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blematic Representations of Children and Teens in TV Commercials and Alternative Thinking

TV 광고의 어린이·청소년 재현 문제와 대안적 사유

  • Received : 2021.01.22
  • Accepted : 2021.02.25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representations of children and youths in TV commercials both quantitatively (May 2019-April 2020) and qualitatively (thirteen relevant cases). The study's case analyses explore the representation of the 'sexual objectification' of girls, the 'sexual spectacle' of female adolescents, representations that reinforce stereotypes of femininity/masculinity, and the objectification of girls to elicit sympathy for the purposes of raising donations. This study reveals that TV commercials and existing advertisements adhere to representations of established gender roles. This dichotomous representation of gender is problematic since it functions as the starting point of various sexual crimes and gender inequality. For example, most of the victims of the sexual exploitation incident called 'Room Number, N', which shocked Korean society, were female adolescents. These adolescents were seen as men's sexual objects because of this kind of dichotomous thinking. TV commercials are part of the binary representation of deep-rooted stereotypes regarding femininity and masculinity. This study problematizes this representation in order to surpass its limitations. Moreover, an alternative mode of thinking is suggested through the theory of Deleuze and Guattari.

본 연구는 TV 광고의 어린이 및 청소년의 재현 양식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어린이·청소년 등장 광고를 대상으로 양적 분석(2019년 5월~2020년 4월), 질적 분석(13편 사례)을 실시했다.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여아의 '성적 대상화' 및 여성 청소년의 '성적 스펙터클'로서의 재현, 여성성/남성성의 고정관념을 강화시키는 재현, 여아의 기부를 목적으로 한 동정의 대상화 등의 재현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기존 광고에서의 고정된 성역할 재현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성의 이분법적 재현은 각종 성범죄, 성불평등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N번방' 성착취 사건의 피해자 대부분은 여성 청소년이고 이들은 이분법적인 사고로 남성들의 성적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이다. TV 광고는 고질적인 여성성, 남성성의 이분법적 재현의 일부분이다. 이러한 재현을 문제시하고 들뢰즈와 가타리의 논의를 중심으로 대안적 사유를 제시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의 일부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지원 과제 <어린이·청소년 보호를 위한 방송광고심의 개선방안> (KCSC 2020-04)의 제4장을 기반으로 수정, 보완하였음을 밝힙니다.

