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tific Awareness appearing in Korean Tokusatsu Series - With a focus on Vectorman: Warriors of the Earth

한국 특촬물 시리즈에 나타난 과학적 인식 - <지구용사 벡터맨>을 중심으로

  • Bak, So-young (Department of Korean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 박소영 (부산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 Received : 2021.07.11
  • Accepted : 2021.08.15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cientific awareness appearing in Korean tokusatsu series by focusing on Vectorman: Warriors of the Earth. As a work representing Korean tokusatsu series, Vectorman: Warriors of the Earth achieved the greatest success among tokusatsu series. This work was released thanks to the continued popularity of Japanese tokusatsu since the mid-1980s and the trend of robot animations. Due to the chronic problems regarding Korean children's programs-the oversupply of imported programs and repeated reruns-the need for domestically produced children's programs has continued to come to the fore. However, as the popularity of Korean animation waned beginning in the mid-1990s, inevitably the burden fr producing animation increased. As a result, Vectorman: Warriors of the Earth was produced as a tokusatsu rather than an animation, and because this was a time when an environment for using special effects technology was being fostered in broadcasting stations, computer visual effects were actively used for the series. The response to the new domestically produced tokusatsu series Vectorman: Warriors of the Earth was explosive. The Vectorman series explained the abilities of cosmic beings by using specific scientific terms such as DNA synthesis, brain cell transformation, and special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instead of ambiguous words like the scientific technology of space. Although the series is unable to describe in detail about the process and cause, the way it defines technology using concrete terms rather than science fiction shows how scientific imagination is manifesting in specific forms in Korean society. Furthermore, the equal relationship between Vectorman and the aliens shows how the science of space, explained with the scientific terms of earth, is an expression of confidence regarding the advancement of Korean scientific technology which represents earth. However, the female characters fail to gain entry into the domain of science and are portrayed as unscientific beings, revealing limitations in terms of scientific awareness.

<지구용사 벡터맨>은 한국 특촬물 시리즈를 대표하는 작품이자 특촬물 시리즈 중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작품이다. 이 작품이 등장할 수 있었던 것은 80년대 중반부터 계속된 일본 특촬물의 인기와 로봇 애니메이션의 유행이 있었기 때문이다. 한국의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어린이 프로그램의 고질적인 문제인 수입프로그램의 범람과 거듭된 재방송으로 인해 국산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었다. 그러나 90년대 중반 한국 애니메이션의 인기가 줄어들면서 애니메이션 제작에 대한 부담감 또한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그로 인해 <지구용사 벡터맨>은 애니메이션이 아닌 특촬물로 제작되었는데, 이때 특수효과기술을 방송국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던 시기적 특성과 맞물려 컴퓨터 시각효과가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지구용사 벡터맨>이라는 새로운 국산 특촬물 시리즈의 등장에 대한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벡터맨 시리즈는 이제 우주의 과학기술이라는 모호한 단어 대신 DNA 합성, 뇌세포 변이, 특수심리조종장치 등 구체적인 과학적 용어들을 활용해 우주적 존재들의 능력을 설명한다. 비록 그 과정과 원인에 대해서 상세하게 말할 수는 없으나 공상과학이 아닌 구체적 용어들로 정의되는 모습은, 이제 한국사회에 과학적 상상력이 구체적인 형태로 발현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그리고 벡터맨과 우주인들의 동등한 관계는 지구의 과학 용어로 설명되는 우주의 과학은 지구로 대변되는 한국 과학 기술 발전에 대한 자신감의 표현이기도 하다. 그러나 여성캐릭터들은 과학의 영역으로 진출하지 못하고 여전히 비과학적 존재로 묘사되며 과학적 인식에 대한 한계를 드러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