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백제<호선무(百濟胡旋舞)> 버전 콘텐츠 설정연구 - 한류(韓流)의 진원 <백제기악(百濟伎樂)>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tting of Contents in the Baekje Hoseonmu Version - Focused on the Baekje Instrumental Music, the Epicenter of Korean Wave -

  • 투고 : 2020.11.21
  • 심사 : 2021.01.25
  • 발행 : 2021.01.31

초록

<호선무(胡旋舞)>는 악가무적 장르이다. 당시 <호선무>가 백제에서 널리 알려진 기록은 없으나 수양제(隋煬帝)가 장안(長安)으로 <호선무>를 초청한 것은 당시 백제의 인기상품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백제기악 <호선무> 버전의 콘텐츠를 악가무적 장르로 설정하였고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제기악>의 공연무대 설정은 중국의 주변국 <기악>의 4방 악의 학설을 분석하여 <백제기악>의 모습을 짐작하였다. 그리고 <백제궁중기악(百濟宮中伎樂)>의 무대를 활용하여 <호선무>의 무대를 설정하였다. 둘째, <호선무>의 춤 동작은 천상과 지상의 두 종류를 통해 동작을 구상하였다. <호선무는> 초당(618~707)에 나타난 제220굴 벽면의 그림과 <동방약사경변>·<서방정토경변>에 그려진 그림으로 설정했다. 셋째, <호선무>는 원안에서 '빠르게 돌아가는 춤'으로 수용하여 백제기악 <호선무>의 춤 동작을 설정하였다. 넷째, 미마지(味摩之) <기악무(伎樂舞)>를 제시하여 <호선무> 춤과 의상을 구체화 하였다. 여기에는 무용수가 여섯 사람이 참여하고 두 차례로 나누어 출연한다. 앞에는 4명, 뒤에는 2명이 배치되며 무용수의 '장속(裝束)'은 사냥꾼의 복장에 도깨비 가면을 쓰고 오른손에 꽃핀 매화나무 가지를 들고 있다. 이를 통하여 <호선무>의 동작과 의상을 좀 더 세부적으로 재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백제기악(百濟伎樂) <호선무(胡旋舞)> 버전의 콘텐츠를 교육·연극·무용·관광 등에서 다양하게 설정하여 활용하면 경제 활성화는 물론, 한류화(韓流化)에 기여할 수 있다.

Hoseonmu belongs to the genre of a composite of song, music, and dance. At that time, there was no widely known record of Hoseonmu in Baekje, but it is clear that it was popular enough to be invited to Changan by Emperor Yang of Sui. The musical instruments, songs, and dances were analyzed through the research method of literature and the content of the Hoseonmu version was established. The setting of the stage for the performance of Baekje instrumental music reveals its characteristics through sabangak from Gigaku in the neighboring countries. The stage for Hoseonmu was set up utilizing the creation of the imperial performance stage in the Baekje instrumental music. In particular, Hoseonmu has two types: heavenly and earthly. The heavenly Hoseonmu can be found on the wall of the Cave No. 220 formed in the Chodang (618-707) era. They include Dongbang Pharmacopoeia jingbian and Western Paradise jingbian. Hoseonmu would have chosen to be the fast-paced spinning dance. Motions for Hoseonmu could be set up through them. Meanwhile, Mimaji's instrumental dance is presented. Six dancers appear in two turns of the performance. Four dancers in front row and other two in the back are dressed up as hunters, wearing goblin masks, and holding flowering plum tree branches in their right hands. Through this, the movements and costumes of Hoseonmu are reproduced in more detail. Various sectors of education, theater, dance, and tourism in the Hoseonmu contents of Baekje instrumental music contributed to the Korean Wave.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B5A07084775)

