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Participation Factors of Volunteer Activities for Life Care and Wellness of the Elderly

노인의 라이프케어와 웰니스를 위한 자원봉사활동 참여요인 분석

  • Kim, Hee-You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Honam University)
  • 김희영 (호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1.03.17
  • Accepted : 2021.04.26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is study was inteded to include online social relations and ability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to analyze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and provide basic data to identify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The statistical data of the 2017 National survey of Senior Citizen, only 10,073 people aged 65 or older were sampled out of 10,299 people. The participation rate of volunteering was frequently analyzed, and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cording to the factors was Chi-square analysis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A polynomi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factors of participation in volunteering. As a results. 3.9% of older adults are volunteering and 11.5% are experienced in the past.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y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level, subjective health, body function, ability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social networks, frequency of face-to-face contact and frequency of non face contact. In the regression analysis, utilization of communication and device, social networking, face to face contact frequency were show to be the effect factors. In order to promote elderly's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consideration of related resources reported in prior studies, social relations, frequency of face-to-face contact and ability to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is considered important.

본 연구는 온라인 사회관계와 정보통신기기 이용능력을 참여요인에 포함하여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요인을 분석함으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요인을 파악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의 통계자료에서 10,299명 중 65세 이상 10,073명의 자료만을 표본 추출하였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은 빈도분석하였고, 자원봉사활동 관련요인들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참여의 차이는 교차분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원봉사활동의 참여의 영향요인을 알아보기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노인 3.9%, 과거에 자원봉사를 한 경험있는 노인은 11.5%였다. 연령, 교육 수준, 경제적 수준, 주관적 건강, 신체기능, 정보통신기기 이용능력, 사회적 네트워크, 대면연락빈도, 비대면 연락빈도에 따라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회귀분석에서는 정보통신기기 이용능력, 사회적 네트워크, 대면 연락빈도가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보고되었던 인적자원, 경제적 자원 및 사회적 자원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유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노인의 사회적 관계, 대면연락빈도 및 정보통신 기기 이용 능력에 대한 고려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호남대학교의 2020학년도 학술 연구조성비를 지원받음.

References

  1. 박현정, 홍현정(2011). 자원봉사 측정방법 연구. 통계개발원 상반기 연구보고서, 제1권.
  2. 지은정, 금현섭, 하세윤(2012). 고령화사회 노인의 사회참여 활성화방안-노인 일자리 사업과 자원봉사를 중심으로. 한국노인인력개발원보고서, 12(4).
  3. 행정안전부(2018). 자원봉사진흥을 위한 제3차 국가기본계획(2018~2022) 수립 연구. 한국자원봉사협의회 보고서.
  4. 한국갤럽조사연구소(2020). 2020 자원봉사활동 실태조사 및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개정 연구. 행정안전부.
  5. 고령자 통계(2020). 2020 고령자 통계. 사회통계기획과.
  6. 김여진(2013). 한국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관련 요인: 연령 집단별 분석. 한국 콘텐츠학회 논문지, 13(4): 218-229.
  7. 김명숙, 고종욱(2014). 자본 및 생태환경 요인이 노인 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11): 236-248.
  8. 김창래(2019). 노인 자원봉사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지, 4(1): 125-153.
  9. 주현아, 양재석(2017). 노인자원봉사자의 자원 봉사활동의 적극성과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한국노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1-20.
  10. 양지훈, 서종수(2019). 한국 노인의 자원봉사 활동 및 근로활동 참여 결정요인. 한국가족복지학회지, 24(3): 389-406.
  11. 김태룡, 안희정(2019). 자원봉사의 활성화에 미치는 사회자본의 영향분석 자원봉사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9(3): 197-218.
  12. Ellison, N.B., Steinfield, C., & Lampe, C. (2007).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2(4): 1143-1168. https://doi.org/10.1111/j.1083-6101.2007.00367.x
  13. 이복자, 명승환(2010). 노인의 정보화 인식과 인터넷 활용이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미치는 영향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3(4): 151-179.
  14. 김명용(2018).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배우자관계 만족도, 자녀관계 만족도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3): 219-228. https://doi.org/10.5762/KAIS.2018.19.3.219
  15. 권중돈, 김유진, 엄태영(2012). 노인의 일상생활에서의 인터넷 활용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32(3): 835-850.
  16. 윤현숙, 이은경, 범경아, 김영자. 노인의 온라인 사회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5): 623-637.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623
  17. 김미령(2008). 노인의 부양의무기대, 부모역할만족 및 자녀결속력이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구가족복지학, 24, 161-188.
  18. 원장원, 양금열, 노용균, 김수영, 이은주, 윤종률, 조경환, 심호철, 조미룡, 오장렬, 윤도경, 이홍준, 이영수(2002). 한국형 일상생활수행능력 측정도구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노년학, 28(4), 1129-1145.
  19. 강철희, 김새로미, 이종화(2017). 노인의 나눔 행동 영향요인 연구. 기부금액과 자원봉사시간에 대한 연령대별 비교분석. 노인복지연구, 72(3): 429-456.
  20. 김판수(2014). 고령층 자원봉사 참여여부에 따른 인터넷 활용과 삶의 만족도 관계분석. 노인복지연구, 64(6): 187-206.
  21. 김창석, 최수일(2012).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동기와 활동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 한국 콘텐츠학회 논문지, 12(4): 315-326.
  22. 한국자원봉사문화(2020). 자원봉사활동 실태 조사 및 자원봉사활동 기본법 개정 연구. 행정안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