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모티브(Motive) 단위 분석 관점으로 바라본 정순철 동요의 선율 전개기법

Soon Chul Jung's Melody Development Technique from the Viewpoint of Motive Unit Analysis

  • 손미진 (상명대학교 뮤직테크놀로지학과) ;
  • 정재윤 (상명대학교 뮤직테크놀로지학과)
  • Son, Mi-Jin (Department of Music Technology, Sangmyung University) ;
  • Chung, Jae-Youn (Department of Music Technology, Sangmyung University)
  • 투고 : 2020.12.24
  • 심사 : 2021.02.25
  • 발행 : 2021.02.28

초록

본 연구는 윤극영, 홍난파, 박태준과 더불어 우리나라 동요 4대 작곡가로 활동하였던 정순철의 동요 분석 연구이다. 정순철은 어린이가 독립된 인격체로 존중받지 못했던 일제강점기 시대에 창작 동요를 통하여 어린이 운동에 적극 참여한 인물이다. 동요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만든 음악으로써 음감이 형성되지 않은 연령대 아이들이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선율 작법을 필요로 한다. 이처럼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선율을 만들 때, 모티브(Motive)를 활용한 전개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모티브를 사용한 전개 기법이란 멜로디를 형성하는 최소 단위인 모티브를 변형과 반복을 통하여 노래를 구조화하는 기법으로, 모티브 전개 기법이 적극적으로 활용된 경우 노래 멜로디를 보다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도종환의 『정순철 평전』을 통하여 확인된 정순철의 동요 사십 곡 중 연구에 부합하는 38곡을 선정하여 미국의 버클리 음악 대학(Berklee College of Music)의 작곡 수업 교재 『Melody in Songwriting』의 열일곱 가지 전개 기법들을 참고하여 분석 연구하였고 정순철을 제외한 4대 작곡가들의 대표곡들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정순철이 거의 동일한 리듬 패턴 안에서 단순화, 연장 기법 등과 결합한 음정 변형을 다수 사용하였으며 동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선율 구조인 모티브 반복 기법과 두 마디 이상의 선율 중복 사용을 즐겨 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은 정순철의 특징적 선율 작곡법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정순철 동요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초기 창작 동요의 이해와 모티브 선율 전개 기법이라는 관점을 통해 초기 창작 동요 연구의 또 다른 시각화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oon Chul Jung's children's songs, who is one of the four great children's songwriters in Korea along with Geuk Young Yoon, Nan Pa Hong and Tae Jun Park. Soon Chul Jung has contributed by actively participate into children's movement at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writing self-composed children's songs. Since children's songs are made for the age group without the sense of sound, children's songs necessitate 'easy to sing-along' melody writing process. Like so, when writing the melody that are easy to be sang along, utilization of development technique using a unit called motive can be the potent way. This method has an advantage of being sang more with ease if actively implemented, and can be done by utilizing the smallest unit of the melody called motive, especially by lightly transform and repeat the unit, consequently structuring the song altogether.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is motive-based development technique of Soon Chul Jung's songs, 38 out of 40 written songs considered eligible for the research were confirmed and chosen from 'Soon Chul Jung's bibliography and choreography' and each songs were analyzed based on 17 different development techniques which were standardized in the textbook 'Melody in Songwriting' adopted as a textbook of the Berklee college of Music, and also compared these song-writing pipelines with other great songwriters' representatives mentioned above. As a result, it was almost linear that the song's pitch variation in combination with thinning or extension were used frequently and repeatedly, otherwise implicating melody duplication for more than 2 bars and motive repetition were not in his favor, while these methods were often used when writing children's songs. This finding could be viewed as a character of his songwriting.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2020학년도 상명대학교 교내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하였음.

