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생산 시스템을 고려한 모듈러주택의 가변형 평면계획 연구

Flexible Unit Floor Plan of a Modular House Considering the Production System

  • 이지은 (토지주택연구원 공공주택연구실)
  • 투고 : 2021.09.26
  • 심사 : 2021.10.07
  • 발행 : 2021.10.30

초록

모듈러주택은 세계대전 이후 신속하고 효율적인 주택공급을 위해 시도되었다. 국내에서도 30년 이상 품질 및 시공방법 개선을 위한 노력을 했으나 경쟁력있는 주택 상품이 되진 못했다. 모듈러 주택은 라멘구조로 평면구성을 자유롭게 할 수 있지만, 대부분 벽식 구조의 일반적인 아파트 평면을 분절한 형태로 변형하여 시공한다. 모듈러 주택의 생산 및 구조적 측면의 장점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평면, 건축 구성재의 부품화 및 표준화, 자재, 제작 및 시공법, 공정관리, 공사비 관리 등 종합적인 측면에서 자동차와 같이 공장생산 시스템에 적합한 모델을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 및 호환을 위해 MC(Modular Coordination)설계원칙을 적용하여 운반 및 생산 용이한 3m×3m 모듈을 공간의 기본 단위로 설정했다. 빌트인 가구를 포함한 3m×3m공간을 다양한 형태의 제품과 같이 생산하고, 이를 거주자의 기호에 맞게 조합하여 46m2 평면을 완성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생산설비, 운송수단, 시공크레인에 따라 생산 모듈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운반장비가 소형화될수록 생산모듈의 가짓수도 적어질 수 있다. 이와같은 모듈러 주택 생산방식은 거주자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평면의 주택을 제공하기에 용이하고, 기술과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시공속도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이다.

After World War II, modular housing was developed as a means of quickly and efficiently meeting the housing supply demand. For the past 30 plus years,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modular housing in South Korea and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in the housing market. This study investigated modular houses based on a steel framed rahem structure which provides a flexible floor plan where walls are easily reconfigured to create rooms of various sizes and functions. Similar to the factory production methods used in the automotive industry, the modular housing industry can also benefit by standardizing such aspects as building components,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methods, materials, process management, and floor plans. This study examined the feasibility of using a 3m × 3m module for developing various floor plans which are easy to produce and transport. Each 3m × 3m module can be configured to meet different living needs resulting in a complete home when multiple modules are connected. The module configurations can be varied to meet ground transportation and crane limitations. This study found that a 3m × 3m steel framed modular unit is a promising step towards providing residents with plans that meet their living preferences while improving and increasing the supply of modular hous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명환.오영인.장성수(1986),「조립식 주택공법 조사연구」,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2. 김수암.임석호.황은경.이성옥(2005), 「장수명 공동주택 설계 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 김용섭(2019), 「라이프 트랜드 2020」, 부.키.
  4.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2013.2.14.), "모듈러유닛 접합부 구조(등록번호: 10-1233537)".
  5. 박준영(2014), "조립식 주택 부품 표준화 계획 및 설계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4(2): 105~106.
  6. 심성철.이상현.조봉호.우성식.최문식(2008), "12m×3m 스틸 모듈러 시스템의 보-중간기둥 접합부 구조성능",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20(6): 793~805.
  7. 제라니모 유(역)(2019),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의 공간-재료-디테일」, 엠에이치북스(Edgar Stach(2017), Mies van der Rohe: Space-Material-Detail, Basel: Birkhauser).
  8. 연구개발실(1974), 「조립식 건축생산 연구: 공업화 주택의 경제성 검토 」,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9. 이준식(2014), "모듈러주택 활성화를 위한 프로토타입 연구: 외장재 표준화 및 입면 계획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지은.천영수.양동석.안현성.강미연.주재영.송찬균(2021), 「가족구성 변화를 고려한 가변형 모듈러주택모델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11. 천영수.손정락.유정현.이지은.권석민.이동건.김진원.이종윤.이주연(2020), 「LH형 모듈러주택의 모델개발 및 품질확보 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12. 최경일.오시덕.강수림.유난형(1981), 「외국의 공업화 주택현황:일본」,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13. 최권종(2019), 「스토리가 있는 발코니」, 위더스북.
  14. 한국리서치, "LH공공분양주택 거주 후(POE) 평가 및 만족도 조사", 2020.12. 01.
  15. 한국토지주택공사(2021.6.25.), "2021년 모듈러주택 가이드 평면".
  16. 한국토지주택공사(2021.9.6.), "LH모듈러주택공사 시방서".
  17. Frederique Van Andel, "Housing in times of Crisis", Accessed July 19, 2019. http://journals.open.tudelft.nl/dash/article/view/4869
  18. Sandra Wagner-Conzelmann (2012), "Otto Bartning, Forward Thinker and Protagonist of Rebuilding after 1945", Graue Reihe des Instituts fur Stadt-und Regionalplanung Technische Universitat Berl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