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affolding and Practical Application on Narrative Therapy

이야기치료에서 비계설정과 실제적 적용

  • Kim, Young-Hwan (Executive Office of Corporate, The Board of Daejin University)
  • 김영환 (학교법인 대진대학교 법인사무국)
  • Received : 2021.05.20
  • Accepted : 2021.06.25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empirical case study that focuses on bring about changes in clients through narrative therapy using scaffolding. Through this, the purpose was to find the preferred values and hopes of the future among the stories that the client's has lived in. As the research method, we proceed through unstructured interview and loose structures in qualitative research. On this premise, the counselor did not diagnose or explain the 'decentralized but influential' attitudes and problem. And there was no order in the conversation, and I didn't decide in advance how to react to it before the client made any expression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on a practical and academic level: First of all, counseling through scaffolding further enrich the curiosity, temperament, and wishes of the client. Second, the scaffolding provides a concrete pi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unselor and a client in narrative therapy. Third, the scaffolding made in therapeutic dialogue presents a 'learning tasks'. Fourth, counseling through scaffolding has an active meaning that it can develop the higher mental function of clients in charge. Finally, we presented an application of narrative therapy in Vygotsky's theory through analysis of empirical cases. Based on this information, this study did not simply intend to position the client as a research object in narrative therapy. It is meaningful that they have identified the factors necessary to become the subject of narrative therapy and the role of the counselor in the process. In addi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and substantialization of the research scope of narrative therapy in that it utilized the concept of scaffolding, which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domestic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비계설정을 활용한 이야기치료를 통해 내담자의 변화를 이끌어내는데 주목한 실증사례연구이다. 이를 통해 내담자가 살아온 이야기들 가운데 미래의 선호하는 가치와 희망을 찾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심층적 연구방법론(qualitative research)의 구조화되지 않은 질문(unstructured interview)과 느슨한 구조를 통해 진행하였다. 이러한 전제하에 상담자는 '탈중심적이지만 영향력 있는' 자세와 문제에 대해 진단이나 설명을 하지 않았다. 그리고 대화에 순서가 있지 않았으며, 내담자가 어떤 표현을 하기 전에 미리 그에 대한 반응을 결정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실천적, 학문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비계를 통한 상담은 내담자의 호기심과 기질, 소망 등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작용을 한다. 둘째, 비계설정은 이야기치료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간의 관계맺음을 위한 구체적인 모습을 제공해준다. 셋째, 치료적 대화에서 이루어진 비계설정은 '학습과업'을 제시해준다. 넷째, 비계설정을 통한 상담은 내담자의 고등정신기능을 발달시켜줄 수 있다는 적극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마지막으로, 실증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한 비고츠키 이론의 이야기치료에의 적용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는 이야기치료에서 내담자를 단순히 연구대상으로 위치시키고자 하지 않았다. 이들 스스로 이야기치료의 주체가 되는데 필요한 요인과 그 과정에서 상담자의 역할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아울러 그간 국내 연구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은 개념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이야기치료의 연구범위의 확장과 내실화에 기여했다는 점에서도 함의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Monk, G, & Winslade, J, & Crocket, K, & Epston, D.(1997). Narrative therapy in practice: The archaeology of hope. The Jossey-Bass psychology series. 3-31.
  2. 이선혜, 서진환, 신영화(2005). 한국 가족치료의 현장과 인력: 전국기관 조사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3(1), 79-123.
  3. 오영섭, 김영순, 왕금미(2017). 이야기치료의 국제적 연구동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학치료연구, 48, 41-74.
  4. 이선혜(2005). 내러티브접근의 자가평가모형 개발: 외현화대화를 중심으로. 한국 가족과 가족치료, 13(2), 1-27.
  5. 조현주(2014). 내러티브 분석을 통한 이야기 치료 상담의 의미탐색. 영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White, M., & Morgan, A.(2010). 어린이와 가족을 위한 이야기치료 (최민수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2006 출판)
  7. White, M.(2010). 이야기치료의 지도(이선혜 외공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7 출판)
  8. 조영진(2021). 이야기치료가 제시하는 '전통적 권력 관계'와 '사회적 공조' 개념의 기독 상담적 적용: 한국 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위기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32(1): 123-149.
  9. 최민수, 김정희(2014). 이야기치료에서의 비계 설정 대화: 레브 비고스키의 비계설정의 이야기치료적 적용.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5(3): 279-304.
  10. 고미영(1996). 이야기치료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A qualitative study of clients' experiences of narrative therapy). 한국사회복지학, 30, 1-24.
  11. 양유성(2004). 이야기 치료: 이야기치료의 상담원리와 방법론. 상담과 선교.
