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대학 캠퍼스는 아름다운 환경과 학교 문화를 중시할 뿐만 아니라, 더욱 중요한 것은 캠퍼스를 위해 첨단 과학기술 설비를 증가시켜야 학생들이 캠퍼스 생활을 더 잘 경험할 수 있고, 학교나 지역의 과학기술발전 수준을 더 잘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포스트코로나 시대는 대학 캠퍼스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캠퍼스 문화생활은 획기적인 변화를 겪었다. 이런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대면 학습방식은 비대면 학습으로 전환되며 온라인을 통하여 관련 학습 임무를 수행하고 캠퍼스 셀프서비스를 대표한 키오스크는 점차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 또한사용자 중심의 HCI설계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1].이에 따라 키오스크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특히 주요한 구성인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Interface)의 디자인에 대해 시각적 요소들의 사용성에 대한 다양한 변화와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사물인터넷 등 4차산업혁명에 처하고 있는 현재, 다양한 모바일 APP의 개발과 운영이 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교 캠퍼스 셀프서비스를 지원하는 키오스크는 인터랙티브 기능으로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고 공공장소의 특성에 맞는 더 나은 셀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키오스크의 UI디자인 요소 및 키오스크의 특성을 고려한 관련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대부분 대학의 셀프서비스의 형태를 일반 서비스에서 보다 진화된 상호작용성이 가능한 사용자 경험 중심에 중점을 둔 형태로 전환하고 있다. 셀프서비스의 활용률은 날로 높아지고 일부 기능적 문제와 불합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은 사용자의 사용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디자인의 미학은 현재 디지털 시대의 미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상황에서 대학 캠퍼스의 셀프서비스 활용성의 측면에서 다양하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의 측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의 개선을 통해 대학 캠퍼스 키오스크의 시각적 전달 기능이 사용자가 이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 키오스크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켜 키오스크 UI디자인에 대한 미래 지향적인 방향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4개 대학의 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무인 셀프서비스 시스템 키오스크 UI의 디자인 요소와 특징을 연구범위로 설정하여 한국 및 중국에 관련 문헌 정리 및 사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례분석 및 비교방법을 통하여 4개 대학의 키오스크 사용 특성을 도출한다.
사용성 평가 기준은 제이콥 닐슨(JacobNielsen 1957)이 제안한 5가지 평가 기준을 사용한다. 사용자만족도 평가 분야의 권위자인 제이콥 닐슨이 제시한 사용성(Usability), 기억성(Memorability), 효율성 (Efficiency), 학습용의성(Learmability), 오류방지성 (ErrorsPrevention)다섯 가지 항목을 세분화하여 7개의 문항을 5점 척도로 설정하였으며 모든 평가항목에 오픈 답을 실시하여 사용자 설문을 통해 실증적 평가를 하고자 한다.
설문조사 및 분석은 한국과 중국 4개 대학에서 키오스크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키오스크 UI디자인 요소를 정리하였다. 본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영향을 받는 대학생들의 키오스크 사용에 관한 기초 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2. 이론적 고찰
2.1 키오스크 밋 UI 디자인 요소 이해
키오스크는 소비자에게 인적 서비스를 아닌 비대면 서비스로 음식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기이므로 제품 또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장소 및 공공공간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셀프서비스 무인정보단말기를 말한다[2].정보전달에서 정보서비스와 업무수행의 자동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 사람들이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특정 공간이나 대중 장소에 배치한 무인정보단말기를 말하며 상호작용성을 적용한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채택하여 지하철, 호텔 로비, 시네마, 도서관, 레스토랑, 백화점, 공공장소 등 방문객이 많고 개방된 장소에 설치되어 운행되며 교통 정보 안내, 동선 안내, 시설물 이용 안내, 공간 및 길 안내 등의 정보 제공 및 셀프서비스 검색을 가능하도록 한다[3].
UI(UserInterface)디자인은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시스템 인터페이스 문제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인지 과정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 및 지각 경험을 얻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4]. 또한 UI디자인의 시각적 효과에 초점을 맞춰 개성적이고 전문적인 디자인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효율적인 사용체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디자인의 특성과 의미를 전달한다.따라서 시각적 전달에 입각한 텍스트, 컬러, 아이콘, 이미지, 타이프그라피를 UI디자인의 요소를 도출했다[5].
