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Firefighters Sleep on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COVID-19

코로나 19 시대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이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Lim, Eun-Jung (Division of Occupational Therapy, Woosuk University) ;
  • Oh, Hye-Wo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Woosuk University) ;
  • Park, Bo-Ra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Woosuk University) ;
  • Cho, Seung-Hyu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Woosuk University)
  • 임은정 (우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오혜원 (우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박보라 (우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조승현 (우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20.11.21
  • Accepted : 2021.01.25
  • Published : 2021.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sleep quality on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firefighters in the COVID-1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SPSS Win(ver. 21.0) program,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quality of sleep of firefighters can predict the quality of sleep when the bedtime requirement is longer, and if the quality of sleep is not good, the deterioration of mental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can be predic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sleep of firefighters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Currently,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infection control and emergency medical care is emerging due to COVID-19, but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irefighters is insufficient.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tudy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to alleviate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firefighter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코로나 19 시대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이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PSS Win(ver.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Pearson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은 취침소요시간이 길어지면, 수면의 질 저하를 예측할 수 있고, 수면의 질이 좋지 못하면 정신건강의 저하 및 삶의 질 저하를 예측할 수 있다.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이 정신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현재 코로나 19로 인하여 감염관리 및 응급의료에 대한 질적 향상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소방공무원의 특성에 따른 분석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에 관한 지속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정래, 허상택(2020).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의 임상적 특징. 제주대학교 의과학 연구소, 17(2): 33-40. https://doi.org/10.22730/jmls.2020.17.2.33
  2. WHO.(2002). Active Ageing: a policy framework.
  3. 노은이(2013). 서울시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서울연구원.
  4. 정명경(2008). 공무원의 여가활동유형이 직무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임숙빈, 유서영, 서은비, 이수진, 윤보라, 서은주, 남미정, 김숙영, 김은경(2006). 교대근무 간호사의 부적 정동과 수면장애. 정신간호학회지, 15(1): 40-47.
  6. 황은희, 강지숙(2011). 병원간호사의 근무형태와 주간수면과다증에 따른 직무몰입. 동서간호학연구지, 17(2): 81-86. https://doi.org/10.14370/JEWNR.2011.17.2.081
  7. 최원정, 이병욱, 김동욱, 이혁, 이산, 오승택, 김우정, 박진영(2015).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한 수면장애와 공존질환의 현황 및 특성 연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연구소.
  8. 신우리(2020). 코로나 19 감염병 대응에서의 소방의 역할. 한국융합과학회지, 9(3): 434-448.
  9. Pietroiusti, A., Neri, A., Somma, G., Coppeta, L., & Lavicili, I.(2010).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night-shift healthcare worker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7(1): 54-57. https://doi.org/10.1136/oem.2009.046797
  10. 김증임(1992). 교대근무 간호사의 Circadian 유형에 따른 밤 근무 전후의 피로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종우(2016). 교대근무와 건강.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418-428.
  12. 송석휘(2015). 공공부문 교대근무자의 직무만족도 개선방안연구. 한국행정논집, 27(2): 455-483.
