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간호교육에서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을 적용한 다각적인 학습효과 : Kahoot!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Multi-faceted Learning by Application Game-based Student Response System in Nursing Education : Focusing on Kahoot!

  • 투고 : 2021.05.24
  • 심사 : 2021.06.25
  • 발행 : 2021.06.30

초록

본 연구는 성인간호학I 전공이론 교과목 위장관계 대상자 간호중재 주제에 카훗(Kahoot!)을 활용하여 총 6회의 수업을 적용한 후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카훗(Kahoot!) 수업 적용 후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간호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설계 실험연구로서 G광역시 일개 D대학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7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학습몰입 정도는 카훗(Kahoot!) 수업 적용 전 평균 2.75점에서 수업 적용 후 평균 2.95점으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6.257, p=.000). 비판적 사고 성향 정도는 카훗(Kahoot!) 수업 적용 전 평균 3.39점에서 수업 적용 후 평균 3.43점으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163, p=.032). 문제해결 능력 정도는 카훗(Kahoot!) 수업 적용 전 3.34점에서 수업 적용 후 3.42점으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032, p=.003). 카훗(Kahoot!) 수업 적용 후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비판적 사고 성향, 문제해결능력, 수업만족도는 각각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카훗(Kahoot!)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몰입(β=.307, p=.000), 문제해결능력(β=.158, p=.041) 순이었으며, 이러한 변수는 대상자의 수업만족도 요인을 15.2% 설명하였다(F=16.905, p=.000).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카훗(Kahoot!)을 활용한 수업은 간호교육의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임을 확인하였고,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교과목과 주제에 카훗(Kahoot!) 교수학습법을 적용하고 수업 효과를 검증하는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Kahoot!(Game-based Student Response System) on nursing education. This study used an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179 nursing students from one D university located in Gwangju, Korea. The Kahoot!(Game-based Student Response System) was provided for 6 time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26 and October 25, 2019.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IBM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engagement(t=-6.257, p=.00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levels before Kahoot!(Game-based Student Response Syste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t=-2.163, p=.03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levels before Kahoot!(Game-based Student Response System), problem solving ability(t=-3.032, p=.00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levels before Kahoot!(Game-based Student Response System).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among learning engagement(r=.375, p=.000),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r=.286, p=.000), problem solving ability(r=.291, p=.000)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at learning engagement(β=.307, p=.000), problem solving ability(β=.158, p=.041) predicts 15.2% in learning satisfaction(F=16.905, p=.000). In conclusion, Kahoot!(Game-based Student Response System) i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engage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o nursing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11).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 교육과학기술부, 서울.
  2. 기은정, 서동희, 정순아(2018). 간호교육에서의 스마트러닝 적용에 관한 융합연구의 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11): 519-527. https://doi.org/10.15207/JKCS.2018.9.11.519
  3. 강영동(2019). 게임앱 기반 스마트교육을 위한 수업모델 개발 방안 연구. 인문사회21, 10(3): 1617-1627.
  4. Wang, A.I.(2015). The wear out effect of a game-based student response system. Computers & Education, 82: 217-227. https://doi.org/10.1016/j.compedu.2014.11.004
  5. 김은경(2019). 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 스마트 러닝 구현을 위한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 활용 방안. 한국언어문화학, 16(2): 93-119.
  6. Wang, A.I., & Tahir. R.(2020). The effect of using Kahoot! for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149: 1-22.
  7.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and Row.
  8. 김종우, 김상욱(2014). 게임요소가 재미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학술대회 논문집, 160-163.
  9. 정현정(2019). 속삭임게임을 활용한 체계적 환자사정 및 보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학습자 경험탐색.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6): 143-153.
