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casting Korean CPI Inflation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상승률 예측

  • Received : 2021.08.11
  • Accepted : 2021.11.30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e outlook for Korea's consumer price inflation rate has a profound impact not only on the Bank of Korea's operation of the inflation target system but also on the overall economy, including the bond market and private consumption and investment. This study presents the prediction results of consumer price inflation in Korea for the next three years. To this end, first, model selec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out-of-sample predictive power of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DL) models, AR models, small-scale vector autoregressive (VAR) models, and large-scale VAR models. Since there are many potential predictors of inflation, a Bayesian variable selection technique was introduced for 12 macro variables, and a precise tuning process was performed to improve predictive power. In the case of the VAR model, the Minnesota prior distribution was applied to solve the dimensional curse problem. Looking at the results of long-term and short-term out-of-sample predictions for the last five years, the ADL model was generally superior to other competing models in both point and distribution prediction. As a result of forecasting through the combination of predictions from the above models, the inflation rate is expected to maintain the current level of around 2% until the second half of 2022, and is expected to drop to around 1% from the first half of 2023.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예측은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제 운용, 채권시장 참가자의 만기 포트폴리오 최적화, 부동산 시장 및 민간의 소비와 투자 등 경제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향후 3년간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상승률 예측결과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우선 자기회귀시차(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DL) 모형, AR 모형, 소규모 벡터자기회귀(VAR) 모형, 대규모 VAR 모형의 표본외 예측력을 기준으로 모형선택을 실시한다. 물가상승률에는 다수의 잠재적인 예측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12개의 거시변수를 대상으로 ADL 모형에 베이지안 변수선택기법을 도입하고, 예측력 향상을 위한 정밀한 튜닝과정을 고안하고 적용하였다. VAR 모형에는 미네소타 사전분포를 설정하여 차원의 저주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최근 5년을 대상으로 한 장단기 표본외 예측결과, ADL 모형이 점예측과 분포예측 모두에서 여타 경쟁모형에 비해 전반적으로 우월하였다. 예측조합을 통한 예측결과, 우리나라 소비자물가상승률이 2022년 하반기까지는 현재 비슷한 2% 내외의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2023년 상반기부터는 1% 내외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80% 신용구간은 예측치의 대략 ±1%p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교내연구비(K2001811)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