  13. Akerstedt, T.(2003). Shift work and disturbed sleep/wakefulness. Occupational Medicine, 53(2): 89-94. https://doi.org/10.1093/occmed/kqg046
  14. 이규선, 강정숙, 권인선, 조영채(2011).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 직무 스트레스 및 피로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5): 2230-2240. https://doi.org/10.5762/KAIS.2011.12.5.2230
  15. 이은정, 강성구, 신진희, 송상욱, 황유나, 유기선(2009). 중년 남성에서 수면의 질과 대사증후군 및 염증지표와의 관련성. 대한가정의학회, 30(5): 344-351. https://doi.org/10.4082/kjfm.2009.30.5.344
  16. 김상철(2019). 우리나라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결정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최지현, 김광환, 조영채(2018). 일부 남성 소방직공무원의 수면의 질 및 그의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5): 451-458. https://doi.org/10.5762/KAIS.2018.19.5.451
  18. 한유리(2020).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과 신경인지기능의 관계.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Kamel, N.S., & Gammack, J.K.(2006). Insomnia in the elderly: Cause, approach, and treatment.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19(6): 463-469. https://doi.org/10.1016/j.amjmed.2005.10.051
  20. 오진욱, 고미애, 송후림, 홍민하, 김현수, 김우정(2018).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 정신신체의학, 26(1): 19-25. https://doi.org/10.22722/KJPM.2018.26.1.19
  21. 윤지영, 함옥경, 조인숙, 임지영(2012). 교대근무 간호사와 비교대 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 행위 및 정신건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강문희, 장미진(2018). 사회복지사, 경찰관, 소방관의 우울, 자살사고 및 정신건강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23. 박찬석(2019). 소방공무원 보건안전 및 복지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24. 권두혁, 황지혜, 조용원, 송미령, 김근태(2020). COVID-19 거점 병원 의료진의 수면과 정신건강 조사. 대한수면연구학회, 17(1): 93-97. https://doi.org/10.13078/jsm.200016
  25. 주가원(2020). 소방공무원의 직무유형에 따른 불면과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정신신체의학, 28(1): 42-58. https://doi.org/10.22722/KJPM.2020.28.1.42
  26. 이보미(2019). 소방관의 외상 후 성장에서 여가역할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관광학연구, 43(1): 179-204.
  27. 이미옥(2013). 소방공무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요인.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김재준, 최태영, 김소연, 박주현(2017). 소방공무원에서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불안의학회지, 13(1): 17-24.
  29. Pilcher, J.J., Ginter, D.R., & Sadowsky, B.(1997). Sleep quality versus sleep quantity: relationships between sleep and measures of health, well-being and sleepines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2(6): 583-596. https://doi.org/10.1016/S0022-3999(97)00004-4
  30. Carpenter, J.S., & Andrykowski, M.A.(1998).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5(1): 5-13. https://doi.org/10.1016/S0022-3999(97)00298-5
  31. 신선인(2001). 한국판 일반정신건강척도(KGHQ)의 개발에 관한 연구-KGHQ-20과 KGHQ-30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지, 9(46): 210-235.
  32. 성상석, 최찬범, 성윤경, 박용욱, 이혜순, 엄완식, 김태환, 전재범, 유대현, 이오영, 배상철(2004). 한국인에서 EQ-5D를 이용한 건강 관련 삶의 질 측정. 대한류마티스학회지, 11(3): 254-262.
  33. Pirrallo, R.G., Loomis, C.C., Levine, R., & Woodson, B. T.(2012). The prevalence of sleep problems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Sleep and Breathing, 16(1): 149-162. https://doi.org/10.1007/s11325-010-0467-8
  34. 김재준, 최태영, 김소연, 박주현(2017). 소방공무원에서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대한 불안의학회지, 13(1): 17-24.
  35. Mers, M.A., Bricout, J.C., & Koch, L.C.(2001). Disability and job stress: Implicatio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planning. Work-Andover Medical Publishers Incorporated, 17(2): 85-95.
  36. Akerstedt, T., Fredlund, P., Gillberg, M., & Jansson B.(2002). A prospective study of fatal occupational accidents - relationship to sleeping difficulties and occupational factors. Journal of Sleep Research, 11(1): 69-71. https://doi.org/10.1046/j.1365-2869.2002.00287.x
  37. Fido, A., & Ghali, A.(2008). Detrimental Effects of Variable Work Shifts on Quality of Sleep. General Health and Work Performance, 17(6): 453-457.
  38. 정명경(2008). 공무원의 여가활동유형이 직무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장진숙(2018). 간호사의 수면장애, 조직 내 지지, 건강증진행위가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배윤정(2015). 대구지역 소방공무원의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질의 관련성.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소방청 통계연보(2017).
  42. Y, Huang., & N, Zhao.(2020).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depressive symptoms and sleep quality during COVID-19 outbreak in China: a web-based cross-sectional survey. Psychiatry Research, 288: 112954. https://doi.org/10.1016/j.psychres.2020.112954
  43. 김정미(2014). 세월호 사건 피해자 가족의 고통 체험에 관한 연구: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을 적용.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4(1): 59-73.
  44. 배성환, 장연식, 김희동, 백지영(2020). OTPF와 국제기능.장애.건강 분류 간의 연관성: 라이프케어 중심의 활동과 참여 관점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14(7): 623-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