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미영 (2020).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및 조직풍토가 보육교사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보현, 구광현, 김화록 (2021). 기술수용모형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코딩교육 실행의도 영향 요인. 한국보육학회지. 21(1), 1-16. doi:10.21213/kjcec.2021.21.1.1
- 김보현, 최양미, 이홍재 (2018). 영유아교사의 스마트교육 수용 요인: 인지된 조직 지원과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34(4), 217-237. doi:10.14333/KJTE.2018.34.4.217
- 김보현, 이홍재 (2019).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요인과 교수효능감이 스마트교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2), 97-119. doi:10.22155/JFECE.26.2.97.119
- 김원준, 김은아, 오새경 (2019).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4(2), 307-337. doi:10.20437/KOAECE24-2-13
-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175-190. doi:10.14698/jkcce.2014.10.5.175
- 김장래 (2018).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효과 분석.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남지희 (2017). 자기장학을 위한 보육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실행 연구: 교사-유아 언어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승렬 (2008). 교사변인과 교육과정 실행 간의 관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창현 (2012). 유아교육과정 실행과 영향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원지영 (2015). 교사들의 스마트교육 교사연수 및 교사 학습공동체 경험 유무에 따른 스마트교육 실천 수준 비교. 한국교원교육연구, 32(4), 381-401. doi:10.24211/tjkte.2015.32.4.381
- 유미열 (2011). 지능형 교육용 로봇 아이로비 큐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경험. 한국교육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보란 (2019). 기술수용요인이 코딩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현민 (2010). 유아교육용 서비스 로봇에 대한 교사의 수용과 유아-로봇 상호작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민영 (2017). 코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 및 인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우리 (2018). 스마트로봇 알버트를 활용한 코딩교육이 만 5세 유아의 의사소통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재영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순영, 김경란 (2017).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6(3), 1-22. doi:10.21183/kjcm.2017.09.16.3.01
- 지윤경 (2013). 교사학습공동체 형성 수준 결정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차정미 (2006).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력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천희영 (2018).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자질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1), 227-248. doi:10.14698/jkcce.2018.14.01.227
- 한양수, 김영화 (2008). 초등교사의 교과교육 학습공동체 참여지속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4(4), 133-154.
- 홍나연 (2019). 코딩을 활용한 창의, 융합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1), 161-177.
- Bell, T., Witten, I. H., & Fellows, M. R. (2015). CS unplugged: An enrichment and extension programme for primary-aged students. Retrieved March 1, from http://csunplugged.org/wp content/uploads/2015/03/CSUnplugged_OS_2015_v3.1.pdf
- Blackwell, C. K., Lauricella, A. R., & Wartella, E. (2014). Factors influencing digital technology 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puters & Education, 77, 82-90. doi:10.1016/j.compedu.2014.04.013
- Earle, R. S. (2002). The integration of instructional technology into public education: promise an challenges. Educational Technology, 42(1), 5-13.
- Fornell, C., & Larcker, D.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116-142.
-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E. (2009). Multivariate data analysis. New York: Macmillan.
- Henderson, I. (1996). Instructional design of interactive multimedia.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4(4), 85-104. https://doi.org/10.1007/BF02299823
- Jeong, H. I., & Kim, Y. (2017). The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 by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25(4), 496-512. doi:10.1080/10494820.2016.1143376
- Karaca, F., Can, G., & Yildirim, S. (2013). A path model for technology integration into elementary school settings in Turkey. Computers & Education, 68, 353-365. doi:10.1016/j.compedu.2013.05.017
- Kazakoff, E. R., Sullivan, A., & Bers, M. U. (2013). The effect of a classroom-based intensive robotics and programming workshop on sequencing ability in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1(4), 245-255. doi:10.1007/s10643-012-0554-5
- Lamb, M. E., & Ahnert, L. (2006). Nonparental child care: Context, concep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In W. Damon, R. M. Lerner, K. A. Renninger, & I. E. Siegel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Child psychology in practice (pp. 950-1016). Hoboken, NJ: Wiley.
- Manny-Ikan, E., Dagan, O., Tikochinski, T. B., & Zorman, R. (2011). Using the interactive white board in teaching and learning-An evaluation of the SMART CLASSROOM pilot project.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E-Learning and Learning Objects, 7(1), 249-273. doi:10.28945/1523.
- McPake, J., Plowman, L., & Stephen, C. (2013). Preschool children creating and communicating with digital technologies in the hom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4(3), 421-431. doi:10.1111/j.1467-8535.2012.01323.x
- Salov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85-211. doi:10.2190/DUGG-P24E-52WK-6CDG
- Sergiovanni, T. J., & Strratt, R. J. (2007). Supervision: Aredefinition (8th ed.). New York: McGraw-Hill.
- Strawhacker, A., Lee, M., Caine, C., & Bers, M. (2015). ScratchJr demo: A coding language for kindergarten.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Boston, MA: USA.
- Wing, J. M. (2008). Computational thinking and thinking about compu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A, 366(1881). doi:10.1098/rsta.2008.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