2.2 키오스크의 기능 단계 및 구성요소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키오스크 기능을 서비스 접근, 상품 및 서비스 선택, 상품 및 서비스 이용 등 단계별로 분류하여 정리했다. 이어서 단계별 구성되는 요소로 상품 및 서비스 선택 단계에서 옵션 선택과 변경 및 수정, 상품 및 서비스 탐색 단계에서 결제 및 구매와 할인 및 적립 메뉴가 있으며 화면, 아이콘, 버튼, 팝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호 작용적으로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키오스크 기능을 서비스 접근, 상품 및 서비스 선택, 상품 및 서비스 이용 등 단계별로 분류하여 정리했다. 이어서 단계별 구성되는 요소로 상품 및 서비스 선택 단계에서 옵션 선택과 변경 및 수정, 상품 및 서비스 탐색 단계에서 결제 및 구매와 할인 및 적립 메뉴가 있으며 화면, 아이콘, 버튼, 팝업으로 나눌 수 있다[6].
키오스크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화면, 아이콘, 버튼, 팝업 등 각 요소들의 특성을 다음과 같다[7].
(1) 화면(Screen)
키오스크의 정보를 담고 있는 스크린에 위치한 공간이다. 면적이 넓고 자주 전환하는 화면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로감과 방해를 줄 수 있으므로 정보를 교감하기에 어려운 면이 있다.
(2) 아이콘(Icon)
그래픽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표현하고 설명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3) 버튼(Button)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화면에서 사용자와 교감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황에 따라 기능, 의미의 근거하여 사용자에게 표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비언어 행동을 유도할 수 있다.
(4) 팝업(Pop-up window)
사용자가 특정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내용을 신속하게 안내하고 제시한다.
2.3 키오스크의 특성
사용자가 키오스크 서비스를 경험한 결과치가 주관적으로 측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사용자가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과정에 즐겁고 재미난 정도를 정의하는 유희성과 서비스를 용이하게 사용하여 배울 수 있는 편리성, 키오스크 서비스 이용성의 믿음 정도를 정의하는 신뢰성, 사용자가 시공간적으로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도를 정의하는 유용성이 키오스크의 서비스 특성을 갖는다[8].
2.4 키오스크 UI 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
3. 한‧중 대학교 키오스크 UI 디자인 사례 분석
3.1 한‧중 대학교 키오스크 UI 디자인 사례 분석
본 논문은 한국의 2개 대학과 중국의 2개 대학 즉 한국의 국립대학, 사립대학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중국의 국가 중점대학과 시립대학을 선정했다. 한‧중대학교는 몇 가지 유사점이 있으며 중국의 키오스크시스템은 개발 단계에 위치하는 반면에 한국의 키오스크 시스템은 오랫동안 운영되어 왔기 때문에 기술과 디자인의 측면에서 비교적 선진적이다. 따라서 중국과 한국 대학 간의 사례 연구를 통해 중국 키오스크의 UI디자인 요소와 키오스크의 특성에 관한 개선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사례로 부산에 위치한 동명대학교 도서관에 설치된 키오스크에 대한 분석이다(Fig. 1).
Fig. 1. Tongmyong University Kiosk UI.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일관성을 가지는 통일된 색상을 채택했다. 흰색 배경에 파란색을 기본 색상으로 하고 사용자에게 편안한 사용 환경을 제공했다. 노란색과 녹색 아이콘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정보를 쉽게 선택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QR코드로 표현되는 아이콘의 경우 사용자가 사용 여부에 신속하게 반응하도록 하고 있다.
두 번째 사례로 부산에 위치한 부경대학교 본관에 설치된 키오스크에 대한 분석이다(Fig. 2).
Fig. 2. Characteristics of UI design elements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파란색을 기본 색상으로 사용하여 흰색 배경이 매우 선명하여 정보전달에 도움이 되며, 파란색은 매우 합리적이며 키오스크의 테마와 일치한다. 아이콘의 사용 위치와 크기는 적당하며, 전체적으로 사용된 타이포그라피는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색상과의 조합으로 사용성을 높이고 있다.특히, 사용자가 시각적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하고 정보를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어 정보 검색의 편의성과 유용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신뢰감을 제공해 주고 있다. 메뉴의 레이아웃은 명확하고 합리적이어서 사용자가 해당 기능의 유용성을 경험할 수 있게 디자인되었다.
Table 1. Prior research on Kiosk UI design.
Table 2. Characteristics of UI design elements of Tongmyong University.
3.2 중국 대학교 키오스크 사례 분석
다음은 중국의 난징(南京)에 있는 진링과학대학교 키오스크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Fig.3).
Fig. 3 Jinling Institute of Tecjnology Kiosk UI.
파란색, 녹색, 빨간색, 노란색 등 다양한 컬러와 타이포그라피를 사용하여 생생한 배색을 수행했으나 시각적 인지에 영향을 미치고 시각적 피로를 유발하고 있다. 실시간의 정보전달을 달성하지 못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데에는 방해를 주고 있다. 아이콘을밝은 색상의 사용으로 사용자가 더 빠르고 쉽게 필요한 옵션을 찾을 수 있는 반면 합리적이고 통일성 있는 타이포그라피를 완성하지 못하고 있다. 화면에 있는 손 모양의 그래픽은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지만 텍스트의 기능이 약함으로 최종 화면에 있는 인쇄에 관한 설명이 모호하여 기능의 유용성이 떨어져 보인다.