  10. Turan, Z., & Meral, E.(2018). Game-based versus non-game-based: The impact of student response system on students'achievement, engagements and test anxieties. Informatics in Education, 17(1): 105-116. https://doi.org/10.15388/infedu.2018.07
  11. Goksun. D.O., & Gursoy. G.(2019). Comparing success and engagement in gamified learning experiences via Kahoot and Quizizz. Computers & Education, 135: 15-29. https://doi.org/10.1016/j.compedu.2019.02.015
  12. 황지원, 김정애, 황슬기(2021). 간호교육에서의 게임기반 학생응답시스템(GSRS) 적용 효과: 학습몰입을 중심으로. 융합정보논문지, 11(1): 156-166. https://doi.org/10.22156/cs4smb.2021.11.01.156
  13. 윤진(2004).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간호학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석재, 장유경, 이헌남, 박광엽(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 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서울.
  15. Dellos. R.(2015). Kahoot! A digital game resource for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Distance Learning. 12(4): 49-52.
  16. 이우미(2004). 교육용 게임 기반 학습에서 메타 인지 및 몰입 수준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Licorish, S.A., George, J.L., Owen, H.E., & Daniel, B.(2017). "Go Kahoot!" enriching classroom engagement, motivation and learning experience with games. 2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in education. New Zealand: Asia-Pacific Society for Computers in Education.
  18. Cutri, R., Marim, L.R., Cordeiro, J.R., Gil, H.A.C., & Guerald, C.C.T.(2016). Kahoot, a new and cheap way to get classroom-response Instead of using clickers. American Society Engineering Education 123rd Annual Conference & Exposition, New Orleans.
  19. Zarzycka-Piskorz, E.(2016). Kahoot it or not? Can games be motivating in learning grammar? Teaching English with Technology, 16(3): 17-36.
  20. 안미리, 염주영, 김선영, 정지연(2020). 국내 게임기반학습과 교육 게이미피케이션 설계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26(3): 425-453.
  21. 신승희, 김태은(2020). 카훗(Kahoot!) 앱을 활용한 초등영어 이야기기반 읽기, 쓰기 수업: 문항 제작 활동 및 오류 수정 양상을 중심으로. 멀티미디어관련언어학습, 23(3): 180-205.
  22. 김다혜(2019). 삼차원 시각화 애플리케이션과 게임기반학습의 맨눈해부학 교육에 대한 효과. 해부 생물인류학, 32(3): 101-108.
  23. 조미경, 김미영(2016). 플립러닝을 활용한 건강사정 및 실습 교육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2): 81-90. https://doi.org/10.5762/KAIS.2016.17.12.81
  24. 김아영, 탁하얀, 이채희(2010). 성인용 학습몰입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4(1): 39-59.
  25. 김민경(2006). 문제중심학습(PBL) 상황에서 조직몰입이 학습성과 및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Fotaris, P., Mastoras, T., Leinfellner, R., & Rosunally, Y.(2016). Climbing up the leaderboard: An empirical study of applying gamification techniques to a computer programming class. The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14(2): 94-110.
  27. Ismail, M.A.A., & Mohammad, J.A.M.(2017). Kahoot: A promising tool for formative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Education in Medicine Journal, 9(2): 19-26. https://doi.org/10.21315/eimj2017.9.2.2
  28. Ismail, M.A.A., Ahmad, A., Mohammad, J.A.M., Fakri, N.M.R.M., Nor, M.Z.M., & Pa, M.N.M.(2019). Using Kahoot! as a formative assessment tool in medical education: a phenomenological study. BMC Medical Education, 19(1): 1-8. https://doi.org/10.1186/s12909-018-1418-5
  29. Felszeghy, S., Pasonen-Seppanen, S., Koskela, A., Nieminen, P. Harkonen, K., Paldanius, K.M.A., Gabbouj, S., Ketola, K., Hiltunen, M., Lundin, M., Haapaniemi, T., Sointu, E., Bauman, E.B., Gilbert, G.E., Morton, D., & Mahonen, A.(2019). Using online game-based platforms to improve student performance and engagement in histology teaching. BMC Medical Education, 19(1): 1-11. https://doi.org/10.1186/s12909-018-1418-5
  30. Castro, M.J., Lopez, M., Cao, M.J., Fernandez-Castro, M., Garcia, S., Frutos, M., & Jimenez, J.M.(2019). Impacts of educational games on academic outcomes of students in the Degree in Nursing. PLoS ONE, 14(7): 1-12.
  31. 정미라, 정은(2018). E-book 기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2): 490-501.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490
  32. 하영선, 손명지(2020). COVID-19 특별재난지역의 일개 간호대학생을 위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11): 461-473. https://doi.org/10.15207/JKCS.2020.11.11.461
  33. 강진호, 박아름, 한승태(2020).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4(5): 289-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