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ixed Method of Gap-jil Behavior in Educational Institutions : Focusing on abuse of authority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한 교육기관 내 갑질 행태에 관한 연구 : 권한남용을 중심으로

  • 최성광 (광주광역시교육연수원) ;
  • 최예나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
  • 김옥희 (광주광역시교육청 광주교육정책연구소)
  • Received : 2021.05.24
  • Accepted : 2021.06.25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abuse of authority among the types of power abus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order to create an educational climate in which democracy and equality are respected and to create a better education and an equal society. First, we analyzed the concept and cause of power abus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n explored the cases of member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abuse of authority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o derive implications. As a result, abuse of authority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found as follows: additional work without consultation, transfer of duties, coercive and unilateral instructions using status, instructions violating laws and guidelines, private instructions for personal convenience, specific institutions, personal rights, and privacy. Based on this analysis, a policy was proposed. First, an agreed standard for abuse of authority, an institutional mechanism to mediate conflicts and complaints over abuse of authority, mandatory installation and legislation of the best decision body, active and transparent disclosure of information, and a shift to open and listening administration are needed. Second, analyzing and seeking ways to reduce overuse of authorit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will be the cornerstone for leading education's democracy and equality by creating a culture of mutual respect and communication among members of the organization. Hope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carried out and that the Gap-jil in educational institutions will be reduced to create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이 연구는 교육기관 내 갑질 행태를 분석함으로써 민주성과 평등의 가치가 존중받는 교육 풍토를 조성하고 보다 나은 교육과 평등한 사회를 조성하고자 교육기관의 갑질의 유형 중 권한남용 행태를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갑질의 개념과 원인을 분석한 후 질적 연구를 통해 권한남용 유형에 따른 교육기관 구성원들의 사례를 탐색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교육기관 내 권한남용 사례는 협의 없는 업무추가와 업무전가, 지위를 이용한 강압적 지시, 법령과 지침을 위반한 지시, 관행, 개인 편의를 위한 사적 지시, 특정기관 또는 특정인 혜택을 위한 지시, 인격·권리·사생활 침해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권한남용에 대한 합의된 기준 마련, 권한남용에 대한 갈등과 불만을 중재할 제도적 장치 마련, 기관 내 최고의 결기구 의무설치 법제화, 모든 정보의 적극적이고 투명한 공개, 감성행정으로 전환 등을 제시하였다. 교육기관 내 갑질 행태를 분석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조직 구성원 간 상호 존중과 소통의 문화를 조성해 교육의 민주성과 평등성을 이끌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고 교육기관 내 갑질이 줄어들어 더 나은 교육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무조정실(2021). 국민 갑질 인식 설문조사 결과 . 국무조정실 부패예방추진단.
  2. 최휘경(2018). 듀이의 철학과 실험학교를 통하여 살펴본 민주적 학교공동체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표준국어대사전(2021.5.1.인출). https://ko.dict.naver.com/#/entry/koko.
  4. 한겨레신문(2021.2.15.). "갑질 의혹 중학교 교장 고교로..." http://www.hani.co.kr/(2021.04.30.)
  5. 한국일보(2020.12.13.). "교사에게 폭언 성희롱 등 갑질 교장 징계 정당" https://www.hankookilbo.com/(2021.04.30.)
  6. 이봉철(2013). 서구자유주의 권리이론 속 '甲乙패러다임'. 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28(2), 37-71.
  7. 류형서(2017). 외식산업에서 갑질이 종사원의 감정소진, 반생산적 업무행동, 이직의도 그리고 조직효율성,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윤해성, 이정주, 윤종설, 주용환, 이선중(2018). 공공분야 갑질의 원인 진단 및 종합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9. 법제처(2020). 공무원 행동강령. 국갑법령정보센터, 대통령령 제30607호, 2020. 4. 7., 일부개정.
  10. 김종두(2018). 갑질행위에 대한 인식과 개선방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4), 283-294.
  11. 행정안전부(2019). 공공분야 갑질 근절을 위한 가이드라인. 행정안전부 참고자료, 2019. 2.
  12. Mitchell, M. S., & Ambrose, M. L.(2007). Abusive supervision and workplace devi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negative reciprocity belief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1), 1159-1168. https://doi.org/10.1037/0021-9010.92.4.1159
  13. Einarsen, S.(2000). Harassment and bullying in the workplace: A review of the Scandinavian approach.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5, 379-401. https://doi.org/10.1016/S1359-1789(98)00043-3
  14. Bouckenooghe, D., Zafar, A., & Raja, U.(2015). How ethical leadership shapes employees'job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s of goal congruence nd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Business Ethics, 129(2), 251-264. https://doi.org/10.1007/s10551-014-2162-3
  15. Tepper, B. J.(2000). Consequences of abusive supervis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3(1), 178-190. https://doi.org/10.2307/1556375
  16. Tepper, B. J., Duffy, M. K., Henle, & C. A.(2006). Procedural injustice, victim precipitation, and abusive supervision. Personnel Psychology, 59(1), 101-123.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6.00725.x
  17. Harris, K. J., Kacmar, K. M., & Zivnuska, S.(2007). An investigation of abusive supervision as a predictor of performance and the meaning of work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8(3), 252-263. https://doi.org/10.1016/j.leaqua.2007.03.007
  18. Lin, W., Wang, L., & Chen, S.(2013). Abusive supervision and employee well-be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ower distance orientation. Applied Psychology, 62(1), 308-329. https://doi.org/10.1111/j.1464-0597.2012.00520.x
  19. Zellars, K. L., Tepper, B. J., & Duy, M. K.(2002). Abusive supervision and subordinates'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1), 1068-1076. https://doi.org/10.1037/0021-9010.87.6.1068
  20. Ashforth, B. E.(1997). Petty tyranny in organizations: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Canadian Journal of Administrative Sciences, 14(1), 126-140. https://doi.org/10.1111/j.1936-4490.1997.tb00124.x
  21. Mitchell, M. S., Ambrose, M. L.(2007). Abusive supervision and workplace devi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negative reciprocity belief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1), 1159-1168. https://doi.org/10.1037/0021-9010.92.4.1159
  22. 이인회, 이지혜(2016), 교육청 조직문화가 일반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 29(3), 87-110.
  23. 김대욱, 이희재(2016). 조직공정성, 직무만족, 조직몰입,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지방행정연구, 30(3), 155-180.
  24. 오정근(2017). 공유경제의 숙박공유플랫폼에 대한 서비스 갈등 요인 분석-양적 및 질적 통합접근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7(5), 34-40.
  25. Tashakkori, A., Teddlie, C.(2001). 통합연구방법론[Combining Qualitative Approaches]. (염시창 역). 서울: 학지사.
  26. Creswell, J. W.(2010).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전통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조흥식 외 역). 서울: 학지사.
  27. Hatch, J. A.(2008). 교육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 (진영은 역). 서울: 학지사.
  28. 김귀영, 박수연(2016). 서울시 청렴정책 개선 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29. 김흥주(2013). 공직자 부조리 신고포상금제도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7(1), 149-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