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thod of Documenting the Stepping on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ong-Notdaribapgi

무형문화재 안동놋다리밟기의 기록화 방법에 관한 연구

  • Kim, Yong-Nam (Department of Content Converg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김용남 (안동대학교 기초융합교육원, 문화산업연구소)
  • Received : 2021.01.19
  • Accepted : 2021.02.25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ocumentary plan for the 7th Gyeongbuk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ong-Notdaribapgi. Most of the records of Andong-Notdaribapgi. are produced centering on play. Thus this study aims to the method of recording it so that it can be accessed and utilized in the long term. This is a study at the beginning stage for documenting the Andong-Notdaribapgi. First of all, at the stage of the basic framework,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ing of the Andong-Notdaribapgi were derived, and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recording was raised. In addition, the entire category of records was se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ehavior process of Andong-Notdaribapgi, and the occurrence records and the contents of the records were organized focusing on the behavior processes occurring in various form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cording target. In addition, materials that can be used are organized by focusing on the details and contents, including related records, and records that can be produced in the course of action are organized by type characteristics. Lastly, record analysis was based on performance behavior, and management functions were organized based on producers. The management of the records is to make it easier for users with various purposes to acces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Andong-Notdaribapgi,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directions and guidelin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ecording plan in field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경북무형문화재 제7호 '안동놋다리밟기'의 기록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안동놋다리밟기' 기록물은 놀이를 중심으로 대부분의 기록물이 생산된다. 이에 장기적으로 접근 및 활용할 수 있게 기록하는 방법을 목적으로 한다. '안동놋다리밟기' 기록화를 위한 시작 단계의 연구이다. 우선 기본 틀의 단계에서 안동놋다리밟기의 기록화의 개념과 특성을 도출하고 기록화의 의미와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안동놋다리밟기의 행위과정 분석을 통하여 기록의 전체 범주를 설정하였고 기록화 대상 분석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 행위과정을 중심으로 발생기록과 기록의 내용에 대해 정리하였다. 또한, 관련된 기록물을 포함한 내용과 콘텐츠에 중점을 두어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정리하였으며, 행위과정에서 생산할 수 있는 기록을 유형별 특성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록 분석은 공연 행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관리기능은 생산자를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기록물을 관리하는 것은 다양한 목적을 가진 이용자가 무형문화재인 안동놋다리밟기에 접근을 쉽게 하기 위함이며, 특성이 유사한 분야의 기록화 방안에 있어 적용 가능한 방향과 지침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함양명(2019). 안동놋다리밟기의 유형론 재고. 실천민속학연구, 34(2019): 171-195.
  2. 김정섭(2021). 서해 끝 무인도 '격렬비열도'의 문화자원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1): 145-146.
  3. 김대기, 손지영, 백유영(2020). 충남무형문화재 공작부채를 활용한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5):90
  4. 국립문화재연구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2007). 무형유산아카이브의 현황과 발전 방향:국제학술심포지엄. 예맥.
  5. 정은진(2009). 연극의 기록화 방법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20(2009): 115-150. https://doi.org/10.20923/kjas.2009.20.115
  6. 안동놋다리밟기보존회. https://cafe.daum.net/notdaribakki/ 2021.01.10.
  7. 양서희(2011). 지역문학관 활성화를 위한 문학기록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문희수(2014). 도시경관 기록화 사업의 사진 기록물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범환(2008). 공연예술 아카이브의 효율적 운영방안.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정혜원(2007). 연극 아카이브 특성 및 현황 연구. 한국연극학, 33(2007): 83-133.
  11. 이호신(2016). 공연예술기록의 정리와 기술에 관한 담론:출처중심주의와 원질서유지의 원칙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16(1): 151-174.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1.151
  12. 김윤철 역(2014). 연극개론. 연극과 인간.
  13. 김용남(2019). 탈 문화자원의 아카이브 구축 및 운영방안.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윤현정(2017). 문화콘텐츠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배경과 사례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6):303-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