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rofessor's images on learning immersion and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face-to-face + non-face) classes - For Koreans and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t H University in Seoul -

블렌디드 러닝(대면+비대면)수업에서 교수자 이미지가 학습몰입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소재 H대학 뷰티전공 내·외국인학생 대상으로 -

  • Kwon, Oh Hyeok (Dept. of Beauty Design Management, Hansung University)
  • 권오혁 (한성대학교 디자인대학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 Received : 2021.06.09
  • Accepted : 2021.08.05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many changes have been made in the education methods in universities. In respomse, this study intendsto present an efficient learning method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professor images on learning immersion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classes taught with blended learning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t H University in Seoul. For final analysis, 232 of the 234 questionnaires administered from May 17, 2021 to June 2, 2021 were analyz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1.0 was utilize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ctor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First, images of professors have been shown to affect learning immersion. Second, the professor image were shown to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Third, education immersion has been shown to affect educational satisfac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online lectures in universities that suddenly began with onset of COVID-19, it is believed that students'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by applying blended learning as a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성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과제임.

References

  1. 권회림, 문은경, 박인우. (2015). 국낸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 미디어연구, 21(3), 333-359.
  2. 김도이, 김경희. (2019).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한 네일미용 수업모형 설계.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9(2), 263-279.
  3. 김숙현. (2018). 보육교사의 교사역량과 교수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연경, 박성익. (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108.
  5. 김윤아. (2019).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상담 수준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은주. (2014).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독서량 간의 관계 검증. 교육종합연구, 12(3), 1-22.
  7. 김진희. (2018).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뷰티스타일링 수업 설계 및 효과 연구. 건국대학교박사학위논문.
  8. 김홍길. (2019).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가 교사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셀프리더십의 매개 효과.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도재우. (2020).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6(2), 153-173. https://doi.org/10.24159/JOEC.2020.26.2.153
  10. 메가스터디 초중등사업부. (2011). 첫 아이가 중학교에 갑니다. 서울: 21세기 북스.
  11. 문은경, 박인우. (2015). 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3), 333-359.
  12. 박성영. (2020). 비대면 온라인 실습수업을 통한 효율적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연구.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숙현. (2015). 여중생이 지각한 수학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이 교육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수학학습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혜경. (2012). 원격교육 교강사의 이미지와 강의력이 학습자의 학습만족도 및 인지된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방희봉. (2015),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 영향요인 구조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11), 7474-7484. https://doi.org/10.5762/KAIS.2015.16.11.7474
  16. 신지훈. (2013). 미용교과 분장 수업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활용 효과 연구. 건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17. 서윤경, 고명희, 김수영, 전병호. (2020). 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자 만족 연구. 디지털산업정보학회지, 16(3), 83-94.
  18. 송윤희. (2014).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몰입,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와의 관계. 평생학습사회, 10(2), 105-123.
  19. 석임복. (2008). 학습몰입의 성격분석연구, 학습동기, 학업성취도 및 Csikszentmihalyi의 몰입모델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4(1), 187-212.
  20. 안혜문. (2017).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양미석. (2020). 온라인 교육자의 이미지와 강의력이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엄순빈. (2015). 담임교사의 이미지와 초등학생의 체육수업태도와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유이. (2018). SNS협력학습에서 이모티콘의 유형과 정서적 특성이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와 의사소통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유현재. (2020).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학습태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고등학교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미란. (2020). 학습동기가 학습몰입, 학업성취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 ARCS 학습동기 이론을 적용한 NCS기반 바리스타 학습자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보경. (2020).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 연구, 14(4), 97-112.
  27. 이선경, 권오혁, 이정민. (2018). 퍼스널이미지메이킹. 서울: 구민사.
  28. 이슬기. (2011).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체육교사 이미지가 체육수업태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준엽. (2004). 체육교사의 이미지가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지혜. (2009). 대학생의 학습 동기적 요인과 학습몰입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 36(3). 6-26.
  31. 임대혁. (2018). 미용대학 교수자.학습자 간 커뮤니케이션이 교육만족도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임정훈, 성은모. (2011). IPTV 학습환경에서 중.고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교과 태도,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 미디어연구, 17(3), 423-446.
  33. 임진호. (2018).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오픈소스 학습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장정, 제혜금, 김보경. (2021). 중국대학생 동영상 학습에서 텍스트 제시방식과 이미지 제시방식이 학습몰입, 학습만족,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1), 633-640. https://doi.org/10.5762/KAIS.2021.22.1.633
  35. 장웅상. (2020). 실용음악전공 학생의 전공 만족도, 학습몰입,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 행동,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장재홍. (2016). SNS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 상호작용, 학습몰입, 학습만족, 인지된 학습성과 간의 구조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정은혜. (2020). 유아교사의 역량과 놀이교수효능감이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정찬성. (1998). 중학교 학부모의 체육교사 역할기대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조지수, 배정인. (2021).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형태와 콘텐츠가 학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외대학생의 관점에서-.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2(3), 643-650.
  40. 최인희. (2018). NCS 네일미용 교육의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가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전. 충남을 중심으로.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허신영. (2009). 대한민국 2030 학원강사로 성공하라. 서울: 미래와 경영.
  42. 홍현우. (2012). 창의적 문제 해결 학습에서 교수자 요인과 수업환경요인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의. (2020). 코로나19로 인한 대학개강 이후의 학사운영 현황. 자료 검색일 2021.05.10, 자료출처 http://kapup.org/sub.
  44. Bersin, J. (2004). The blended learning book: Best practices, proven methodologies, and lesson learned. San Francisco: Pfeiffer.
  45. Bonk, C. J., & Graham, C. R. (2006). The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San Francisco: Pfeiffer.
  46. Driscoll, M. (2015). Blended learning, e-learning. Open journal of social sciences, 3(2), 54-56. https://doi.org/10.4236/jss.2015.31008
  47. Kerres, M., & De Witt, C. (2003). 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 Journal of Educational Media, 28(2), 101-113. https://doi.org/10.1080/1358165032000165653
  48. Mantyla, K. (2001). Blended learning: The power is in the mix.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 development. VA: ASTD.
  49. Thorne, K. (2003). Blended Learning: How to integrate online & traditional learning. London: Kogan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