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ultural Tourism Industry Social Characteristics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문화관광산업 사회적 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이정숙 (서원대학교 대학원 창업경영학전공) ;
  • 강희석 (경주 그랜드 호텔)
  • Received : 2021.05.24
  • Accepted : 2021.06.25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Through this, it was attempted to present strategic implications for start-up plans to prospective entrepreneurs in the cultural tourism indust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prospective entrepreneur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need to analyze the start-up items they want to start and systematically design a start-up plan based on market research. Also, by analyzing various start-up cases, it is necessary to secure various prior experiences of failure and success. Second, prospective entrepreneur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will need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starting a business by completing various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nducted by more diverse institutions and schools than now, and they will have to increase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willpower that can appear in education. In addition, by making efforts to create human relationships through various entrepreneurship educ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show the utilization of human networks and information sharing when starting a business. Lastly, prospective entrepreneur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tourism industry should visit startup-related institutions and receive education and advice from experts in order to acquire various information.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more diverse start-up support by obtaining information on start-ups implemented by the state.

본 연구는 문화관광산업 분야에 대한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문화관광 산업 분야 내의 예비창업자에게 창업 방안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문화관광산업 분야 내의 예비창업자들은 창업하고자 하는 창업 아이템에 대한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창업 계획서를 시장 조사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창업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실패와 성공에 대한 다각적인 사전 경험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둘째, 문화관광산업 분야 내의 예비창업자들은 지금보다 더 다양한 기관 및 학교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창업교육을 이수하면서 창업에 대한 관심도를 더 높여야 할 것이고, 교육에서 나타날 수 있는 성취감과 의지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창업교육을 통해 인간관계 형성을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함으로써 창업시 인적네트워크 및 정보 공유의 활용도가 나타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화관광산업 분야 내의 예비창업자들은 다양한 정보획득을 위해 창업관련 기관 방문 및 전문가들의 교육, 자문들을 받아야 할 것이다. 또한 국가에서 실시하는 창업 정보를 얻음으로써 좀 더 다양한 창업도움(창업지원금 지원, 창업컨설팅 및 자문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중소기업창업법(2016.01.07)[시행 2016.1.7.][법률 제12960호. 2015.1.6, 타법 개정.
  2. 이지훈, 복준영(2020). 핵심 실무 중심 창업방법론. 북페리타.
  3. 이신모, 창업학(2002). 창업학. 다성출판사.
  4. Schumpeter(1934).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5. 이윤준 외(2019). 혁신창업 및 기업가정신 생태계 모니터일 사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6. 이정우 외(2018). 2018년 기업가 정신 모니터링사업: 혁신창업생태계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7. 정연우(2008). 청소년 창업교육, 예비창업자의 개인특성 및 창업지식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진주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Burt, R.(1992). Structural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9. Brass, D. J.(1992). Power in organization: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In: Moore G, Whitt JA, editors. Research in Politics and Society. Greenwich JAI Press.
  10. Tschannen-Moran, M., Hoy, A. W., Hoy, W. K.(1998). Teacher efficacy: Its meaning and measure. Review of education alresearch, 68(2): 202-248.
  11. Kourilsky, M.(1995). Entrepreneurship Education: Opportunity in Search of Curriculum. Business Education Forum, 50(10): 11-15.
  12. Ronstadt, R.(1984). Entrepreneurship. Dover. MA: Lord Publishing.
  13. Hills, G. E.(1988). Variations in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 Empirical Study of an Evolving Field.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3(2): 109-122. https://doi.org/10.1016/0883-9026(88)90021-3
  14. Han, J. H, Ko, U. J.(2007). Comparative Study of Entrepreneurship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s of Korea and the US.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Vacational Education. 26(2): 105-131.
  15. 최명철(2014). 청년 창업지원 사업이 외식 전공 대학생의 창업기회 인식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6. Casson, M.(1982). The Entrepreneur, Totowa, N. J. : Barnes & Noble Books.
  17. 조병주(1998). 창업 기회원천 분석과 기회탐색의 전략적 의미. 한국중소기업학회지, 20(1): 245-265.
  18. Krueger, N. F. et al.(1993). Entrepreneurial intentions: Apply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Entrepreneurship and Regional Development, 5(4): 315-330. https://doi.org/10.1080/08985629300000020
  19. Bird, B.(1988). Implementing entrepreneurial ideas: The case for inten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3(3): 442-453. https://doi.org/10.5465/AMR.1988.4306970
  20. Veciana, J. M. et al.(2005).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trepreneurship: a two countries comparison.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1: 165-182. https://doi.org/10.1007/s11365-005-1127-5
  21. Leffel, H.(2008). Influencing Entrepreneurial Intentfor New Technology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in a University and Entrepreneurs in a University Environment. Picmet, Proceedings.
  22. 김명숙 외(2013). 시니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창업의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11(3): 233-241.
  23. Crant, J. M.(1996). The Proactive Personality Scale as a Predictor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34(3):42-49.
  24. 김용태(2012). 사회적기업의 창업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정부지원정책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5. 박홍선(2019). 기술기반창업 기업의 기업가정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네트워크 유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이성욱(2017). 창업교육과 트리즈 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부모특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주명규(2012). 인터넷 쇼핑몰 창업교육의 실무적용 기대효과와 교육성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정회도(2013). 청년창업기회인식에 있어서 멘토링의 관한 연구: 자기효능감과 자기내면화의 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김현목(2013). 1인 창조기업가 정신이 창업기회 인식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SNS 활용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황다현(2020). 창업 환경적 특성이 대학생의 창업가 정신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강유미(2014). 한국 중장년층의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Nunnally, J. C.(1967).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33. Bagozzi, R. P., & Yi, Y.(199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
  34. Challagalla. G. N., & Shervani, T. A.(1969). Dimension and Type of Supervisory Control: Effects on Salespers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60(1): 89-105. https://doi.org/10.2307/1251890
  35. Singh, J., & Rhoads, G. K.(1991). Boundary Role Ambiguity in Marketing Oriented Positions: A Multidimensional, Multifaceted Operationaliz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8(3): 328-338. https://doi.org/10.2307/3172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