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ser Perception about O2O Order·Delivery App Using Topic Modeling and Revised IPA

토픽 모델링과 수정된 IPA를 활용한 O2O 주문·배달 앱에 대한 사용자 인식 연구

  • Received : 2021.08.22
  • Accepted : 2021.09.20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the use of O2O order·delivery applications are becoming very common. Unlike the past, where customers could choose the desired transaction method and channel, these days, where customers' choices are very limited, it is urgent to consider the concept of shadow labor which has been hindered by the convenience and the benefits of order·delivery app. To this end, in this study, the service quality factors perceived by users of O2O order·delivery app and their shadow work attributes were identified, and priorities according to their relativ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were suggested. In order to fulfill research objectives, first, after collecting user reviews for an O2O order·delivery app, the subject words were derived using topic modeling. Research variables were selected by linking 11 keywords with the concepts of previous studies on service quality of mobile apps and those about shadow labor. Eight variables of usefulness, ease of use, stability, design quality, personalization, responsiveness, update, and presence were selected. Based on 32 measurement items from the variables, a revised IPA was conducted, and finally, 'keep', 'concentrate', 'low priority', or 'overkill' service quality factors are revealed.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O2O 주문·배달 앱의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원하는 거래 방식과 채널을 선택할 수 있었던 과거와 달리, 소비자의 선택의 폭이 점점 좁아지고 있는 뉴노멀 시대에는 주문·배달 앱의 편의성에 가려져 왔던 그림자 노동에 대한 고찰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O2O 주문·배달 앱의 사용자가 인지하는 서비스품질 요인과 그로 인한 그림자노동 속성을 파악하고, 상대적인 중요도와 만족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파악하고자 한다. 먼저 O2O 주문·배달 앱에 대한 사용자 리뷰를 수집 후, 텍스트 분석 방법인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키워드에 따른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11개의 주제어를 기존의 주문·배달 앱 서비스품질에 대한 선행연구 및 그림자노동 관련 선행연구의 개념과 연결하여 연구변수를 선정하였다. 유용성, 용이성, 안정성, 디자인 품질 및 개인화, 반응성, 업데이트, 실재감의 8개 변수가 선정되었고, 이에 대한 32개의 측정항목에 대해, 주문·배달 앱 이용자를 대상으로 수정된 IPA 분석을 실시하여, 지속유지, 중점개선, 점진개선, 과잉 영역의 항목들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5A2A03031352).

