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마음 챙김 명상을 위한 음악 창작의 감성적 접근 방안 : 테레민 악기의 활용을 중심으로

Emotional Approach to Music Creation for Mindfulness Meditation : Focusing on the Use of Theremin Instruments

  • 투고 : 2020.09.23
  • 심사 : 2021.01.25
  • 발행 : 2021.01.31

초록

본 논문은 문헌 고찰 및 이론적인 배경을 토대로 음악과 명상의 상호 관련성 및 음악 명상 이미지 연출에 관해 탐색하며, 테레민 악기와 음악 명상의 연관성에 관해 논한다. 또한 연구자의 음악적 연출이 음악 명상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였는지 감성적 접근을 통한 음악 창작의 과정 및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의 청각적인 특성과 명상이 갖는 내적 요소에 감성적인 측면들을 발전시켜 서로의 연관성을 찾고 명상에서 음악으로 인한 내면적인 감성유발이 음악의 연출로 어떻게 다가설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은 테레민 악기를 활용하여 멜로디를 통한 감성적 접근의 음악 명상 적용 방안을 도출하였고, 작품이 표현하려는 내적 의미와 방법론을 객관화하여 학술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가 음악 명상 프로그램의 개발 및 음악 명상의 확장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background, we will explor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meditation and meditation image production through music,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emin instruments and musical meditation. It also describes whether the musical direction through an emotional approach meets the purpose of music meditation, focusing on the creative process and analysis of the work. In this study, the emotional aspect of music was developed, centering on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music and the inner element of meditation,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and to prepare a specific plan for music directing to induce the inner emotion of meditation. This study deduced a way to apply music meditation with an emotional approach centering on the melody through the use of the Theremin instrument, and tried to approach the inner meaning and methodology of the work academically. It is hoped that these studie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usic meditation programs and the expansion of music medit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표정자, 최승원(2014). 마음챙김 기술과 소진의 관련성 연구: 성매매 피해여성 상담원들을 중심으로. 스트레스 연구, 대한스트레스학회논문지, 22(1): 44-46.
  2. 배수을(2012). 통합무용치료의 접근 방법론 연구: 문학, 음악: 명상 요소와의 통합을 중심으로. 무용예술학연구, 한국무용예술학회논문지, 37(4): 1.
  3. 박영선(2003). 자연의 소리 명상음악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선미, 허형(2008). 명상 및 음악치료가 고등학생의 정서적 불안정성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논문지, 10(4).
  5. Stout, P. & Leckenby, J.(1986). Measuring emotional response to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15(4): 35-42. https://doi.org/10.1080/00913367.1986.10673036
  6. 김희연(2020). 광고 음악을 위한 사운드 브랜딩 구축방안: 구성론, 의미론, 활용론의 층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예술학 박사학위 논문.
  7. 이철진(2018). 瞑想觀의 현대적 해석과 응용.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5): 78-80.
  8. 김명주, 김혜정(2017). 기(에너지)운동을 통한 몸과 마음의 자연치유.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1): 282
  9. 박성현(2011). 현대사회의 문제와 명상치유. 한국명상치유학회지, 2(1): 63-70.
  10. 김선숙(2016). 명상의 치유기제: 알아차림(마음챙김)명상을 중심으로.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87: 82-102.
  11. 심제명, 김중선, 구봉오(2008). 알파파 음악과 미술 감상이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 물리치료학회논문지, 24(5): 78-80.
  12. 윤수정, 김태석, 채정호(2005). 스트레스의 두뇌 과학적 이해.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학회지, 26: 439-450.
  13. 김종상(2015). 차크라 집중명상 시 자율신경 및 두뇌 영역별 뇌파 특성의 변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장영은(2020). 코로나19 극복 울산시민 심리 치유: '힐링 프로그램' 운영. 연합뉴스, 2020.04.24.
  15. 윤병수(2020). 명상의 면역 효과가 COVID-19에 갖는 함의. 한국명상학회논문지, 10(2): 113-131.
  16. 김정민(2012). 명상음악이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 오라측정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17. Gaston, E. T.(1968). Music in Therapy, New York: Macmillan, 34-75.
  18. 강혜승(2004). 명상음악이 남자 중학생의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 진성민(2011). 소리물리학의 기본개념.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22(2): 99.
  20. 김성수. 음악과 물리학; 소리와 파동. http:// www.luorF'net, /2020.10.01.
  21. 김나래(2020). 음악명상과 심리치유 공명을 중심으로. 한국선학학회논문지, 55: 138.
  22. Radocy, R. E. and Boyle, J. D.(1969).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Musical Behavior. Springfield, Ill.: C.C. Thomas. (음악 심리학) 최병철, 방금주 옮김, 시그마플러스, 41.
  23. 정수화(2001). 진정성.친숙성 배경음악이 과제 수행에 있어서 과제유형 및 과제수준에 따른 효과. 연구 논총, 국제여성연구소논문지, 10(11): 240-251.
  24. Pelletier C. L.(2004). The Effect of Music on Decreasing Arousal Due to Stress: A MetaAnalysis. Journal of Music Therapy, 41(3): 192-204. https://doi.org/10.1093/jmt/41.3.192
  25. 유평근, 진형준(2003). 이미지. 살림출판사, 56.
  26. 김병선(2017). 이미지와 기억. 새 물결 출판사, 21-23.
  27. 김범준(2011). 명상음악이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오라측정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12.
  28. 이정은(2010). Synchronicity 현대 음악명상의 이론적 고찰. 한국동서정신과학논문지, 13(2): 1-20.
  29. 인행선(2018). Synchronicity음악명상 프로그램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Sachs, C.(1943). The Rise of Music in Ancient Word, East and West New York. Martinus Nijhoff.
  31. 장한기(2001). 저주파수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응용. 한국소음진동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6): 823-827.
  32. 김바론(2015). 퍼포머의 움직임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악기 연구.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서병찬(2020). 집중명상이 심신치유효과에 미치는 영향: 태국 담마까야 사원 명상법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 540-546.
  34. Brahm Ankar, D. A., Dange, R. S., & Mankar, V. H.(2012). The Effect of Resonance on Hum an Conscious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 puter Application, 5: 15-17.
  35. 민은기 외(2000). 테레민의 발명. 악기 백과사전.
  36. 정혜윤(2018). 음악에 대한 공감, 가능하며 유효한가? 음악이론포럼 학회지, 25(2): 165-167.
  37. Austin, D.(2008). The theory and practice of vocal psychotherapy: Songs of the Self. Philadelphia: Jessica Kingsley. (성악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한국성악심리치료사협회 옮김, 시그마프레스, 310-334.
  38. Oliver Sacks.(2007). Musicophilia: Tales of Music and the Brain. Toronto Knopf. (뮤지코필리아) 장호연 옮김, 알마, 2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