다음 사례는 광저우에 있는 화남이공대학교 키오스크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Fig. 4).
Fig. 4 South China University of Technology Kiosk UI.
흰색의 배경에 파란색상을 주로 사용하여 단순하고 깨끗한 이미지를 주어 사용자가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하는 동안 충분한 신뢰감을 주게 디자인되었다. 정보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적절한 아이콘 디자인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고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깔끔하고 일관성 있는 타이포그라피로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쉽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레이아웃 스타일은 매우 명료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보수적인 느낌을 내포하고 있어 학생을 대상으로 중요한 옵션이나 내용을 유도하기 위해 선명한 색상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중요한 정보의 중요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인식시키기 위해 아이콘의 질감을 강조한 디자인이 요구된다.
Table 3. Characteristics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iosk UI design elements.
4. 설문조사 분석 및 평가
한‧중 대학 캠퍼스에서 사용하는 키오스크 UI의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4개 대학의 사용자 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만족도 평가는 연구자에 따라 만족도 요인들이 다르지만, 사용자 만족도 평가 분야의 권위자인 제이콥닐슨이 제시한 사용성(Usability), 기억성(Memor- ability), 효율성(Efficiency)[9], 학습용의성(Learm- ability), 오류방지성(ErrorsPreven-tion)다섯 가지 평가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전문에서 언급한 제이콥닐센의 사용성 평가 이론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했다. 구체적인 설문지 문항은 아래 Table 7과 같다.
Table 4. Characteristics of Nanjing Jinlin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osk UI design elements.
Table 5. Characteristics of South China University of Technology design elements.
Table 6. Criteria for usability evaluation by Jacob Nielsen.
Table 7. Questionnaire questions.
4.1 사용성 만족도 조사
키오스크 UI에 대한 사용자 사용성 만족도 조사 결과는 아래 Table8과 같다. 사용자들은 키오스크 사용성에 대해 37%가 보통으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2%는 불만, 12%는 매우 불만을 나타냈고 만족하고 매우 만족한다는 응답은 각각 15%와 14%에 불과했다. 대학 캠퍼스에서 사용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은 아직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Table 8. Chinese University Kiosk usability satisfaction results.
4.2 기억성 만족도 조사
기억성 조사의 결과는 아래 Table9와 같다. 대학캠퍼스 키오스크 사용 횟수를 조사한 결과 1회 총 2%, 5회 미만은 30%, 5회 이상은 10회 미만 45%, 10회 이상은 17%, 1년 이상은 6%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캠퍼스 내 사용자의 키오스크 시스템에 대한 사용 빈도가 10회 이내로 집중됨을 알 수 있으며, 키오스크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추가적인 개선을 통해 키오스크시스템의 사용 빈도가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Table 9. Memory satisfaction survey results.
4.3 효율성 만족도 조사
효율성 조사의 결과는 아래 Table10과 같다. 효율성에 대한 조사는 화면이나 글자 크기와 시스템 구성두 가지 측면에서 이뤄졌다. 먼저 문항 3을 통해 화면과 글씨 크기의 효율성 설문 조사한 결과 46%가 보통이라고 답했고 26%가 만족한다고 답해 10%가 매우 만족했다. 반면 불만이라는 응답은 14%, 매우 불만이라는 응답은 4%에 불과했다. 일부 사용자는 화면 내용이 너무 집중돼 인지가 혼란스럽다는 의견과 하드웨어의 제약으로 화면 내용을 선명하게 보여주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Table 10. Efficiency satisfaction survey results.
또한, 문항 4를 통해 시스템 구성에 대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2%가 불만이라고 답했고, 보통이라는 응답은 38%, 만족한다는 응답은 9%, 매우 불만 한다는 응답은 7%였으며 매우 만족한다는 응답은 4%만이 만족한다고 답했다.많은 사용자가 시스템 색상에 문제가 있다면서 색조가 너무 단순하고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새롭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4.4 학습용의성 만족도 조사 결과
키오스크에 대한 학습용의성 조사의 결과는 아래 Table11과 같다. 키오스크 시스템에 대한 학습용의성 조사는 접근성과 예측성 두 가지 측면에서 이뤄졌다. 먼저 문항 5를 통한 접근성 설문 결과, 보통이라는 응답은 38%로 만족한다는 응답은 24%, 불만이라는 응답은 20%, 매우 불만이라는 응답은 10%인 반면 매우 만족한다는 응답은 8%에 불과했다. 일부 사용자는 화면의 내용이 직관적이고 입체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Table 11. Chinese University Kiosk usability learnability results.
