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Viewing Quality Factors among Non-Audience in Professional Baseball According to Corona 19

코로나 19에 따른 프로야구 무관중 시청품질요인의 중요도, 만족도 분석

  • 백승헌 (1조선대학교 스포츠 산업학과) ;
  • 김기탁 (1조선대학교 스포츠 산업학과)
  • Received : 2020.09.24
  • Accepted : 2021.02.25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is focused on keywords related to 'Corona 19 and professional baseball' and 'Corona 19 and professional baseball no spectators', using text min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of textom program to identify problems and view quality. It was used to set the variable of For quantitative analysis, a questionnaire on viewing quality was constructed, and out of 270 survey respondents, 25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study. As a tool for secur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IPA analysis (importance-satisfac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that secured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the results and strategies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IPA analysis, factors related to the image (image composition, image coloration, image clarity, image enlargement and composition, high-quality image) were found in the first quadrant, and the second quadrant was the game situation (support team game level, support player game level, star). Player discovery, competition with rival teams), game information (match schedule information, player information check, team performance and player performance, game information), interaction (consensus with the supporting team), and some factors appeared. The factors of commentator (baseball-related knowledge, communication ability, pronunciation and voice, use of standard language, introduction of game-related information) and interaction (real-time communication with the front desk, sympathy with viewers, information exchange such as chatting) appeared.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코로나 19와 프로야구', '코로나 19와 프로야구 무관중'과 관련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텍스톰(textom)프로그램의 텍스트마이닝과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문제점 도출 및 시청품질의 변인을 설정하는데 활용하였다. 정량적 분석을 위해 시청품질에 관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270부의 설문응답자 중 250부의 설문을 최종연구에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도구로 탐색적 요인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설문을 바탕으로 IPA분석(중요도-만족도)을 실시하여 결과 및 전략을 제시하였다. IPA분석을 실시한 결과 1사분면에 영상과 관련된 요인(영상구성, 영상배색, 영상 선명도, 영상 확대 및 구도, 고음질 영상)이 나타났고 2사분면은 경기상황(응원 팀 경기수준, 응원 선수 경기수준, 스타선수 발굴, 라이벌 팀과의 경기)과 경기정보(경기일정 안내, 선수정보 확인, 팀 성적 및 선수성적, 경기정보), 상호작용(응원팀과의 공감대) 일부의 요인이 나타났으며, 3사분면은 해설자(야구관련 지식, 의사전달 능력, 발음과 목소리, 표준어 사용, 경기관련 정보 소개)와 상호작용(프런트와 실시간 소통, 시청자와의 공감대, 채팅 등의 정보교환)의 요인이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학년도 조선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하정우, 김창수(2020). 바이러스 관광위기 극복을 위한 재난회복탄력성 탐색적 연구 -코로나 19재난을 중심으로-. Tourism Reserch, 45(2), 499-517.
  2. 김희선(2020). 코로나 이후의 세계, 스포츠는 어떻게 변할까. 중앙일보, 2020. 4. 17. https://news.joins.com/article/23756447
  3. COVID-19(2020). Dashboard by the Center for Systems Science and Engineering (CSSE) at Johns Hopkins University (JHU). 9. 15. 2020.
  4. 하남직(2020). 코로나가 만든 '이색 풍경'...'마스크 쓴 심판.허공 세리머니'. 연합뉴스, 2020.4. 21. https://www.yna.co.kr/view/AKR20200421148800007
  5. 이정국(2020). 프로야구 시청률 지난해보다 상승. 한겨레신문, 2020. 6. 24. http://www.hani.co.kr/arti/sports/baseball/950756.html
  6. 윤승재(2020). 리그 개막 K - 야구에 미국팬들 신났다. 2020. 5. 13. http://weekly.hankooki.com/lpage/sports/202005/wk20200513142735147090.htm
  7. 주형철, 이용건, 이정학(2012). 골프연습장의 마케팅믹스전략이 관계의 질, 고객충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7(4), 75-90.
  8. 김지섭(2020). 현장 목소리 다 들린다...프로야구 '육성 주의보'. 2020. 5. 18. https://www.msn.com/ko-kr/sports/baseball
  9. Feldman R., and Dagan, I. (1995). Knowledge Discovery in Textual Databases (KD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1, 112-117.
  10. Kao, A., and Poteet, S. (Eds.).(2007).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ext mining. Londo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1. Cowan, R., and Jonard, N.(2004). Network Structure and the Diffusion of Knowledge. Journal of Economic Dynamics and Control, 28, 1557-1575. https://doi.org/10.1016/j.jedc.2003.04.002
  12. Cross, R., and Parker, A.(2004). The Hidden Power of Social Networks : understanding how work really gets done in organization, Boston, MA :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13. Hotho Andreas., and Nurnberger Andreas., and PaaB Gerhard.(2005). A Brief Survey of Text Mining. LDV Forum -GLDV. Journal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and Language Technology, 20(1), 19-62. https://doi.org/10.21248/jlcl.20.2005.68
  14. Martilla, A., & James, C.(1997). Important - 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71-118. https://doi.org/10.2307/1250494
  15. Kenis, P., and Knoke, D.(2002). How organizational field networks shape interorganizational tie - formation rat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7, 275-293. https://doi.org/10.2307/4134355
  16. Krebs, V. E.(2002). Mapping Networks of Terrorist Cells. Connections, 24(3), 43-52.
  17. Oh, H. (2001). Revisit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urism Management, 22, 617-627. https://doi.org/10.1016/S0261-5177(01)00036-X
  18. Matzler, K., Sauerwein, E., & Heischmidt, K.(2003).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revisited: The role of the factor structure of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23, 112-129.
  19. 김수경(2005). 스포츠 중계방송 진행자의 공신력 인식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 최종수, 조광민, 임범규(2011). 동계올림픽 중계 방송에 대한 방송품질지각, 시청만족도, 재시청의도, 구전의도 관계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5(1), 173-188.
  21. 반현, 이현숙(2006). 방송진행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KBS 연예, 오락프로그램 진행자 영상분석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5, 7-39.
  22. 박태현, 김종백(2016). 야구전문프로그램품질이 채널 브랜드 이미지, 시청만족 및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21(4), 73-87.
  23. 이정석(2012). TV홈쇼핑 프로그램 방송서비스 품질과 방송사이미지, 시청만족 및 재시청의도와의 구조적 관계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24. 최종수(2012). 프로야구 중계방송의 방송품질, 시철몰입도, 시청만족도가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5. Li, X. L.(2016). Based on IPA analysis method to do a research about the tennis venue volunteer satisfaction in the first youth game. Master's Thesis. Fujian Normal University.
  26. 김민철, 강준형(2008). 프로배구의 독점중계에 따른 소비자 반응과 시청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47(6), 339-349.
  27. Zhang, A. M.(2016). The revelation of the rebroadcast of NBA's events to CBA. News Front, 111-112.
  28. 김도훈, 유도상(2010). 스포츠 TV중계방송 해설자의 영향 및 공신력에 관한 고찰. 한국체육과학회지, 19(1), 419-431.
  29. 엄진종, 서건우, 김화룡(2014). 동계스페셜올림픽 중계방송에 대한 방송품질지각, 시청만족도, 재시청의도 관계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5(1), 255-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