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cus Group Interview(FGI) Study on 'K-Edu' Experienced by School Teachers In COVID19

코로나19에 대응하며 현장교사들이 경험한 'K-교육'에 대한 FGI(Focus Group Interview) 연구

  • Received : 2021.01.18
  • Accepted : 2021.02.25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As the school was in crisis due to the COVID-19, e-Learning was extended. Although it was difficult for everyone, e-Learning were stabilized with the enthusiasm and efforts of school teachers. Online education in Korea, called 'K-edu' is being promoted by school teachers in COVID19, and is considered an important area of future education beyond the post corona. Therefore, analyze the meaning of K-edu experienced by school teachers, studying changes in the educational paradigm in the Post-COVID era is very important in establishing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future education. In this study described the K-edu experienced by school teachers in response to Corona 19 as 'changed daily life of school teachers', 'changes in schools', 'difficulties felt by teachers' and 'proposals for K-edu'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GI. Based on this, the characteristics of K-edu that changed through COVID-19 were analyzed as 'expansion of educational space', 'expansion of educational form' and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face-to-fac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K-Edu led by school teachers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leading the world beyond Korea.

코로나19로 학교가 문을 열지 못하고 위기에 처하자 학교는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며 원격수업을 확대하였다. 모두가 어려워했지만 학교교사들의 열정과 노력으로 원격수업은 안정화되었다. 'K-교육'으로 불리는 한국의 온라인 교육은 학교교사들이 코로나19에 대응해 주체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포스트코로나를 넘어 미래교육의 중요한 영역으로 거론된다. 따라서 학교교사들이 경험한 K-교육의 의미를 분석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교육패러다임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은 미래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정립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에 대응하며 학교교사들이 경험한 K-교육을 질적 연구방법인 FGI를 통해 '학교교사들의 달라진 일상', '학교의 변화', '교사들이 느낀 어려움', 'K-교육을 위한 제안'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토대로 코로나19를 거치며 변화된 K-교육의 특징을 '교육 공간의 확장', '교육 형식의 확장', '대면교육의 중요성 부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학교교사들이 주도하는 K-교육이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를 선도하는 데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난도 외(2020). 트렌드 코리아 2021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21 전망, 서울: 미래의창.
  2. Harari, Y. N.(2020). The world after corona virus, Financial Times, 2020. 03. 26.
  3. UNESCO(2020). Education in a post-COVID world: Nine ideas for public action. Paris: UNESCO.
  4. Graham, C. R.(2013). Emerging practice and research in blended learning. In M. G. Moore (Ed.), Handbook of Distance Education(3rd Ed.). NY: Routledge.
  5. 박원수(2020.08.06.). 학생도 교사도 코로나 스트레스대구시 교육청 설문결과. 조선일보.
  6. Basilaia, G., & Kvavadze, D.(2020). Transition to online education in schools during a SARS-CoV-2 coronavirus(COVID-19) pandemic in Georgia. Pedagogical Research, 5(4): 1-9. https://doi.org/10.33902/JPR.2020065267
  7. 박선호, 최희경(2020). 코로나19 시대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대한 초등영어교사들의 목소리.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9(4): 273-295.
  8. Bao, W.(2020). COVID-19 and online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A case study of Peking University. Hum Behav & Emerg Tech, 1-3. https://doi.org/10.1002/hbe2.191
  9. 전재학(2020.07.10). K-에듀는 글로벌 교육을 선도할 수 있을까? 한국교육신문.
  10. Morgan, D. L.(1997). Focus group as qualitative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11. Gibson, B.(2002). Learning from focus group discussions. In Johnson, E.(eds.), Teachers' narrative inquiry as professional development. NY: Cambridge Univ.
  12. Hillebrandt, I. S.(1979). Focus group research: Behind the one-way mirror. Public Relations Journal, 35(1): 17-33.
  13. Hatch, J. A.(2008). 교육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 (진영은 역). 서울: 학지사.
  14. 정광주(2009). 중년기 교사의 교직 생활에 대한 생애사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 Krueger, R. A., & Casey, M. A.(2009). Focus Group: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4th). Thousand Oaks, CA: Sage pub.
  16. 강진호, 남영옥, 오명화(2019).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4): 299-309.
  17. 김용섭(2020). 언컨택. 서울: 퍼빌리온.
  18. Lortie, D. C.(2003). 학교교사[School teacher: A sociological study]. (진동섭 역). 서울: 양서원.
  19. 최성광(2013).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교육 현장의 변화와 그 원인: 한국 교육정책과의 관련.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 이시효(2020). 코로나19 이후 거주환경의 차이가 초등학생의 학습, 게임, 놀이 시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공간과 사회, 74(1): 172-207.
  21. 김세영(2020).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온-오프병행 초등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 33(4), 109-138.
  22. 권이종, 이상오(2010). 평생교육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23. 성태제, 강대중, 강이철 외(2018). 최신교육학 개론. 서울: 학지사
  24. 김선연, 조규락(2005). 인터넷을 활용한 사교육과 면대면 사교육의 비용 효과 비교 분석 연구.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11(2): 167-190.
  25. 이보경(2020).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 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4(4): 97-112.
  26. 황서이, 박정배(2020). '한류' 경향에 관한 국내 언론 기사 빅데이터 분석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5): 1-14.
  27. 김정윤(2019). 교사 행위주체성에 관한 체계적 문헌 조사와 지원 방안 탐색. 교육문화연구, 25(5): 105-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