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ideration and Prospect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Korean Buddhist music

한국 불교음악의 역사적 전개 고찰과 전망

  • Received : 2021.01.28
  • Accepted : 2021.02.19
  • Published : 2021.02.28

Abstract

The history of The Korean Buddhist music dates back to as early as the 2nd year of Goguryeo King Sosoorim's reign (372)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o the land for the first time and should cover the entire development to this date, which spans over 1,600 years. The extensive scope of research is overwhelming and research efforts are limited at best.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Korean Buddhist music has unfolded over such a long period of time and to understand how the Buddhist music is supposed to further develop in this land in and after the 21st century.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followed by Goryeo and Joseon Dynasty period,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o this date, the history of the Buddhist music has unfolded in line with the 'ups and downs of the history of Buddhism'. The Buddhist music is characterized by various development paths based on historical peculiarities over different periods, including protection by the royal family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spect of Buddhist music during the Goryeo Dynasty period, policy to worship Confucianism and suppress Buddh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harsh repression of Buddh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present Buddhist music seeking new ways of proliferating Buddhism among the public, which requires an effort to understan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eriods by identifying key perspectives and tasks of Buddhist music in different periods. In this vein, this article includes not only the history of 'Beompae(Buddhist Chant)', a collective term for Buddhist music in a narrow sense but also all Buddhist music characterized by with Buddhism that is communicated in this land and extends its coverage even to Chanbulga(Buddhist hymn)讚佛歌 music created in and after the 20th century. It also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Buddhism related music in this land. Another task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Myeongching-gagok 名稱歌曲 sung by monk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music created for public mission work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Hwacheong' 和請, and the traces of Buddhist music existing in the music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한국에서 전개된 불교음악의 역사를 살펴보려면 이 땅에 불교가 처음 유입된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기까지를 모두 아울러야 할 것이다. 이는 1,600년이 넘는 시간 속의 전개 양상을 고찰해야 하는 일이라 연구 범위가 넓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럼에도 이 글은 그 긴 시간 동안 펼쳐진 한국 불교음악의 역사적 전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고찰함으로써 21세기 이후 불교음악이 이 땅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펼쳐져야 하는지 생각해 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삼국시대 이후 고려, 조선을 거쳐 일제강점기, 현재에 이르는 동안 펼쳐진 불교음악의 역사는 '불교 성쇄의 역사'와 궤를 같이 하며 전개되어 왔다. 왕실의 비호가 있던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불교음악의 양상과 억불숭유정책이 펼쳐진 조선시대, 그리고 불교가 탄압의 대상이 되었던 일제강점기, 대중 포교를 위해 불교음악의 새로운 길을 모색해야 하는 현재의 불교음악은 그 긴 시간만큼이나 역사적 전개 양상도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이는 각 시기별로 불교음악의 주요한 관점과 과제가 무엇이었는지 구분해서 시대별 특징을 밝혀야 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 글은 좁은 의미의 불교음악을 통칭하는 '범패'의 역사만이 아닌, 이 땅에서 소통된 '불교적 성격을 띤 불교음악'을 모두 포함시키고, 20세기 이후 새롭게 만들어진 찬불가 계통의 음악까지를 모두 대상으로 하여 이 땅에서 펼쳐진 '불교와 관련된 음악의 역사적 전개'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조선 전기의 승려들이 부른 명칭가곡, 조선시대에 대중 포교를 위해 만든 음악, '화청'의 존재 의미, 조선시대 음악에 남이 있는 불교음악의 흔적을 파악해 보는 일도 이 글의 과제가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