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본 논문의 일부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지원 과제 <어린이·청소년 보호를 위한 방송광고심의 개선방안> (KCSC 2020-04)의 제4장을 기반으로 수정, 보완하였음을 밝힙니다.
참고문헌
- Jhally, S.(1987). The Codes of Advertising: Fetishism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Meaning in the Consumer Society. St. Martin's Press. (윤선희 역(1996). 광고 문화: 소비의 정치경제학. 도서출판 한나래).
- Goffman, E.(1979). Gender Advertisements. Harper & Row, Publishers.
- Courtney, E. A. & Whipple, W. T.(1974). Women in TV Commercials. Journal of Communication, 24(2), 110-118. https://doi.org/10.1111/j.1460-2466.1974.tb00375.x
- 김종필(2014). TV 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성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 1993년, 2003년과 2012년의 광고 속 여성의 상역할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2): 193-233.
- 조이영, 김희정(2016). 라디오 광고에 나타난 성역할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30(5): 264-292
- 최은섭(2020).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화장품 TV광고의 여성 이미지 : 1991년~2019년의 마몽드 광고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1-26
- 김상준. 여전한 공익광고 성차별, "집안일 역할 78%가 여성", 머니투데이.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486395/2021.01.21.
- 김은하(2017). 소녀란 무엇인가. 소녀들: K-pop 스크린 광장(30-48). 도서출판 여이연.
- 조혜선. 여아 세워두고 '금발+바나나+스포츠카'...아우디 광고 논란. 동아닷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805/102307167/2 /2021.01.21
- 심윤지. 배스킨라빈스 '아동 성상품화' 논란... 해외였다면 제재 대상이었을까.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7031650001&code=940100#csidxf5ff6a08311259d8712f90930eddaf7 /2021.01.21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전체회의 방송광고 부문의결서(제2019-16차) http://www.kocsc.or.kr/cop/bbs/selectBoardList.do#LINK /2021.01.21
- Durham, M. G.(2008). The Lolita Effect: The Media Sexualization of Young Girls and What We Can Do About It. New York: Overlook Press.
- 정영희(2013). 광고 속 젠더 재현. 다시 보는 미디어와 젠더(265-298). 이화출판.
- Moon, Y. S.(2010). How Food Ads Communicate 'Health' with Children: a Content Analysis of Korean Television Commercial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4), 456-476. https://doi.org/10.1080/01292986.2010.496858
- 김경희, 강금지(1997). 어린이 시간대 식품광고에 대한 어린이들의 수용 태도.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3(5): 80-92.
- 김주아, 현은자(2019). 국내 비영리단체 후원모금 광고영상에 나타난 아동청소년의 특징과 낙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2): 424-437.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424
- 김희정(2003). 어린이 TV 광고에 나타나는 소비자 정보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7(1): 39-74.
- 남경태, 김봉철(2004). TV광고에 등장하는 어린이 모델의 표상에 관한 내용 분석. 광고연구, 63: 55-77.
- 안순태(2012). 어린이의 광고 리터러시 (Advertising Literacy). 한국언론학보, 56(2): 72-91.
- 이귀옥(2010). 어린이 대상 텔레비전 식품 광고의 특성. 방송통신연구, 41-69
- 이영석(1995). TV 아동용 광고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 175-208.
- 이정희, 박규원(2011). 어린이에 대한 사회적 표상 및 어린이 이미지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9(2): 327-338. https://doi.org/10.18852/BDAK.2011.9.2.327
- 최은섭(2017). TV광고에 나타난 양성적 성역할 분석. 광고PR실학연구, 10(4): 282-303.
- 한상필, 지원배(2010). 어린이 대상 식품광고의 현황과 내용분석 연구. 광고학연구, 21(4): 95-114.
- 현은자, 이은영, 김가영(2015). TV 상업 광고에 등장하는 어린이와 성인 모델의 이미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 44-54.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044
- 리대룡, 최은섭(2004). TV광고에 묘사된 아동층 내용분석: 성유형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2004년 봄철학술회논문집, 117-150.
- 오두범(1996). 포스트모더니즘과 텔레비전 광고, 광고학연구, 7(1): 185-207.
- McNair, B.(2002). Striptease Cultuer: Sex, Media and the Democratisation of Desire. London: Routledge.