References

  1. Jhally, S.(1987). The Codes of Advertising: Fetishism and the Political Economy of Meaning in the Consumer Society. St. Martin's Press. (윤선희 역(1996). 광고 문화: 소비의 정치경제학. 도서출판 한나래).
  2. Goffman, E.(1979). Gender Advertisements. Harper & Row, Publishers.
  3. Courtney, E. A. & Whipple, W. T.(1974). Women in TV Commercials. Journal of Communication, 24(2), 110-118. https://doi.org/10.1111/j.1460-2466.1974.tb00375.x
  4. 김종필(2014). TV 광고에 나타난 여성의 성역할 변화에 대한 연구: 1993년, 2003년과 2012년의 광고 속 여성의 상역할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2): 193-233.
  5. 조이영, 김희정(2016). 라디오 광고에 나타난 성역할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30(5): 264-292
  6. 최은섭(2020).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화장품 TV광고의 여성 이미지 : 1991년~2019년의 마몽드 광고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1-26
  7. 김상준. 여전한 공익광고 성차별, "집안일 역할 78%가 여성", 머니투데이.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4486395/2021.01.21.
  8. 김은하(2017). 소녀란 무엇인가. 소녀들: K-pop 스크린 광장(30-48). 도서출판 여이연.
  9. 조혜선. 여아 세워두고 '금발+바나나+스포츠카'...아우디 광고 논란. 동아닷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805/102307167/2 /2021.01.21
  10. 심윤지. 배스킨라빈스 '아동 성상품화' 논란... 해외였다면 제재 대상이었을까.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7031650001&code=940100#csidxf5ff6a08311259d8712f90930eddaf7 /2021.01.21
  11.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전체회의 방송광고 부문의결서(제2019-16차) http://www.kocsc.or.kr/cop/bbs/selectBoardList.do#LINK /2021.01.21
  12. Durham, M. G.(2008). The Lolita Effect: The Media Sexualization of Young Girls and What We Can Do About It. New York: Overlook Press.
  13. 정영희(2013). 광고 속 젠더 재현. 다시 보는 미디어와 젠더(265-298). 이화출판.
  14. Moon, Y. S.(2010). How Food Ads Communicate 'Health' with Children: a Content Analysis of Korean Television Commercials.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 20(4), 456-476. https://doi.org/10.1080/01292986.2010.496858
  15. 김경희, 강금지(1997). 어린이 시간대 식품광고에 대한 어린이들의 수용 태도.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3(5): 80-92.
  16. 김주아, 현은자(2019). 국내 비영리단체 후원모금 광고영상에 나타난 아동청소년의 특징과 낙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2): 424-437.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424
  17. 김희정(2003). 어린이 TV 광고에 나타나는 소비자 정보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7(1): 39-74.
  18. 남경태, 김봉철(2004). TV광고에 등장하는 어린이 모델의 표상에 관한 내용 분석. 광고연구, 63: 55-77.
  19. 안순태(2012). 어린이의 광고 리터러시 (Advertising Literacy). 한국언론학보, 56(2): 72-91.
  20. 이귀옥(2010). 어린이 대상 텔레비전 식품 광고의 특성. 방송통신연구, 41-69
  21. 이영석(1995). TV 아동용 광고가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 175-208.
  22. 이정희, 박규원(2011). 어린이에 대한 사회적 표상 및 어린이 이미지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9(2): 327-338. https://doi.org/10.18852/BDAK.2011.9.2.327
  23. 최은섭(2017). TV광고에 나타난 양성적 성역할 분석. 광고PR실학연구, 10(4): 282-303.
  24. 한상필, 지원배(2010). 어린이 대상 식품광고의 현황과 내용분석 연구. 광고학연구, 21(4): 95-114.
  25. 현은자, 이은영, 김가영(2015). TV 상업 광고에 등장하는 어린이와 성인 모델의 이미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 44-54.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044
  26. 리대룡, 최은섭(2004). TV광고에 묘사된 아동층 내용분석: 성유형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2004년 봄철학술회논문집, 117-150.
  27. 오두범(1996). 포스트모더니즘과 텔레비전 광고, 광고학연구, 7(1): 185-207.
  28. McNair, B.(2002). Striptease Cultuer: Sex, Media and the Democratisation of Desire. London: Routledge.
  29. Paul, P.(2005). Pornified: How Pornography Is Damaging Our Lives, Our Relationships, and Our Families. New York: Henry Holt.
  30. Douglas, J. S.(2010). Enlightened Sexism: The Seductive Message that Feminism's Work Is Done. Times Books (이은경 역(2016). 배드 걸 굿 걸. 글항아리).
  31. Gatens, M.(1996). Imaginary bodies: Ethics, Power and Corporeality. Routledge. (조꽃씨 역(2021). 상상적 신체: 윤리학, 권력, 신체성. 도서출판b).
  32. Butler, J.(1990). Gender Trouble. Routledge. (조현준 역(2008). 젠더트러블. 문학동네).
  33. Deleuze, G.(1968). Difference et Repetition.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김상환 역 (2004). 차이와 반복. 민음사).
  34. Deleuze, G.(1991). Qu'est-ce Que la Philosophie? Paris: Les Editions de Minuit. (이정임, 윤정임 역(1995). 철학이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
  35. Colebrook, C.(2002). Gilles Deleuze. Routledge. (백민정 역(2004). 질 들뢰즈. 태학사).
  36. 윤성우(2004). 들뢰즈: 재현의 문제와 다른 철학자들. 철학과 현실사.
  37. 조정환(2020). 개념무기들. 갈무리.
  38. 애드포털 사이트 https://www.tvcf.co.kr /20210121
  39. 김수아, 김세은(2017). 포스트페미니즘 시대의 광고와 여성재현. 한국광고홍보학보, 19(2): 135-172.
  40. 권은아, 김성철(2013). 한국의 TV광고 속에 드러난 성적소구 양상의 변화.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4(2): 207-252. https://doi.org/10.22876/BNC.2013.14.2.006
  41. 리대용, 이상빈(1999). 광고인지 광고에 대한 윤리적 판단. 광고학연구, 10(1): 211-222.
  42. 이의자(1997). 섹스어필광고에 대한 청소년들의 반응 조사. 경성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편). 18(2): 173-212.
  43. Akoglu, H.(2018). User's Guide to Correlation Coefficients. Turkish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8, 91-93. https://doi.org/10.1016/j.tjem.2018.08.001
  44. 방송통신심의위원회(2020). 2019 방송심의 사례집.
  45. Williamson, J.(1978). Decoding Advertisements. London: Marion Boyars Publishing Ltd. (박정순 역(1998). 광고의 기호학. 나남출판).
  46. Barnet-Weiser(2007). What's Your Flava? Race and Postfemninism in Media Culture. Y. Tasker & D. Negra (Eds.), Interrogating Post-feminism(pp. 201-226).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47. Duncan, M. C., Messner, M. A., Williams, L., & Jensen, K.(1994). Gender Stereotyping in Televised Sports. Women, Sport, and Culture (pp. 249-272). Human Kinetics Publishers.
  48. Elito, L.(2010). Pink Brain, Blue Brain: How Small Differences Grow into Troublesome Gaps - What We Can Do about It. New York: Mariner Books.
  49. Linn, S.(2004). Consuming Kids. Anchor. (김승욱 역(2006). TV 광고 아이들. 들녘).
  50. 김지숙(2017). 빈곤 포르노현상(Pornography of Poverty)에 대한 비판적 연구: 국내 온라인 모금 사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석사논문.
  51. 김주아, 현은자(2019). 국내 비영리단체 후원모금 광고영상에 나타난 아동청소년의 특징과 낙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2): 424- 437.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424
  52. 이광재(2018). 비영리단체의 모금 광고의 효과: 광고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그리고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0(2): 205-232. https://doi.org/10.22944/KSWA.2018.20.2.008
  53. 이민영.윤민화(2015). 비영리조직 모금실무자의 윤리적 갈등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7(2): 247-275. https://doi.org/10.22944/KSWA.2015.17.2.009
  54. 김양희(2020). 또 하나의 빈곤 포르노그래피: 소녀와 생리대. 여성연구, 104(1): 5-28. https://doi.org/10.33949/TWS.2020.104.1.001
  55. Deleuze, G. & Guattari, F.(1980). Mille P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erie 2. Les Editions de Minuit. (김재인 역(1996). 천개의 고원. 새물결).
  56. Stark, H.(2017). Feminist Theory After Deleuze. Bloomsbury Academic.
  57. Deleuze, G.(1969). Logique Du Sens. Editions de Minuit. (이정우 역(1999). 의미의 논리. 한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