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Visual Difference on Balance and Walking Capacity in Life Care of College Students

대학생의 라이프케어에서 시력 차이가 균형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윤영제 (호남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Received : 2020.12.21
  • Accepted : 2021.01.25
  • Published : 2021.01.31

Abstract

This study studied the effect of visual difference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in college students' life care. The study was conducted on 45 students attending H University in G City, divided into control groups (n=22, not wearing glasses and contact lenses) and experimental groups (n=23, wearing glasses and contact lenses). In not wearing glasses and contact lenses, the subjects measured visual acuity with logMAR charts, evaluated their balance ability with BIOrescue, and evaluated walking ability with G-Walk.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vision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visual acuity measurement(p<.01). Static balance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enter of mass movement of the right foot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5). Dynamic balance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 in limit of stability for groups of experiments compared to control group(p<.05). The walking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horter on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sw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right foot(p<.05).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visual difference in university students reduces balance and walking ability. Therefore, university students with poor visual acuity are recommended to correct of visual acuity to prevent collision and falls in their daily lives.

본 연구는 대학생의 라이프케어에서 시력 차이가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G 광역시에 소재의 H 대학교에 재학 중인 45명을 대상으로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는 대조군(n=22)과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실험군(n=23)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logMAR 차트로 시력을 측정하고, BIOrescue로 균형능력을 평가하였으며, G-Walk로 보행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력 측정에서 대조군보다 실험군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시력이 낮았다(p<.01). 정적 균형능력은 오른발의 무게중심 이동이 대조군보다 실험군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동적 균형능력은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안정성 한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보행능력은 한발짝 거리와 한걸음 거리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의 오른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으며(p<.05), 흔듦기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의 오른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의 라이프케어에서 시력 차이는 균형과 보행능력의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라이프케어에서 시력이 낮은 대학생의 넘어짐과 부딪침을 예방하기 위해 안경 및 콘택트렌즈를 통한 시력 교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호남대학교 교내학술 연구비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Yagimura, Y., Yamada, H., & Naqui, H.(1990).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crimation and blink in VDT work. Erognomic, 33(6): 799-809. https://doi.org/10.1080/00140139008927186
  2. 통계청자료(2020). 건강검진통계 - 시력분포 현황 11(2): 741-749.
  3. 유동식, 문병연(2010). 건강검진으로 본 한국성인의 시력 실태 및 시력검사 만족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2): 741-749. https://doi.org/10.5762/KAIS.2010.11.2.741
  4. 원찬희, 마기중(1993). 스포츠비젼. 대학서림.
  5. 장원혁(2013). 균형 장애를 일으키는 흔한 원인. Brain & Neurorehabilization, 6(2): 54-57. https://doi.org/10.12786/bn.2013.6.2.54
  6. 김덕훈, 권오주, 김윤경, 김창식, 김효진, 소종필, 신성우, 윤미옥, 이은희, 장우영, 정지원, 최지영, 한선희(2017). 시기생리학, 에듀팩토리.
  7. 성풍주(2018). 안경 조제 및 가공. 대학서림.
  8. Lord, S.R.(2006). Visual risk factors for falls in older people. Age Ageing, 35(2): 42-45. https://doi.org/10.1093/ageing/afj019
  9. 이경진, 김수정, 송창호(2012). BIORescue 프로그램을 이용한 인지과제균형훈련이 노인의 정적균형, 동적균형,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1): 211-229.
  10. 서삼기(2009). 수중회전조절 프로그램이 정상 성인의 균형능력과 전정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선진(2000). 운동학습과 제어. 서울. 대한미디어.
  12. Patla, A.E., & Vickers, J.N.(1997). Where and when do we look as we approach and step over an obstacle in the travel path?. Neuroreport, 8(17): 3661-3665. https://doi.org/10.1097/00001756-199712010-00002
  13. 박기태, 김미현, 주성광(2018). 후방보행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정적 균형, 균형 자신감과 보행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7(3): 473-489.
  14. 길재호, 손경훈(2012). 장기간의 태권도 품새 수련이 정적균형, 동적균형 및 보행균형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14(2): 117-126.
  15. 박영진, 이재석, 석명규, 구본호(2016). 9주간의 코어근육 강화운동이 20대 여성의 정적 균형능력과 보행균형능력 및 최고보행속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5(5): 1227-1239.
  16. 우병훈, 설정덕(2015). 입체시력 감소가 장애물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회지, 54(5): 829-840.
  17. 윤상철, 이상빈(2015). 시각적 되먹임 훈련과 복합훈련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1): 201-210.
  18. 박근홍, 김진형(2018). 시각차단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낙상을 경험한 노인의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 24(2): 69-74.
  19. 정성해(2015). 시각계의 검진: 시력, 색각, 시야. 대한안신경의학회지, 5(2): 53-56.
  20. Magnusson, M., Enbom, H., Johansson, R., & Pyykko, I.(1990). Significance of pressor input from the human feet in anterior-posterior postural control. The effect of hypothermia on vibration-induced body-sway. Acta Otolaryngologica, 110(3-4): 182-188. https://doi.org/10.3109/00016489009122535
  21. Anand, V., Buckley, J.G., Scally, A., & Elliott, D.B.(2002). The effect of refractive blur on postural stability. Ophtalmic & Physiological Optics, 22(6): 528-534. https://doi.org/10.1046/j.1475-1313.2002.00067.x
  22. Alexander, N.B.(1994). Postural control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2(1): 93-108.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4.tb06081.x
  23. Wong, B.P., Woods, R.L., & Peli, E.(2002). Steroacuity at distance and near.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79(12): 771-778. https://doi.org/10.1097/00006324-200212000-0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