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atre without its Three Elements : Focused on Performance and Experiment

연극의 3요소가 없는 연극에 대한 연구 : 공연과 실험을 중심으로

  • Park, Yi-Seul (Department of Theater and Literary Arts, Cheongju University)
  • 박이슬 (청주대학교 연극문학예술학과)
  • Received : 2021.01.23
  • Accepted : 2021.02.25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is study started with curiosity about theatre without its three elements and would reveal its possibility through performance and experiment and promote the expansion of each element and the development of a new form at the same time. After the occurrence of COVID-19, theatre has come up against a big limitation of contact-free, untact communication due to its inherent characteristic of 'presence.' For the survival of theatre in the rapidly changing world, it is desperately necessary to check the existing performance method and to be concerned about its development for the future. Thus, this researcher started from a more fundamental exploration of theatre focused on an "experiment of theatre without its three elements" and would sort out the three elements (actors, audience, and a play)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Also, the researcher would investigate the impacts of these elements on the performance and the possibility of theatre even after removing the elements through performance and experiment. This study consists of one performance and two experiments and is based on the interviews and progress details conducted by the planner and experimenter and the survey with the experiment participa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ts reflection on the essence of the genre, theatre, and the roles of all elements constituting that, not from a narrow perspective that would simply define the concepts of the elements but through the expansion and change of them. Furthermore, hopefully, it will be connected to the discovery of a new theatrical format that has not been considered through its combination with another genre.

본 연구는 연극의 3요소가 없는 연극에 대한 호기심으로 출발하여 공연과 실험을 통해 가능성을 밝혀 보고 각 요소의 확장과 동시에 새로운 형식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코로나19의 등장 이후, 연극은 현장성이라는 고유한 특성에 따라 비대면, 언택트 소통의 큰 한계에 부딪혀있다.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연극의 생존을 위해서는 기존의 공연 방식을 점검하고, 미래로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형식에 대한 고민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더 본질적인 연극에 대한 탐구로 시작한 '연극의 3요소가 없는 연극 실험'을 중심으로 3요소(배우, 관객, 희곡)를 거시적인 관점으로 정리해본다. 또 공연과 실험을 통하여 이 요소들이 공연에 미치는 영향과 요소들의 제거에도 연극이 가능한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연구는 한 번의 공연과 두 번의 실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획자, 실험자의 인터뷰와 진행 내용 및 실험 참여자의 설문을 바탕으로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수림, <연극의 3요소 없는 연극 연구>의 기획자, 인터뷰.
  2. 김동권, 김소임, 김찬자, 이형식, 정명자(2004). 연극의 이해, 건국대학교 출판부, pp. 13-26.
  3. 이두현(2017). 한국연극사, 화연사, pp. 13-26.
  4. 서연호(2005). 한국연극사, 연극과 인간, pp. 14-16.
  5. 장한기(2005). 증보 한국연극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pp. 1-5.
  6. Oscar G, Brockett. (2014). The Theater : An Introduction. 연극개론, 김윤철 역, 연극과 인간. pp. 11-30.
  7. 권용(2017). '이머시브 공연'(immersive performance)의 확장된 의미로서의 공간연구 : 연극 ≪메모리얼: 조용한 식탁≫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5): 20.
  8. 차범석, 유민영, 조남철(2000). 한국희곡론,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pp. 1-20.
  9. 조남철, 이재명(2016). 한국희곡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pp. 4-25.
  10. Englhart, Andreas. (2017). Post '60 hyeondae Dogil yeongeuk. post' 60 현대독일연극, 이경미 역, 연극과 인간, pp. 17-18.
  11. 서연호(2005). 한국현대희곡사, 고려대학교 출판부, pp. 1-6.
  12. Jacques, Ranciere. (2016). The emancipated spectator, 해방된 관객. 양창렬 역. 현실문화. p. 30.
  13. 장은아(2015). 참여형 연극 교육을 통한 기업교육과정 연구 - 아우구스또 보알의 토론 연극을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7.
  14. 박성연(2020). 리차드 셰크너의 작업에 나타난 수행성 미학 연구, 연기예술연구, 18: 71-83.
  15. 우현, 오프라인페스티벌리뷰. https://www.seoulfringefestival.net:5632/load.asp?subPage=520&board_md=view&fk_idx=100&srch_idx=34971&page=1 2020.8.26.
  16. 나른, 2020 서울 프린지 페스티벌 공연 리뷰, https://m.blog.naver.com/0313heeju/222061476708
  17. 라경민(2020). 극단 '물결'의 <밑바닥에서>(2019)에 나타난 포스트 드라마 연극 특성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3): 296.
  18. 심재민(2020). 강량원와 극단 동의 연극 미학,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3): 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