- Paul, P.(2005). Pornified: How Pornography Is Damaging Our Lives, Our Relationships, and Our Families. New York: Henry Holt.
- Douglas, J. S.(2010). Enlightened Sexism: The Seductive Message that Feminism's Work Is Done. Times Books (이은경 역(2016). 배드 걸 굿 걸. 글항아리).
- Gatens, M.(1996). Imaginary bodies: Ethics, Power and Corporeality. Routledge. (조꽃씨 역(2021). 상상적 신체: 윤리학, 권력, 신체성. 도서출판b).
- Butler, J.(1990). Gender Trouble. Routledge. (조현준 역(2008). 젠더트러블. 문학동네).
- Deleuze, G.(1968). Difference et Repetition.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김상환 역 (2004). 차이와 반복. 민음사).
- Deleuze, G.(1991). Qu'est-ce Que la Philosophie?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이정임, 윤정임 역(1995). 철학이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
- Colebrook, C.(2002). Gilles Deleuze. Routledge. (백민정 역(2004). 질 들뢰즈. 태학사).
- 윤성우(2004). 들뢰즈: 재현의 문제와 다른 철학자들. 철학과 현실사.
- 조정환(2020). 개념무기들. 갈무리.
- 애드포털 사이트 https://www.tvcf.co.kr /20210121
- 김수아, 김세은(2017).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광고와 여성재현. 한국광고홍보학보, 19(2): 135-172.
- 권은아, 김성철(2013). 한국의 TV광고 속에 드러난 성적소구 양상의 변화.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4(2): 207-252. https://doi.org/10.22876/BNC.2013.14.2.006
- 리대용, 이상빈(1999). 광고인지 광고에 대한 윤리적 판단. 광고학연구, 10(1): 211-222.
- 이의자(1997). 섹스어필광고에 대한 청소년들의 반응 조사. 경성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편). 18(2): 173-212.
- Akoglu, H.(2018). User's Guide to Correlation Coefficients. Turkish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8, 91-93. https://doi.org/10.1016/j.tjem.2018.08.001
- 방송통신심의위원회(2020). 2019 방송심의 사례집.
- Williamson, J.(1978). Decoding Advertisements. London: Marion Boyars Publishing Ltd. (박정순 역(1998). 광고의 기호학. 나남출판).
- Barnet-Weiser(2007). What's Your Flava? Race and Postfemninism in Media Culture. Y. Tasker & D. Negra (Eds.), Interrogating Post-feminism(pp. 201-226).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 Duncan, M. C., Messner, M. A., Williams, L., & Jensen, K.(1994). Gender Stereotyping in Televised Sports. Women, Sport, and Culture (pp. 249-272). Human Kinetics Publishers.
- Elito, L.(2010). Pink Brain, Blue Brain: How Small Differences Grow into Troublesome Gaps - What We Can Do about It. New York: Mariner Books.
- Linn, S.(2004). Consuming Kids. Anchor. (김승욱 역(2006). TV 광고 아이들. 들녘).
- 김지숙(2017). 빈곤 포르노현상(Pornography of Poverty)에 대한 비판적 연구: 국내 온라인 모금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석사논문.
- 김주아, 현은자(2019). 국내 비영리단체 후원모금 광고영상에 나타난 아동청소년의 특징과 낙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2): 424- 437.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424
- 이광재(2018). 비영리단체의 모금 광고의 효과: 광고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그리고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2): 205-232. https://doi.org/10.22944/KSWA.2018.20.2.008
- 이민영.윤민화(2015). 비영리조직 모금실무자의 윤리적 갈등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7(2): 247-275. https://doi.org/10.22944/KSWA.2015.17.2.009
- 김양희(2020). 또 하나의 빈곤 포르노그래피: 소녀와 생리대. 여성연구, 104(1): 5-28. https://doi.org/10.33949/TWS.2020.104.1.001
- Deleuze, G. & Guattari, F.(1980). Mille P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erie 2. Les Editions de Minuit. (김재인 역(1996). 천개의 고원. 새물결).
- Stark, H.(2017). Feminist Theory After Deleuze. Bloomsbury Academic.
- Deleuze, G.(1969). Logique Du Sens. Editions de Minuit. (이정우 역(1999). 의미의 논리.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