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ists

전통공연예술인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1.11.23
  • Accepted : 2021.12.26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ethnographic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motional labor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ists who hide and control their emotions in performances and th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emotional labor by mean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raditional performing artists and Giorgi's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factors that lead to emotional labor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ists can be divid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ones. The external factors arose from expressing various emotions while creating or suppressing their own emotions in an effort to draw out the emotions of the audience. Also, emotional labor occurred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place, performance type and audience reaction. The internal factors consisted of the emotional burden experienced due to concerns over mistakes and audience satisfaction as they voluntarily commit themselves to the performance in order to satisfy the audience. Second, complex emotions that remain after the performance sometimes lead to aftereffects of emotional labor. Third, factors of emotional labor that originate from belonging to an organization had an influence, which resulted in their considering job change or resignation. Fourth, emotional labor arises from the specificity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ield, that is, negative perceptions and unfair internal practice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 study showed that traditional performing artists relieve their emotional labor through hobbies and chatting with colleagues, and took the emotional labor as granted, not recognizing that the occupational emotional labor as emotional labo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cognized and analyzed traditional performing artists as emotional workers and focused on the emotional labor component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ists.

본 연구는 공연 활동에서 자신의 감정을 숨기고 통제하는 전통공연예술인의 감정노동과 그 감정노동의 구성요소 및 특성을 파악하고자 전통공연예술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고 Giorgi의 분석방법으로 분석한 문화기술지 연구이다. 분석결과 첫째, 전통공연예술인의 감정노동을 야기하는 요소는 공연 중 외부적·내부적인 요소로 나눌 수 있다. 외부적 요소는 관객의 감정을 끌어내기 위해 감정을 만들어 내거나 억누르며 자신의 감정과는 다른 다양한 감정을 표현함에 따라 발생하였다. 또한 공연 장소와 공연 형태, 관객의 반응에 따라 감정노동이 발생하였다. 내부적 요소는 공연을 통해 관객을 만족시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열정을 쏟아 공연에 임하며 실수에 대한 부담감과 관객 만족에 대한 부담감을 안고 있었다. 둘째, 공연 후 지속되는 복합적인 감정들이 감정노동의 후유증으로 남기도 한다. 셋째, 조직생활에서 비롯된 감정노동 요소가 영향을 주었으며, 이로 인하여 이직이나 퇴사를 고려하기도 하였다. 넷째, 예술인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사회에서 받는 부정적인 인식과 현대예술과 전통예술과의 차별과 편견, 관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노동이다. 연구결과 전통공연예술인들은 개인의 취미 활동, 동료들과의 수다 등으로 감정노동을 해소하고 있었으며, 직업적 감정노동을 감정노동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전통공연예술인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로서 공연예술인을 감정노동자로 인식하고 감정노동의 구성요소와 특성을 분석한 기초연구로써 연구 의의를 찾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영(2019), 공연예술인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연극.뮤지컬 분야의 배우와 연출가를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김민주.김두라(2008), 외식산업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감정노동자의 정서, 커뮤니케이션 스킬간의 인과관계,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4(2), 73-85. https://doi.org/10.20878/cshr.2008.14.1.006006006
  3. 김현숙(2012), 직업무용수의 공연심리 요인 분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문화체육관광부(2006), 전통예술활성화:비전 2010, 문화체육관광부.
  5. 박찬임(2012), 문화예술분야 근로실태, 월간노동리뷰 12(7), 21-35.
  6. 서상철(2016), 예술단 내의 지도자와 단원 간의 관계와 대처행동 그리고 심리적 탈진의 관계,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서영희(2017), 광고모델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감정노동, 역할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손지원(2018), 공연 후 배우가 겪는 심리적 후유증(Post-Dramatic Stress)에 대한 고찰,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신경림 외 역(2004).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Giorgi, Amedeo(1985). 서울: 현문사.
  10. 오은정(2010), 한국 전통연희를 활용한 Interactive art의 방향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오진호(2012), 배우의 무대불안 극복을 위한 심리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 234-243. https://doi.org/10.5392/JKCA.2012.12.01.234
  12. 우사랑(2017), 문화기반시설 서비스 인력의 감정노동, 소진과 직무만족,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13. 유기웅 외(2014),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14. 유영란.허진영(2009), 직업무용수의 감정노동 및 교환관계와 무용공연 참여만족과의 관계, 대한무용학회논문집 58(58), 169-189.
  15. 유영선(2017), 감정노동이 공기업 직원의 조직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공공기관 대민업무 담당직원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윤수영.허식(2016), 문화예술인의 예술근로 만족에 관한 연구, 스로스비의 근로선호모형 적용, 문화정책논총 30(2), 66-91. https://doi.org/10.16937/JCP.30.2.201608.66
  17. 이가람 역(2009), 감정노동:노동은 우리의 감정을 어떻게 상품으로 만드는가, 서울: 이매진.
  18. 이상훈.김영현(2014),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역할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Tourism Research 39(4), 285~312.
  19. 이훈석.전병준(2012), 방송연예인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616-626.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616
  20. 임세순.안관영(2014), 호텔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 및 성별의 조절효과, 서비스경영학회지 15(5), 1-27
  21. 정철현(2008), 문화정책과 예술경영, 서울: 서울경제경영.
  22. 조현섭 외(2019), 예술인 심리상담 연구, 연기예술연구 14(1), 93-114.
  23. 한경아(2008), 무용인의 직업적 삶에 대한 희망과 좌절,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한상근(2016), 감정노동의 직접적 특성에 관한 연구, 노동연구 32(4), 5-27.
  25. 황승미.윤지환(2012),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이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1(2), 277-294.
  26. 고용노동부, (http://www.moel.go.kr/index.do, 자료검색일 2021.05.14.)
  27. 한경경제용어사전, (https://dic.hankyung.com, 자료검색일 2021.05.14.)
  28. Ashforth, B. E., & Humphrey, R. H. (1993).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 the Influence of Ident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s 18(1), 88-115. https://doi.org/10.2307/258824
  29. Grandey, A. (2000). Emotional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1), 95-110. https://doi.org/10.1037/1076-8998.5.1.95
  30. Hochschild, Arlie Russell (200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1. Lincoln, Y.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 Sage
  32. Morris, J. A., & Feldman, D. C.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s 21(4), 986-1010. https://doi.org/10.2307/259161
  33. Pugliesi, A1 Karen(1999). The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Effects on Work Stress,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Motivation and Emotion 23(2), 125-154. https://doi.org/10.1023/A:10213291126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