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the Distributive Justice on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분배공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병록 (건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1.01.18
  • Accepted : 2021.02.25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research purpose is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ve justice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worker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distributive justice and the turnover intention.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to workers of 14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 and the 365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ng as follows: 1) the distributive justice of the worker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effected the turnover intention negatively and the job satisfaction positively. In addit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was proved between the distributive justice and the turnover inten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distributive justice is the important independent variable of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is the important parameter between the two variables. According to these analysis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workers being engaged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in terms of the improving their distributive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분배공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과 충남 지역의 장애인복지관 14개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 365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분배공정성이 이직의도에 부적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이 관계에서 직무 만족의 부분매개효과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분배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급여 개선과 승진체계의 개편이 필요하다. 그리고 비정규직의 감소와 인력배치 수준의 개선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모범시설에서의 현장실습과 견학, 적절한 슈퍼비전의 제공, 인권침해로부터의 보호, 사회적 지지의 강화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장애인복지관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복지관에서의 멘토링, 동아리활동, 휴식지원 사업 등의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재영, 장순욱, 안형진(2017). 장애인복지관의 서비스 환경 변화와 대응 과제, 한국사회복지교육, 37: 89-113.
  2. 김우호(2017).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요구-직무자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장순욱(2018). 장애인복지관 평가제도 개선을 위한 메타평가. 삼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민철(2019).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최영관, 전동일(2014).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재활복지, 18(2): 101-125.
  6. 신경희(2016).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성과 보건복지학회, 5(1): 75-98.
  7. 윤예숙, 조성열, 변용찬, 송근찬(2019). 장애 인재활전문가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 559-573. https://doi.org/10.5392/JKCA.2019.19.01.559
  8. 이지선, 강철희, 최수찬(2019). 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1(2): 257-285. https://doi.org/10.22944/KSWA.2019.21.2.010
  9. 전숙영, 이창원(2017). 분배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행정학회, 16(2): 21-49.
  10. 한승주, 주재현, 임지혜(2018). 사회복지공무원의 문화성향과 직무만족의 관계, 국가정책연구, 32(1): 83-106.
  11. 표선영(2020). 분배 및 절차공정성 인식이 중앙부처 공무원들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32(3): 611-642.
  12. 최영신(2020).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30(3): 131-153.
  13. 김선희(2019). 장애인활동보조인의 분배공정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23(3): 385-407.
  14. Barak, K. E., Nissly, J. A., & Levin, A(2001). A Antecedents to Retention and Turnover among Child Welfare, Social Work, and Other Human Service Employees: What Can We Learn from Past Research?. Social Service Review, 75(4): 621-661.
  15. Harris, K. J., and Boonthanom, R.(2005).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and Cooperation as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ntent to Turnover.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17(1): 26-42.
  16. 김동기(2011). 장애인 활동보조서비스 코디네이터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재활복지, 15(3): 267-288.
  17. 박재경(2018).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예명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연이섬(2019).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재활복지, 23(4): 195-222.
  19. 김동기, 엄숙희, 이길준(2019).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공공정책연구, 36(1): 147-173.
  20. 엄숙희(2020).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 웅(2020).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복지학, 47: 5-30. https://doi.org/10.22779/KADW.2020.47.47.5
  22. 이병록(2012).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2(4): 123-150. https://doi.org/10.15709/HSWR.2012.32.4.123
  23. 이성윤(2002). 노인복지기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사 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임동훈(2017). AMOS 24 구조방정식 모형, 자유아카데미.
  25. Kline, R.(2010).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ed). NY: Guilford Press.
  26. Tucker, L. R., and Lewis, C.(1973).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1): 1-10. https://doi.org/10.1007/BF02291170
  27. Brown, M. W., and Cudeck, R.(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P:Sage.
  28. 임진섭, 이혁준, 임정훈(2012). 조직공정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3(1): 89-115.
  29. 강철희, 이종화(2019).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직장이동과 직업이동 분석, 사회복지연구, 50(3): 93-129. https://doi.org/10.16999/KASWS.2019.50.3.93
  30. 박스잔, 김윤재(2018). 요양보호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13(2): 159-175. https://doi.org/10.16972/APJBVE.13.2.201804.159
  31. 이익섭, 김성연, 이병화(2010).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연구, 장애와 고용, 20(1): 289-312.
  32. Stone, R. I., & Wiener, J. M.(2001). Who Will Care for Us? Addressing the Long-term Care Workforce Crisis. Washington, D. C: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33. Super, N.(2002). Who will be There to Care? The Growing Gap between Caregiver Supply and Demand. Washington, D. C: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34. Smith, K., & Baughman, R.(2007). Caring for America's Aging Population: A Profile of the Direct-care Workforce. Monthly Labor Review.
  35. 백정기, 조창빈, 김두영(2020).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분석, 재활복지, 24(1): 49-69.
  36. 조상미, 정희수, 한예선(2020). 사회복지 종사자의 근로조건: 무엇이 변화되고 그 경험은 어떠한가?, 한국사회복지학, 72(3): 85-107.
  37. 하석철, 양지훈(2019). 요양보호사의 임금 공정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 정책, 46(1): 83-105.
  38. 신문영, 박종두(2020).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융합정보논문지, 10(7): 98-107.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7.098
  39. 김라윤(2020). 재가 및 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뇌교육연구, 26: 59-72.
  40. 하성규, 이진향(2020). 사회복지종사자가 지각한 인권보장 수준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과 소진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공공사회학회, 10(1): 105-130.
  41. 인선우, 박수경(2019).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 소진, 직무만족과의 관계, 한국지역사회복지학, 69: 73-102.
  42. 이 웅, 김동기(2011).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7(2): 115-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