참고문헌

  1. 김부식(1146). 삼국사기(三國史記), 제32권 잡지 제1권.
  2. 박근진(1233). 교훈초(敎訓抄).
  3. 안배계상(1903). 악가록(樂歌綠), 한국학 중앙연구원.
  4. 마단림(1319). 문헌통고(文獻通考), 348권, 서울특별시 교육청, 전자도서관.
  5. 백제기악 오늘날 한류의 원조, 특급뉴스, 2019.4.22.
  6. 이종숙(2007). 고구려 호선무와 강국의 호선무의 이원성 고찰, 무용역사 기록학회, 6권 6호.
  7. 손대환(2018). 한국연극사의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백제궁중기악 교육 콘텐츠연구: -정읍사와 가무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8): 365-368.
  8. 이혜구(1959). 기악과 산대가면극, 조선학보.
  9. 백제기악 복원방안 심포지엄, 연합뉴스, 2003.05.27.
  10. 서연호(2008). 동서 공연예술의 비교연구, 연극과 인간.
  11. 백제궁중기악 공주시의 트레이드마크 위한 첫 걸음, 백제뉴스, 2018.01.28.
  12. 마단림(1319). 문헌통고(文獻通考), 348권, 서울특별시 교육청, 전자도서관.
  13. 구중회(2011). 풍속문화로 만난 무령임금 무덤의 12가지 비밀, 서경문화사.
  14. 양인리우 저, 이창숙 옮김(1999). 중국고대음악사, 서울: b 솔.
  15. 백제궁중기악의 상설공연, 특급뉴스, 2018.01.02.
  16. 백제기악 미마지 탈춤공연 정기공연 열려, 특급뉴스, 2017.07.19.
  17. 백제기악의 k-팝 현상 '문화예술 토크쇼 개최, 대전일보, 2013.07.14.
  18. 두우(735~812). 통전(通典).
  19. 구양수(1060). 신당서(新唐書).
  20. 김성혜(2009). 한국 삼국시대 음악사 연구, 민속원.
  21. 진양(1441). 악서(樂書).
  22. 권오성(1999). 한민족 음악론, 학문사.
  23. 중국학자 "둔황석굴에 한반도 사람묘사 벽화 40곳" 연합뉴스, 2018.07.07.
  24. 사돈우(史敦宇), 김순진(金), https://baike.baidu.com/item/%E6%95%A6%E7%85%8C%E8%88%9E%E4%B9%90%E7%BA%BF%E6%8F%8F%E9%9B%86/2075672?fr=aladdin/ 2020.12.06.
  25. 장사훈(1991). 악가록, 증보한국음악사, 세광 음악 출판사.
  26. 정호완.구중회.박동록.이남규.임윤수.조재훈 (2017). 스토리텔링 백제가요, 서경문화사.
  27. 등전양(藤田洋)(2008). 가부키의 사전, 신성출판사.
  28. 도변신일랑(2002). 천공의 옥좌: 중국고대제국의 조정과 의례, 신서원.
  29. 홍주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id=10013612&local_id=10014793/2020.12.26.
  30. 손대환(2018).백제 궁중기악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4): 13-25.
  31. 이종숙(2006). 고구려 호선무의 정체연구, 한국국악학회논문지, 40: 305-326.
  32. 박재희(1992). 고려시대 무용고: 호선무를 중심으로, 대한 무용학회논문지, 14: 33-54.
  33. 최해리(1994). 중국의 둔황벽화 무용과 인도 무용의 비교, 무용예술 7.8호.
  34. 황희정(2017). 실크로드 문화권에서 회전춤의 역사와 발전: 호선무(胡旋舞), 수피춤(suf idance), 사마춤(sama), 우리춤과 과학기술, 13(1): 41-46.
  35. 이두현(2017). 한국연극사, 화연사.
  36. 심우성(1975). 한국의 민속극 1부, 연희본 13편, 창작과 비평사.
  37. 서연호(2005). 한국연극사, 연극과 인간.
  38. 웅진문화회 29일 베트남서 백제기악 초청공연, 백제뉴스, 2019.04.04.
  39. 백제 미마지 탈이 온다, 특급뉴스, 2018.06.18.
  40. 조영인(2019), K-POP과 전통예술의 융합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전통예술의 대중화 방안 연구 -BTS의 IDOL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2): 27-36.
  41. 최표(崔豹, 연대미상). 진(晉)나라, 고금주(古今注).
  42. 범엽(范曄, 398~445). 후한서.
  43. 단안절(890). 악부잡록 (樂府雜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4. 일연 저, 김원중 역저(2008). 삼국유사, 믿음사.
  45. 백거이(772-846). 호선녀.
  46. 장소원, 가위, 조휘(940-945). 구당서, 지(志) 30권.
  47. 공주시, 백제궁중기악 시연한다, 중부매일. 2016.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