한편, 문항 6을 통한 예측성 설문조사 결과 45%가 보통이라고 응답했고 불만은 32%, 만족은 13%, 매우 불만 6%, 만족 4%로 나타났다. 일부 사용자는 기능의 분류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거나, 해당 기능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4.5 오류 방지성 조사
키오스크 시스템에 대한 오류방지성 조사의 결과는 아래 Table12와 같다. 문항 7을 통한 오류 방지성에 대해 설문조사 결과를 따라 46%의 사용자 보통이라는 응답하고 24%만족하고, 불만 한다는 응답은 14%, 매우 만족한다는 응답은 13%, 매우 불만 한다는 응답은 3%로 나타났다. 일부 이용자들은 표시가 불분명하고 제시 내용이 직관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12. Error prevention satisfaction survey results.
5. 결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학에서 무인 셀프서비스의 활용률이 높아짐에 따라 한, 중 4개 대학 캠퍼스 키오스크의 UI디자인 요소의 사용성에 대한 사례연구가 진행되었고 한, 중 대학 사용자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한국과 중국의 대학교 캠퍼스에 설치된 키오스크의 사례 분석을 통해 UI인터페이스의 디자인 요소와 키오스크의 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한국 대학교의 사례분석 결과, 키오스크 UI 인터페이스의 디자인 요소 중 색상 요소는 전체 테마를 고려하여 통일되게 사용하였다. 이는 사용자가 원하는 관련 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하여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콘텐츠를 강조하기 위해 색상을 사용하면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괄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키오스크의 유용성을 반영하여 중요한 콘텐츠를 보다 구체적으로 만들 수 있다.
둘째, 아이콘의 사용은 평면적 디자인에 벗어나 그림자 처리와 소재의 표현 효과를 통해 입체감을 높임으로써 키오스크의 유용성과 편의성을 반영하고 있다.
셋째, 통일된 타이포그라피의 사용으로 UI 인터페이스가 일관된 내용 전달과 긴밀성을 가지며 사용자가 심리적으로 신뢰성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반면, 중국 대학교의 경우 키오스크의 UI 디자인요소의 성능은 여전히 불합리한 측면이 존재하며 특히 상대적으로 단일한 색상 사용, 아이콘이 뚜렷하게 표현되지 못하는 점이 단점으로 파악되었다.이는 정보의 시각적 전달 기능이 사용자의 이용하는 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키오스크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점을 보완하고 최적화된 디자인 개선이 요구된다.
넷째, 키오스크의 UI디자인은 UI디자인의 주요 요소인 컬러, 아이콘, 타이포그라피의 미학적 원칙에 따라 효과적으로 디자인되어야 하며, 표준화된 셀프서비스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며, 키오스크 UI 디자인의 사용성에 대한 미래 지향적인 방향성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 Y.M. Zhou, L.R. Shang, H.C. Lim, and M.K. Hwang, "Verification of AI Voice User Interface (VUI) Usability Evaluation : Focusing on Chinese Navigation VUI,"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24, No. 7, pp. 913-921, 2021. https://doi.org/10.9717/KMMS.2021.24.7.913
- S.J. Gao, Effect of Restaurant Kiosk Characteristics on Customer Relationship Quality and Intention to Continue Use -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Experience Design, Han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2020.
- Doosan Encyclopedia Dictionary(2021), https://ko.wikipedia.org/wiki/kiosk (accessed October 13, 2021).
- S.J. Kim and J.D. Eun, "UX/UI Technology Trends for Smart Content," International J ournal of Contents, Vol. 14, No. 1, pp. 29-33, 2016.
- H.G. Cai and Y.G. Oh, "Analysis of Smart App UI Design Cases and Elements Applied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Korea Institute of Design Research Society, Vol. 6, No. 2, pp. 262-263, 2021.
- D.B. Lee, A Study on Kiosk UI Design Applied to Human Non-verbal Behavior: Focusing on Motion Graphics,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2020.
- D.H. Lee,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ovement Based on Body Language in User Interface, Domestic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Techno Design, Kookmin University, 2006.
- S.J. Gao, Effect of Restaurant Kiosk Characteristics on Customer Relationship Quality and Intention to Continue Use-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Experience Design, Han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2020.
- S.Y. Jeon and J.S. Song, "A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for UI Design of the Kiosk in General Hospital Setting for Senior Generation-Focus on UI Design of the Kiosk in 'H'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Vol. 26, No. 1, pp. 411-421, 2020. https://doi.org/10.18208/ksdc.2020.26.1.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