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Education Using Case-Based Role Playing in Counseling Theory and Actual Subjects on the Empathy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Nursing Students

상담이론과 실제 교과목에서 사례기반 역할극을 활용한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공감 및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21.03.23
  • Accepted : 2021.04.26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is study used a single group pre and post-experimental design for nurs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counseling theory and actual subjects on empathy and communication ability by applying traditional lecture-style education and case-based role-playing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6 students who took counseling theory and actual courses,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mong all 2nd grade students enrolled in C nursing college in G area. The curriculum consisted of six weeks of lecture-style education, followed by case-based role-play education for six weeks. Three surveys were conducted before training, after lecture-style training, and after case-based role-play train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epeated measurement variance analysis using the SPSS 26.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when nursing students were selected as 20-29 years old and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ccording to gender and time p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pathy ability of the subjects by group or time p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group,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me point (F=4.20, p=.017). Therefore, it was proved that the application of education using case-based role play to counseling theory and actual subjects has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ability of nursing students rather than lecture-style education.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에게 상담이론과 실제 교과목을 전통적인 방법의 강의식 교육과 사례기반 역할극 교육을 적용하여 공감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단일그룹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 지역의 C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2학년 전체 학생 중 상담이론과 실제 교과목을 수강하고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며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 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과정은 총 15주의 수업에서 첫 오리엔테이션,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주를 제외하고 6주간 강의식 교육, 이후 6주간 사례기반의 역할극 교육을 하였고, 교육 전, 강의식 교육이 끝난 후, 사례기반의 역할극 교육이 끝난 후 3차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 20-29세로 선정하여 성별과 시점에 따라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대상자의 공감 능력은 그룹 또는 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의사소통 능력은 그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4.20, p=.017). 따라서 상담이론과 실제 교과목에 사례기반 역할극을 활용한 교육의 적용은 강의식 교육보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민주, 정연진, 강지연, 나현주(2019). 비폭력대화 훈련이 간호대학생의 공감, 의사소통,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2): 425-441.
  2. S. Jakimowicz., & L. Perry.(2015). A concept analysis of patient-centered nurs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1(7): 412-419.
  3. V. Gallese.(2007). Before and below'theory of mind': embodied simulation and the neural correlates of social cogniti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B: Biological Sciences, 362(1480): 659-669. https://doi.org/10.1098/rstb.2006.2002
  4. 김광수, 김해연(2009).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 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22(4): 275-300.
  5. Alligood, M. R.(2005). Nursing theory: The basis for professional nursing. In K. K. Chitty (Ed.), Professional nursing: concepts and challenges. 4th ed. (pp. 271-298). St. Louis: Elsevier Saunders.
  6. Morgan, A.(2017). "Against compassion: in defence of a "hybrid" concept of empathy", Nursing Philosophy , 18(3): e12148. https://doi.org/10.1111/nup.12148
  7. K. E. Dilbeck.,& J. C. McCroskey.(2009). Socio-communicative orientatio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rhetorical sensitivity. Human Communication, 12(3): 255-266.
  8. 안성윤(2017).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 감정 노동, 조직몰입 간의 융합관계. 한국융합학회, 8(6): 147-152. https://doi.org/10.15207/JKCS.2017.8.6.147
  9. 정진옥, 김수(2019). 간호대학생을 위한 공감 교육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 대인관계 능력 및 돌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3): 344-356. https://doi.org/10.5977/JKASNE.2019.25.3.344
  10. Watson, J.(1999). Nursing: human science and human care: a theory of nursing. Sudbury, Messachusetts: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11. 조혜경(2017). 국립정신의료기관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 능력 및 지각된 윤리풍토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26(2): 204-215.
  12. 문경희(2016). 간호사의 공감 능력과 의사소통 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유영미(2015). 독서요법이 간호대학생의 자아 존중감, 성격강점, 정서인식과 공감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Ancel, G.(2006). Developing empathy in nurses: an inservice training program.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20(6): 249-257. https://doi.org/10.1016/j.apnu.2006.05.002
  15. 신경아, 이은숙(2011). 의사소통 훈련 집단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대인 의사소통과 인간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2): 149-158.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2.149
  16. Roberts, M.(2010). Emotional intelligence, empathy and the educative power of poetry: a deleuzo-guattarian perspective.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7: 236-241. https://doi.org/10.1111/j.1365-2850.2009.01500.x
  17. 한국교육심리학회(2000). 교육심리학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18. 서동희, 정인주(2019). 정신간호실습교육에서 역할극이 간호대학생의 공감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4): 263-270.
  19. 김영희, 이영미(2012). 역할극 활용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평가방법에 대한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문제해결과정과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1): 147-155. https://doi.org/10.5762/KAIS.2012.13.1.147
  20. 정현정(2015). 간호대학생의 여성건강간호 실습교육 위한 역할극을 활용한 교정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학습성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1): 137-146.
  21. 박은옥(2013). 역할극을 활용한 가족간호실습 교육이 간호학생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4): 656-662.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656
  22. 김수올, 김소명(2015). 간호대학생의 역할극 기반 실습교육 적용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7(5): 2837-2848.
  23. 서윤암 , 윤상후, 김영아(2019). 역할극을 활용한 간호실습교육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30(2): 309-321.
  24. 조경아, 엄미란(2018). 역할극을 활용한 의사 소통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정신간호실습교육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2018(5): 457-458.
  25. 조은아(2015). 분만 역할극을 활용한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학습관련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4): 351-360.
  26. 강서영, 임유진(2014). 임상적 의사소통상황 관련 역할극을 선행한 통합실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한국산학기술학회, 15(5): 3037-3045. https://doi.org/10.5762/KAIS.2014.15.5.3037
  27. N. Larti, E. Ashouri, A. Aarabi.(2018). The effects of and empathy role-playing program for operating room nursing students in Iran, Journal of Education for Health Professions, 15(29): 1-7. https://doi.org/10.3352/jeehp.2018.15.1
  28. 김수현, 박희옥(2020). 종합병원 간호사의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관 및 공감 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6(2): 101-110. https://doi.org/10.5977/jkasne.2020.26.2.101
  29. 안민정, 조행난, Dzifa Dordunoo, 황윤영(2019). 간호대학생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9(10): 16-27.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10.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