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0년 호남대학교 교내학술 연구비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 Yagimura, Y., Yamada, H., & Naqui, H.(1990).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crimation and blink in VDT work. Erognomic, 33(6): 799-809. https://doi.org/10.1080/00140139008927186
- 통계청자료(2020). 건강검진통계 - 시력분포 현황 11(2): 741-749.
- 유동식, 문병연(2010). 건강검진으로 본 한국성인의 시력 실태 및 시력검사 만족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2): 741-749. https://doi.org/10.5762/KAIS.2010.11.2.741
- 원찬희, 마기중(1993). 스포츠비젼. 대학서림.
- 장원혁(2013). 균형 장애를 일으키는 흔한 원인. Brain & Neurorehabilization, 6(2): 54-57. https://doi.org/10.12786/bn.2013.6.2.54
- 김덕훈, 권오주, 김윤경, 김창식, 김효진, 소종필, 신성우, 윤미옥, 이은희, 장우영, 정지원, 최지영, 한선희(2017). 시기생리학, 에듀팩토리.
- 성풍주(2018). 안경 조제 및 가공. 대학서림.
- Lord, S.R.(2006). Visual risk factors for falls in older people. Age Ageing, 35(2): 42-45. https://doi.org/10.1093/ageing/afj019
- 이경진, 김수정, 송창호(2012). BIORescue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지과제균형훈련이 노인의 정적균형, 동적균형,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1): 211-229.
- 서삼기(2009). 수중회전조절 프로그램이 정상 성인의 균형능력과 전정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선진(2000). 운동학습과 제어. 서울. 대한미디어.
- Patla, A.E., & Vickers, J.N.(1997). Where and when do we look as we approach and step over an obstacle in the travel path?. Neuroreport, 8(17): 3661-3665. https://doi.org/10.1097/00001756-199712010-00002
- 박기태, 김미현, 주성광(2018). 후방보행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정적 균형, 균형 자신감과 보행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7(3): 473-489.
- 길재호, 손경훈(2012). 장기간의 태권도 품새 수련이 정적균형, 동적균형 및 보행균형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14(2): 117-126.
- 박영진, 이재석, 석명규, 구본호(2016). 9주간의 코어근육 강화운동이 20대 여성의 정적 균형능력과 보행균형능력 및 최고보행속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5(5): 1227-1239.
- 우병훈, 설정덕(2015). 입체시력 감소가 장애물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회지, 54(5): 829-840.
- 윤상철, 이상빈(2015). 시각적 되먹임 훈련과 복합훈련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1): 201-210.
- 박근홍, 김진형(2018). 시각차단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낙상을 경험한 노인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 24(2): 69-74.
- 정성해(2015). 시각계의 검진: 시력, 색각, 시야. 대한안신경의학회지, 5(2): 53-56.
- Magnusson, M., Enbom, H., Johansson, R., & Pyykko, I.(1990). Significance of pressor input from the human feet in anterior-posterior postural control. The effect of hypothermia on vibration-induced body-sway. Acta Otolaryngologica, 110(3-4): 182-188. https://doi.org/10.3109/00016489009122535
- Anand, V., Buckley, J.G., Scally, A., & Elliott, D.B.(2002). The effect of refractive blur on postural stability. Ophtalmic & Physiological Optics, 22(6): 528-534. https://doi.org/10.1046/j.1475-1313.2002.00067.x
- Alexander, N.B.(1994). Postural control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2(1): 93-108.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4.tb06081.x
- Wong, B.P., Woods, R.L., & Peli, E.(2002). Steroacuity at distance and near.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79(12): 771-778. https://doi.org/10.1097/00006324-200212000-0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