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Brand Community Members' Desired Value : Focusing on Case of BTS and ARMY

브랜드 커뮤니티 구성원의 추구가치 분석 : 방탄소년단과 아미 사례를 중심으로

  • Lee, Min-ha (Davinci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이민하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 Received : 2021.03.23
  • Accepted : 2021.04.26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A brand community refers to a group of people who have a passion and loyalty for the brand,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o increase brand equity because it actively tends to support and promote the brand without expecting compens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are needed for sustainable brand community management. Existing studies on brand community management have mainly been conducted by quantitative methods measuring consu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towards brand community activities, however, this study applied qualitative methods using means-end chains and laddering approaches in order to deeply identify a consumer's desired value on brand community activities. An in-depth interview of 41 members of BTS ARMY, a representative example of brand community, has been conduct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order to encourage active brand community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provide brand community members with a variety of high-quality brand-related content for a unique aesthetic experience, and a forum where all members can interact and exchange information and ideas to enhance brand value and experience. Finally, to nurture a strong brand community as a partner to co-create brand equity, rather than just a fan community, it is needed to build an environment that fosters opportunities for brand community members to increase self-respect and fulfillment through their brand community activities.

브랜드 커뮤니티는 브랜드에 대한 신념과 열정을 가진 사람들의 집단으로, 보상에 대한 기대 없이 브랜드 홍보를 자발적,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기업으로 부터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커뮤니티의 활성화와 지속적 운영을 위해 브랜드 커뮤니티 구성원의 추구 가치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브랜드 커뮤니티 참여 동기와 추구 가치에 관한 연구는 그간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에 대한 사후 만족도를 측정하는 양적 연구 위주로 진행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참여를 강화하기 위한 요인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수단-목적 사슬이론과 래더링 기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브랜드 커뮤니티의 대표적 사례인 방탄소년단 팬 커뮤니티 '아미' 41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브랜드 커뮤니티 구성원의 적극적인 브랜드 커뮤니티 활동을 위해서는 첫째, 구성원이 양질의 심미적 체험을 할 수 있는 브랜드 관련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둘째, 회원 간 상호작용과 정보 교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하여 브랜드에 대한 관심을 함께 나누면서 재미와 행복감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브랜드 커뮤니티가 단순히 브랜드를 사랑하는 팬 공동체에 머무르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과 함께 브랜드 가치 공동창출에 기여하는 파트너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구성원의 자아존중감이나 성취감을 함양할 수 있는 방법도 함께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0년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20S1A5A8045542).

References

  1. Muniz, A. M. & O'guinn, T.(2001). Brand commun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7: 412-432 https://doi.org/10.1086/319618
  2. Schau, H. J., Muniz Jr, A. M., & Arnould, E. J.(2009). How brand community practices create value. Journal of marketing, 73(5): 30-51. https://doi.org/10.1509/jmkg.73.5.30
  3. 나경수, 손영석(2014). 소비자들의 브랜드 커뮤니티 동기가 브랜드 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과정에 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25(4): 1-22.
  4. 김현정, 김유경,이승철(2019). 브랜드 인게이지먼트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플랫폼 브랜드로서의 SNS 이용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30(4): 85-113.
  5. 황금주, 박미연, 이일한(2014). 소비자의 브랜드 에반젤리즘에 관한 실증연구: 소비자 개성-브랜드 에반젤리즘-가치공동창출 및 브랜드 컬티즘 모형과 자아일치성의 조절효과. 마케팅관리연구, 19(4): 149-172.
  6. 김은경(2016).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 시점에 따른 가치단계도 비교분석 : 수단-목적 사슬이론과 래더링 결과를 중심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41: 37-77.
  7. 이주경(2018). 류승완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활용한 한국전통공연 관객의 추구가치 분석, 예술경영연구, 46: 136-165.
  8. Gutman(1997). Means-end chains as goal hierarchies. Psychology & Marketing, 14(6): 546-560. https://doi.org/10.1002/(SICI)1520-6793(199709)14:6<545::AID-MAR2>3.0.CO;2-7
  9. 김영재(2017).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적용한 여가가치체계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1(3): 55-73.
  10. 김예랑, 방탄소년단, 이쯤 되면 '신기록소년단', https://www.hankyung.com/entertainment/article/201809125625H 2018.09.12.
  11. 윤여광(2019). 방탄소년단(BTS)의 글로벌 팬덤과 성공요인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3): 13-25.
  12. 조성은, 조원석(2021). 방탄소년단 팬덤 '아미(ARMY)'와 팬번역, 번역학연구, 22(1): 247-278. https://doi.org/10.15749/JTS.2021.22.1.010
  13. 이지행(2020). 서구미디어의 지배담론에 대한 방탄소년단 글로벌 팬덤의 대항담론적 실천 연구, 여성문학연구, 50: 79-114.
  14. 김은정(2020). 뉴미디어 시대의 팬덤과 문화 매개자: 방탄소년단 (BTS)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 378-391. https://doi.org/10.5392/JKCA.2020.20.01.378
  15. 안광호, 이재환(2013). 소비자 자아-브랜드개성 일치성과 지각된 품질이 브랜드 사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소비자학연구, 24(4): 125-146.
  16. 이기록, 최진아, 김재진(2015). 브랜드 및 소비자 성격 특성이 동일시와 브랜드 에반젤리즘에 미치는 영향: 컬트브랜드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마케팅논집, 23(3): 179-208.
  17. 강인원, 손제영(2017). 소셜미디어 환경에서 브랜드 커뮤니티의 질적 수준이 이용자들의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18(6): 93-110.
  18. McAlexander, J. H., Schouten, J. W., & Koenig, H. F.(2002). Building brand community. Journal of marketing, 66(1): 38-54. https://doi.org/10.1509/jmkg.66.1.38.18451
  19. Stokburger-Sauer, N.(2010). Brand community: Drivers and outcomes. Psychology & Marketing, 27(4): 347-368. https://doi.org/10.1002/mar.20335
  20. Liu Danyang, 김효정, 박민정(2020). 럭셔리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고객 인게이지먼트가 중국 소비자의 구매의도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문화연구, 28(5): 621-638. https://doi.org/10.29049/rjcc.2020.28.5.621
  21. 이경렬, 정선교(2007). 브랜드 커뮤니티 활용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커뮤니티 이용동기, 몰입, 그리고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5(1): 63-92.
  22. Flint, D. J., & Woodruff, R. B.(2001). The initiators of changes in customers' desired value: results from a theory building study.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0(4): 321-337. https://doi.org/10.1016/S0019-8501(99)00117-0
  23. Morar, D. D.(2013). An overview of the consumer value literature-perceived value, desired value. Marketing from information to decision, 6: 169-186.
  24. 송기인(2006). 온라인 소프트웨어 래더링을 통한 서비스 종사자에 대한 가치구조 연구: 수단-목적 사슬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2(2): 203-228.
  25. 조언위(2007). 발레공연 관람객의 추구가치 분석: 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한학진, 이홍규(2014). 수단-목적사슬 (MEC) 이론의 소프트 & 하드래더링 기법에 따른 제주올레 관광객의 가치 비교연구. 호텔관광연구, 16(2): 98-121.
  27. 김윤경, 이형룡(2019). 호텔 패키지 이용고객의 가치추구 비교 연구-래더링 기법사용: 특급호텔 이용고객 대상. 관광연구저널, 33(7): 117-131.
  28. 송기인(2017). 페이스북에 대한 대학생의 가치 및 가치 단계도 (HVM): 수단-목적 사슬 이론과 래더링 기법의 적용. 광고연구, 115: 332-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