할 수 있는 기본 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특히 적극적이며 긍정적인 학습자들은 제작된 미디어 텍스트를 문제제기할 수 있는 토론의 능력과 텍스트에 내포된 의미의 타당성을 논증하기 위해 제 3의 대안을 제시하는 등 새로운 인지환경을 구축하는 직접적인 서술적 표현도 드러났다. 추후 복합기제가 담긴 미디어 텍스트는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쉽게 이뤄지는 간접적이며 설득적인 의사소통 행위이기에 미디어 텍스트 제작자와 학습자의 신뢰적인 대화의 보편적 의사소통 원리가 존재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D. Alan Cruse(임지룡, 김동환 역)(2002). 언어의 의미. 태학사.
  2. M. Sandra Pena(임지룡, 김동환 역)(2006). 은유와 영상도식, 한국문화사.
  3. Sperber & Wilson(김태욱 역)(1993). 인지적화용론 접합성 이론과 커뮤니케이션, 한신문화사.
  4. 김진우(1994). 언어와 의사소통-수사학과 화용론의 만남-, 서울, 한신문화사.
  5. 윤여탁 외(2008).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서울대학교출판부, 62-63.
  6. 임지룡(1997). 인지의미론, 서울, 탑출판사.
  7. 김완석(1992). 광고언어의 심리학, 「새국어 생활」, 국립국어연구, 2(2), 41-45.
  8. 김차균 외 3인(2005). 허웅 선생의 우리말 연구. 태학사.
  9. 김대행(1998). 매체언어 교육론 서설, 한국어 교육학회 논문집-국어교육. 97집: 9-16.
  10. 양해림, 임지원(2015). 인지인문학.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11. 이성범(2001). 추론의 화용론, 서울 한국문화사, 56-88.
  12. http://www.kobak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