References

  1. 김건, 윤혜정 (2016).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서울지역 호텔서비스에 대한 고객인식의 변화 분석. 서비스경영학회지, 17(3), 217-231.
  2. 김남규, 이동훈, 최호창 (2017). 텍스트 분석 기술 및 활용 동향. 한국통신학회논문지, 42(2), 471-492. https://doi.org/10.7840/kics.2017.42.2.471
  3. 김민경 (2020). 외식 O2O 플랫폼 품질 특성이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34(1), 157-172.
  4. 김민선, 김태희 (2020). 배달외식 서비스의 품질 속성이 고객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23(3), 7-28.
  5. 김상현, 박현선 (2011).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품질이 사용자 만족과 애플리케이션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20(3), 81-109.
  6. 김성수, 한경석, 김병수, 박수경, 안상근 (2011).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이용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9(8), 213-228.
  7. 김수현, 이영준, 신진영, 박기영 (2019). 경제 분석을 위한 텍스트 마이닝. 한국은행 2019-18.
  8. 김이태, 류예빈 (2019). 전통적 IPA와 수정된 IPA를 활용한 컨벤션 선택속성 개선방안. 호텔경영학연구, 28(1), 47-59.
  9. 김재전, 신선진, 유일 (2013).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가치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3(3), 229-255.
  10. 나소정 (2021). 전통적 IPA 와 수정된 IPA를 이용한 항공서비스학과의 온라인 교육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연구, 102, 167-182.
  11. 박상철 (2019). 그림자노동 차원에서 본 IT사용자의 비밀번호 변경행동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28(2), 93-107.
  12. 박상철, 류성열 (2020). 맥도날디제이션 관점에서 본 SST 사용자의 그림자노동.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0(1), 99-105.
  13. 박상철, 이웅규 (2019). 문헌고찰을 위한 근거이론방법의 활용: 디지털 환경에서의 그림자 노동 개념 도출. 지식경영연구, 20(2), 183-195. https://doi.org/10.15813/kmr.2019.20.2.009
  14. 박상철, 이웅규, 고준, 류성열 (2020). 디지털 기술 환경에서 의 그림자 노동 메커니즘 규명 연구. 경영학연구, 49(1), 31-50.
  15. 박상희 (2021).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결에서 통합으로, OMO 시대로 전환. 플래티어, 2.
  16. 배재권 (2010).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마켓(앱스토어)의 수용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3(5), 2399-2422.
  17. 범을문, 이애리 (2019). 모바일 러닝 애플리케이션 이용과 영향 요인 연구: 중국과 한국 사용자 비교 연구. 지식경영연구, 20(4), 149-168. https://doi.org/10.15813/kmr.2019.20.4.009
  18. 석재환, 문석화, 권륜일 (2019). O2O기반 모바일 앱 서비스품질의 실증적 분석. 경영교육연구, 34(1), 171-194.
  19. 선일석, 박수홍 (2019). 외식 배달서비스 품질에 대한 배달앱 사용자의 인식차이 연구. e-비즈니스연구, 20(4), 91-102.
  20. 송규태, 정문석 (2021). 배달앱의 서비스품질 요인이 고객만족,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경영연구, 25(4), 93-116.
  21. 송상현 (2021, 8월 4일). 5060 온라인 소비 주역 부상...배달앱.OTT 사용량 '쑥'. 뉴스1코리아, https://www.news1.kr/articles/?4393351
  22. 신동형 (2010). 스마트폰 경쟁에 비춰진 강자들의 속내. LG경제연구원, 3, 28-33.
  23. 신주희, 김홍범 (2021). 커피전문점 배달 앱 사용후기의 측면성에 따른 구매의도 차이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24(3), 31-52.
  24. 안재영, 신대솔, 이중정 (2021). 온라인 플랫폼 독점 사업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배달의 민족 케이스 기반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1(4), 77-98.
  25. 이소현, 손새아, 김희웅 (2019).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미용 성형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20(1), 45-75.
  26. 이애리 (2021). 언택트 시대 라이브 커머스 이용 활성화 영향 요인 고찰: 다차원적 상호작용성, 현장감, 리뷰 신뢰도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2(1), 269-286. https://doi.org/10.15813/KMR.2021.22.1.013
  27. 이연주, 이태희 (2020). 수정된 IPA 분석을 이용한 호텔 예약 사이트 선택 속성 연구. 관광연구저널, 34(1), 27-38.
  28. 이재학 (2019). 외식업 O2O 배달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20(5), 125-139.
  29. 이태수 (2020, 12월 17일). 비대면 소비 확산...온라인 쇼핑. 배달시장 급성장.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01215134300030
  30. 장현용, 박상철, 고준 (2020). 온라인 교육 수용환경에서 시니어들의 디지털 행동 이해: 근거이론적용. 지식경영연구, 21(2), 77-100. https://doi.org/10.15813/KMR.2020.21.2.005
  31. 정지훈, 정혜인, 이준기 (2021). 텍스트마이닝 기법과 ARIMA 모형을 활용한 배달의 민족 앱 리뷰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2(2), 291-299.
  32. 조동석, 이해영 (2015). 사회적 실재감, 플로우 및 e-충성도와 레스토랑 모바일환경에서의 서비스 가치의 조절효과. 호텔관광연구, 17(6), 184-204.
  33. 조미나 (2020). 모바일 음식 배달앱 서비스 품질 척도 개발 및 배달앱 품질 개선을 위한 SERVQUAL-Kano 통합 모델의 QFD 적용. 관광학연구, 44(4), 103-121.
  34. 조현아, 전혜진 (2021). 음식 배달앱 사용자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23(1), 133-151.
  35. 주경, 이소현, 김재윤, 이중정 (2020). 텍스트마이닝 기반 실시간 온라인 강의 서비스의 긍정/부정 이슈 분석. 글로벌경영학회지, 17(5), 20-45.
  36. 최미나, 진윤선, 권오병 (2016). 다국어 소셜미디어에 대한 감성분석 방법 개발: 한국어-중국어를 중심으로. 지능정보연구, 22(3), 91-111. https://doi.org/10.13088/jiis.2016.22.3.091
  37. 최성국, 양성병 (2020). O4O 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 및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허마셴셩 사례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1(3), 249-269. https://doi.org/10.15813/KMR.2020.21.3.014
  38. 최진선, 김승현 (2019).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전략: 모바일 쇼핑 앱 사용 효과 실증 연구. 지식경영연구, 20(4), 169-183.
  39. 한채원, 함선옥, 문혜영 (2019). O2O 외식배달 플랫폼 서비스 특성, 신뢰,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 간의 영향관계. 호텔관광연구, 21(1), 115-128.
  40. 황예진, 이수범 (2021). O2O 외식 배달 어플리케이션 지속이용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저널, 35(2), 175-192.
  41. 황지현 (2015). O2O, 커머스를 넘어 On-Demand Economy로. KT경제경영연구소. [국외 문헌]
  42. Andrews, C. K. (2019). The overworked consumer: Self-checkouts, super-markets, and the Do-IT-Yourself economy. Lexington, New York.
  43. Deng, W. (2007). Using a revise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pproach: The case of Taiwanese hot springs tourism. Tourism Management, 28(5), 1274-1284. https://doi.org/10.1016/j.tourman.2006.07.010
  44. Ivan, I. (1981). Shadow work. Salem, New Hampshire and London: Marion Boyars.
  45. Kano, N., Seraku, N., Takahashi, F., & Tsuji, S. (1984). Attractive quality and must-be quality. Hinshitsu-The Journal of Japanese Society for Quality Control, 14, 39-48.
  46. Lambert, C. (2015). Shadow work: The unpaid, unseen jobs that fill your day. Counterpoint Press, Berkeley.
  47. McColl-Kennedy, J. R., Zaki, M., Lemon, K. N., Urmetzer, F., & Neely, A. (2019). Gaining customer experience insights that matter. Journal of Service Research, 22(1), 8-26. https://doi.org/10.1177/1094670518812182
  48. Ryoo, S. Y., & Park, S. C. (2021).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digital shadow work in mobile shopping apps context. Sustainability, 13(14), 7697. https://doi.org/10.3390/su13147697
  49. Vavra, T. G. (1997). Improving your measur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A guide to creating, conducting, analyzing, and reporting customer satisfaction measurement programs. ASQ Quality Press.
  50. Zhang, P., Von Dran, G. M., Blake, P., & Pipithsuksunt, V. (2001). Important design features in different web site domains: An empirical study of user perceptions. E-Service, 1(1), 77-91. https://doi.org/10.2979/esj.2001.1.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