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reative Music Drama Teaching Plan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Piano Ensemble - Focusing on 'Peter & The Wolf' -

피아노앙상블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음악극 지도 방안 - 피터와 늑대를 중심으로 -

  • Park, Joo-W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inhan University)
  • 박주원 (신한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0.11.20
  • Accepted : 2021.01.25
  • Published : 2021.01.31

Abstract

Nowadays, the tren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focused on finding educational activities to enhance quality of learning with integrative, learner-centered experience by combining each subject and doma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drama activity is a sort of integrated education including literature, instrumental music, play, art and movement that are included in the culture and art for preschoolers to help them understand role and value of the art and directly influence personality and creativity and motive to arouse interest in various learning directly. It's expected to see that development of creative teaching plan for the music drama using piano ensemble could support basic research in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y in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nd also, activate the music drama activity. Research findings and sugges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drama activities are systematically and step-by-step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udience according to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creative pla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if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casts in the music drama and assigning their roles efficiently, it enhances approach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music drama activity and activate it. Third, making music in music drama activities can be composed and arranged to suit the musical literacy and level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Four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uld have integrated experience and evaluation efficiently in the short term to use as reference for the teaching plan and data for the music drama.

최근 유아교육의 흐름은 각 교과와 영역의 융합을 통한 학습자 중심의 통합적인 경험으로 학습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교육활동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극 활동은 예술 교과 간의 통합교육으로 예술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인성과 창의성 계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다양한 학습에 직접적인 흥미를 유발시키는 동기가 되기도 한다. 또한 유아교육현장에서 음악극을 기획하고 실행,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이다. 피아노 앙상블을 활용한 창의적인 음악극 지도 방안의 개발은 교원양성과정의 통합교육활동에 대한 기초연구를 지원하고 음악극 활동이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 및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극 활동은 예비유아교사의 협동학습과 창의적인 계획에 의하여 관람 대상에 맞게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실행되도록 한다. 둘째, 음악극의 등장인물의 특징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출연진의 역할을 분담하는 것은 예비유아교사 음악극 활동의 접근도를 높이고 활성화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셋째, 음악극 활동 중 음악 만들기는 예비유아교사의 음악적 이해력과 수준에 맞게 창작, 편곡하여 실행할 수 있다. 넷째, 교육과정 중 단기간에 효율적인 방법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이 실행한 통합적인 경험과 평가를 통해서 나온 음악극에 대한 교수방법 및 활동자료, 기록들이 교육현장에서 유아음악극을 지도하는데 참고자료가 되도록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식(2018). 「대한민국 미래교육보고서」에 대한 서평. 한국교육사학, 40(1): 83-91.
  2. 곽진영(2014).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음악극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지도 방안 -창작국악동요 <견우와 직녀>: <사물악기가 된 도깨비>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장은희, 김명정, 박경숙(2014). 창작유아음악극, 서울. 창지사.
  4. 성민영(2014). 전래동화 <노래주머니>를 소재로 한 음악극 창작지도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찬옥, 이효숙(2001). 유아음악극 활동의 교육적 효과 탐색. 유아교육연구, 21(4): 331-354.
  6. 최영경, 정미라(2014).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극 공연 경험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음악교육연구, 43(3): 135-156.
  7. 윤수인, 박윤(2017).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극 기획 및 공연 경험이 음악교수효능감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문화학술원 인문사회 21, 8(4): 31-53.
  8. 이상미(2015). 유아교사가 경험한 음악극 교사교육의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9(6): 107-128.
  9. 이효숙(2001). 유아음악극 활동의 교육적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이효숙, 심성경(2001). 유아음악극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지도실태. 유아교육연구, 21(3): 287-291.
  11.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전자자료(1996). 서울. 두산동아.
  12. 한송이(2016). 고전음악을 활용한 유아음악극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흥수(1992). 한국의 고미술 감상을 통한 창의적 표현력 신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서화니(2007). 음악극 놀이를 활용한 전래동요지도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국악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공미자(2006). 유아 창작음악극 활동이 창의성과 언어표현력 및 또래 갈등 해결 전략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백지혜, 김선영(2010). 구성주의에 기초한 음악 활동이 유아의 음악 창의성과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4(6): 507-534.
  17. 최일선, 박주영(2012). 창작 음악극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41(2).
  18. 김명정, 조형숙(2011). 음악극 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유아들의 음악적 반응 변화.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 29(2).
  19. 구수진(2006). 음악극 완성과정을 통한 협동 음악수업 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박소영(2004). 동화를 이용한 비구조적 음악극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신혜진(2005).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J. L. Crawford-Joan Snyder, 양광남 역(1996). 연기개발과 표현. 예하: 53.
  23. 최유경(2017).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연령 간 교류 프로그램 및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1(2).
  24. 이숙영(2020). 문화예술교육 서비스 품질을 통한 무용교육의 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