참고문헌

  1. 김미숙, 이지영, 윤문정(2020). 창작동요의 변천에 따른 음악적 특징 및 경향. 한국초등교육, 31(3):73-88. https://doi.org/10.20972/KJEE.31.3.202009.73
  2. 도종환(2007). 어린이 노래운동의 선구자, 정순철. 창비어린이, 5(2):170-183.
  3. 도종환(2007). 어린이 노래동요의 선구자, 정순철.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1):173-194.
  4. 박영기(2010). 동요에 바친 한 인생, 정순철 연구. 한국아동문학연구, 19(1):39-68.
  5. 장유정(2019). 정순철 동요곡집 「갈닙피리」 연구. 방정환연구소, 1(1):176-193.
  6. 박지영(2006). 1920년대 근대 창작동요의 발흥과 장르 정착 과정 - 「어린이」 수록 동요를 중심으로. 상허학보, 18(0):229-259.
  7. 김제곤(2008). 1920년대 창작동요의 정착과정 연구. 아동청소년문학연구, (3):61-87.
  8. 김수경(2009). 근대 창작 동요의 수용과 동심의 재구성 -1920~30년대 동요의 교과서 수용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40(0):361-402.
  9. 윤삼현(2011). 윤극영의 동요세계 일제강점기 창작동요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연구, (20):133-156.
  10. 문선아(2019). 일제 강점기 시대의 한국 창작 동요에 관한 고찰 - 목일신을 중심으로 -. 동양예술, 43:123-138.
  11. 이내선(2019). 일제강점기의 창작동요 연구: 표현력을 갖춘 단순성. 음악교육공학, 38(0):43-66.
  12. 김은주(2020). 초등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윤석중 동요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9):851-875.
  13. 이내선(2020). 윤복진 동요 연구: 가사에 붙여진 선율 vs 선율에 붙여진 가사. 음악이론연구, 34(0):42-77.
  14. 길애경, 임미경(2006). 초등음악지도법. 서울:수문당.
  15. 박진수(2019). '동요' 개념의 한일 차이와 '번안동요'의 수용. 한국일본학회 일본학보, 118(0):127-144.
  16. 정선영, 김영연(2008).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하는 창작동요제 입상곡 악곡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3(6):195-218.
  17. 김한나(2015). 에듀테인먼트 분석을 통한 애니메이션 음악에 관한 연구: 꼬마버스 타요의 음악분석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은혜(2018). 뮤지컬 스위니 토드의 음악 동기 분석을 통한 극과 음악의 상관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2):57-68.
  19. 김상림, 이희경(2013). 「5세 누리과정 유치원지도서」에 수록된 동요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8(1):475-498.
  20. Jack Perricone(2015). Melody in Songwriting. 현율음악출판사.
  21. 이필원(2015). 래리 그레니디어 솔로 연주에서 활용되는 모티브 전개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2):8830-8835. https://doi.org/10.5762/KAIS.2015.16.12.8830
  22. 도종환(2011). 정순철 평전. 충청북도 옥천군 정순철 기념사업회.
  23. Marilyn M. Moore(2013). Comparison of the Strength of Harmony, Melodic Line, Rhythmic Variation, and Expressive Elements in Influencing Emotional Judgment in Music. Western Michigan University Master.
  24. 네이버 어린이백과. 초등 교과서 음악. https://terms.naver.com/list.nhn?cid=59416&categoryId=59416 2021.01.15.
  25. 세광출판사 편집부(2016). 궁금해 피아노 동요. 세광음악출판사.
  26. 배샛별(2018). 일제강점기 유행가의 음악적 특징 분석: 음악 양식 분류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정수현, 장민호(2019). 한국 전통 음악 어법을 활용한 영화 음악의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7):247-259.
  28. 주대창(2020). 한국 초등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동요 가락 유형의 교육적 활용: 시작 부분을 중심으로. 음악교수법연구, 21(1):163-184.
  29. 고선미(2014). 어린이의 노래하는 목소리에 대한 발성학적 고찰. 음악교육연구, 43(4):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