  12. 심은영, 김정모(2004). 이야기치료를 통한 우울 성향 아동의 자아개념, 우울수준, 문제 행동 변화 사례연구. 놀이치료연구, 8(2), 49-64.
  13. 박설미, 여인숙(2009). 놀이 중심의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이 한부모 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3(2), 29-44.
  14. 이순욱, 김춘경(2013). 갈등가정 아동의 사회적 관계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과 이야기치료 프로그램 효과비교. 대한문학치료연구, 3(1), 55-75.
  15. 최인호, 장미정, 이다미(2017).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이야기치료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30(1), 11-23.
  16. 곽미선(2017). 학교폭력가해경험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탐색을 위한 이야기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단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미련(2014). 이야기치료 관련 국내연구의 분석.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2(3), 167-175. https://doi.org/10.15205/KSCHS.2014.2.3.167
  18. 이선혜, 박지혜(2018). 이야기치료의 국내 연구 동향분석: 1996-2018. 가족과 가족치료, 26(3), 343-377.
  19. 조현주(2016). 이야기치료의 상담과정과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5(1), 173-203.
  20. 김도연(2012).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평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윤정순, 김창대(2012). 글쓰기 및 말하기의 정서 표현이 대인불안성향자의 관계맺음동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배제 경험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3(6), 3095-3110.
  22. 이성정(2014). 이야기치료 진로집단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역기능적 진로사고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황선영(2011).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향상을 위한 이야기 만들기(Story making)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김수진, 고하늘, 김보영(2015). 자살시도 청소년의 이야기치료 적용 질적 사례연구. 질적탐구, 1(2), 123-146.
  25. 김유숙(2015). 청소년 상담을 통해 본 이야기 치료의 특징. 사회과학논총, 22, 165-179.
  26. 김성애(2008). 집단 이야기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김송희, 홍혜영(2012). 중학교 신입생의 적응 유연성 자기효능감 강화를 위한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0(4), 27-39.
  28. 김혜경(2010).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치료 프로그램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329-349.
  29. 민아영, 정연홍, 유형근(2014).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향상을 위한 이야기치료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아동교육, 23(2), 111-125.
  30. 유성자(2011).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이 품행장애 성향 청소년의 공격성, 우울 및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가나(2012).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춘정, 유형근, 권순영(2010). 학교상담: 이야기치료의 기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11(1), 265-282.
  33. 조민규(2013). 이야기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김영환(2017). 틱(Tic) 장애 아동의 내러티브 치료 접근 상담사례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6): 269-279.
  35. 염지숙(2003).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1.
  36. Clandinin, D. J., & Connelly, F. M.(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37. 염지숙(1999).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통한 유아 세계 이해: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1학년으로의 전이 경험 연구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3): 57-82.
  38. Morgan, A.(2000). What is narrative therapy?: An easy-to Read Introduction. Adelaide: Dulwich Centre Publications.
  39. Sarbin, T. R.(ed)(1986). Narrative Psychology: The Storied Nature of Human Conduct, New York: Praeger.
  40. Bruner, J.(1990). Acts of Meaning. Harvard University Press.
  41. 김혜경(2008).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이야기치료 프로그램 개발.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Nichols, M, & Schwartz, R.(2001).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5th ed.). Allin and Bacon.
  43. Hoffman, L.(1992). A Reflexive Stance for Family Therapy. In S. McNamee & K. Gergen(Eds.), Therapy as Social Construction.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44. Berger, P. & Luckmann, T.(1991).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A Treatise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Penguin UK.
  45. 김번영(2015). 이야기치료의 원리와 실제. 서울: 학지사.
  46. Berk, L. E., & Winsler, A.(1995).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NAEYC Research and Practice Series, Vol. 7. Washington, D. C: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홍용희 역 (1995). 어린이들의 학습에 비계 설정: Vygotsky와 유아교육. 서울: 창지사.
  47. Lattra E, Berk & Adam Winsler 저. 홍용희 역(2000). 어린이들의 학습에 비계설정. 창지사.
  48. 안영진, 장선철(2004). 아동상담. 서울: 동문사.
  49. Limerick, B. Burgess-Limerick, T. & Grace, M. (1996). The Politics of Interviewing. Qualitative Studies. Education, 9(4) 449-460. https://doi.org/10.1080/0951839960090406
  50. Bryman, A. & Burgess, R. G. (1999). Qualitative Research(ed.). London: SAGE Publications.
  51. 고미영(2000). 이야기치료의 한국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8(2), 111-136.
  52. 신진희, 소혜진(2019). 음악치료사의 목소리 사용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3(2), 155-167.
  53. 김번영(2010). 아스퍼거 증후군 여아의 만화 그리기를 통한 이야기치료 사례.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3(1), 83-100.
  54. Padgett, D. K.(2017).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3rd). Los Angeles, CA: SAGE Publicati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