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standings and Practices of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in the Historical Context : Localizat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Contextual future policies

시대적 맥락에 따른 문화다양성 개념의 해석과 실천: 전라북도 사례로 본 문화다양성의 지역화와 맥락적 정책 방향

  • Received : 2021.01.28
  • Accepted : 2021.03.17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understandings and practices have been shifted in accordance with the historical context, this study aims to propose future policies to localize cultural diversity. First,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for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which came from political struggles, to understand and practice cultural diversity in the historical context by analyzing the multilayer aspects of policy practices. Second, through the case study of Jeonlabuk-do, by reviewing the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social minorities and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s related to culture policies in the region, this study represents to understand and practice of cultural diversity in the multi-layed way, even in the local. Lastly, it suggests some specific future policies to be considered when implicating the policies of culture diversity in respond to the limits of current government policies, including: decentralization of policies, enhancing local policies, transition from 'politics of distribution' to 'politics of recognition', an interculturalist approach that promotes contact rather than separation

이 연구는 시대적 맥락에 따라 문화다양성의 해석과 실천이 달라졌다는 전제 아래, 문화다양성의 지역화에 필요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정치투쟁의 결과로 나타난 문화다양성 개념의 해석과 정책실천의 중층성을 분석하여 시대적 맥락에 따라 문화다양성을 해석하고 실천하는 자세가 필요함을 밝혔다. 둘째, 전라북도를 사례로 사회적 소수자가 지역에서 경험한 차별과 문화정책 관계자의 인식을 분석하여 지역에서도 문화다양성이 중층적으로 해석되고 실천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부 정책의 한계에 대응하여 지역에서 문화다양성 정책을 수립하는데 고려해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내용은 정책의 탈중앙화와 지역차원의 정책 발굴, '분배의 정치'에서 '인정의 정치'로 전환, 분리가 아닌 접촉면을 늘리는 상호문화주의적 접근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국(2010), 문화적 권리와 보편적 인권, 국제정치논총 50(1), 261-284.
  2. 김 면(2017), 문화다양성 정책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3. 김용섭(2017), UNESCO 문화다양성 협약을 둘러싼 법적 문제, 행정법연구 51, 189-213.
  4. 김창규(2014), 문화국가 구현을 위한 문화분권의 과제, 공법연구 42(4), 147-176.
  5. 김태원(2012), 다문화사회의 통합을 위한 패러다임으로서의 유럽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이론 탐색, 유럽사회문화연구 9, 179-213.
  6. 라도삼(2018), 서울시 문화다양성 의제와 정책방안, 서울연구원 정책보고서.
  7. 문화체육관광부(2018), 제2차 유네스코 문화다양성협약 이행 국가보고서 작성 연구.
  8.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8 문화다양성 정책 연차보고서.
  9. 박종대(2017), 한국 다문화교육정책 사례 및 발전 방안 연구: 상호문화주의를 대안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이경희(2015), 다문화사회에서 소수자에 대한 이해와 실천 - 신자유주의와 다문화주의 담론의 극복, '보편적-창조적 소수자' 되기-, 윤리교육연구 38, 253-279.
  11. 이동연(2006), 문화다양성과 문화권: 한국사회의 현주소와 정책적 과제,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포럼 자료집, 7-24.
  12. 이동연(2018), 개헌과 문화권, 문화과학 94, 126-146.
  13. 장세길(2018), 혐오사회 극복과 포용국가 실현을 위한 문화다양성의 가치와 과제, 전북연구원 이슈브리핑.
  14. 장의관(2008), 소유적 문화집단주의와 무인정의 정치? 다문화주의의 비판적 고찰, 한국정치학회보 42(4), 131-154.
  15. 정기섭.오영훈.김영순.이문기.변경원(2014), 상호문화 교육의 이해, 북코리아.
  16. 장한업(2016), 상호문화교육의 철학적 기반에 대한 고찰: 상호문화성을 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21(2).
  17. 정보람(2019), 문화다양성 보호 및 증진사업 개선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수시과제 보고서.
  18. 한건수(2015), 한국 사회의 문화다양성 :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의 의미와 과제, 국제이해교육연구, 10(2), 163-199.
  19. Goodin, Robert E.(2006), Liberal Multiculturalism: Protective and Polyglot, Political Theory (34)3, 289-303. https://doi.org/10.1177/0090591705284131
  20. Peter, Burke(2009), Cultural Hybridity (강상우 옮김, 「문화혼종성」 , 2012, 서울: 이음출판사).
  21. UNESSCO(2006), Guidlines on intercultural education, UNES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