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erceive Service Quality of Local Content Production Policy on User Satisfaction, Reu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지역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의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이용 만족, 재이용 의도,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1.05.15
  • Accepted : 2021.06.23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for the local content production policy on the service user satisfaction, reuse intention, an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First,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adequacy were identified as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criteria of the local content production policy. Second, all of the quality evaluation criteri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rvice user satisfaction. Third, responsiv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reuse intention, and responsiveness and reli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Fourth, the service us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use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presenting a theoretical model for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of the local content production policy, and suggesting persp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the policy.

본 연구는 지역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정책 수혜자의 이용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사업 종료 후 재이용 의도 및 추천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SERVPERF 모형에 근거한 지역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에 적합한 품질기준을 구성하였다. 첫째, 지역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의 서비스 품질평가 기준으로 신뢰성, 대응성, 적정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품질평가 기준은 모두 이용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재이용 의도에 대응성이, 추천 의도에 대응성과 신뢰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이용 만족은 재이용 의도와 추천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에 본 연구는 실증 분석으로 지역콘텐츠 제작지원 사업의 품질평가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처음으로 제시하고, 해당 사업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결.박경수.김재희(2016), 서비스 품질지수를 고려한 품질기능전개를 통한 철도 서비스 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 품질경영학회지 44(2), 451-466. https://doi.org/10.7469/JKSQM.2016.44.2.451
  2. 고형진.박경수.김재희(2015), 품질 및 효율성을 중심으로 한 우정서비스 성과에 대한 통합 분석: SERVPERF와 자료포락분석의 활용, 서비스경영학회지 16(2), 45-64. https://doi.org/10.15706/JKSMS.2015.16.2.003
  3. 김소원(2020),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지역 활성화 연구: 일본 사례의 분석과 응용,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1, 275-308.
  4. 김세환(2020), 영상콘텐츠 제작스태프의 표준계약서 체결과 직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총 노동시간, 연속노동시간, 임금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1, 7-32.
  5. 문화관광체육부(2017), 콘텐츠산업 중장기 정책비전: 미래 콘텐츠산업 준비 보고서.
  6. 문화체육관광부(2020), 2019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보고서.
  7. 송건섭(2006), 사회복지관의 성과평가 모형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SERVQUAL을 이용한 질적평가,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0(1), 79-100.
  8. 송균석.남윤형.권혁찬(2007), 중소기업지원정책 품질에 대한 수혜자 만족도 분석: 서브퀼(SERVQUA) 요인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29(2), 271-293.
  9. 우양호.홍미영(2004), '공공서비스 질' 측정의 타당성 평가에 관한 연구: 'SERVPERF 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행정논집 16(3), 647-671.
  10. 유석천.정욱.박찬규(2010), 공공 연구시설 활용 증진의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35(2), 37-51.
  11. 원다솔.이민(2021), 동네 기록을 활용한 지역문화콘텐츠 융합적 특성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9(1), 301-313.
  12. 이경복 외(2016), SERVQUAL 기법을 이용한 국가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의 분석,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6(4), 1037-1055. https://doi.org/10.13089/JKIISC.2016.26.4.1037
  13. 이선영.윤수인(2018),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 노인을 대상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13(2), 205-216.
  14. 이재필.이시경(2009), 공공서비스 품질평가 모형 개발, 한국공공관리학보 23(1), 1-32.
  15. 이준호.원숙경(2017), 지역문화콘텐츠산업의 클러스터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영화영상콘텐츠 관련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7(4), 242-270.
  16. 이환범.이수창(2007), 공공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고객만족유형별 차이연구: 이용만족, 재방문, 타인 권유 집단간 판별분석을 토대로, 한국행정논집 19(1), 103-126.
  17. 임현락.박장운(2009), 기술이전 지원서비스의 품질 및 고객만족도 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855-862.
  18. 장대성.오지경(2007), 변호사 서비스품질 측정방법 규명에 관한 연구: SERVQUAL과 SERVPERF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0(6), 3115-3131.
  19. 장철영(2007), e-서브퀄(e-SERVQUAL) 요인을 이용한 전자정부 e-행정서비스 질 평가: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19(2), 367-404.
  20. 정해경(2019), 지역문화콘텐츠의 정책 지향과 향유 지속 방안, 인문콘텐츠 54, 181-211.
  21. 최락인(2019), 지역문화관광 콘텐츠를 통한 관광자원 개발 활성화정책 방안- 부산지역 노래비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7), 365-374.
  22. 한국콘텐츠진흥원(2020). 2019 콘텐츠 산업백서.
  23. Bansal, H. & Taylor, S.(1997),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and switching intentions, in Wilson, E. J. & Hair, J. C.(eds.), Developments in marketing science, F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4. Caruana, A.(2002),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and the mediating role of customer satisfac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6(7/8), 811-828. https://doi.org/10.1108/03090560210430818
  25. Cronin, J. J. & Taylor, S. A.(1992),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6(3), 55-68. https://doi.org/10.2307/1252296
  26. Ding, L, Velicer, W. F. & Harlow, L. L.(1995), Effects of estimation methods, number of indicators per factor, and improper solutions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t indic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2), 119-144. https://doi.org/10.1080/10705519509540000
  27. Gandhi, S. & Kang, L. S.(2011), Customer satisfaction, its antecedents and linkage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 study, Asian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Science 1(1), 129-137.
  28. Parasuraman, A., Zeithaml, V.A., Berry, L.L.(2002),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In Retailing: critical concepts, edited by Findlay, A.M. & Sparks, L., London: Routledge.
  29. Spreng, R. A. & Mackoy, R. D.(1996), An empirical examination of a model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Journal of Retailing 72(2), 201-214. https://doi.org/10.1016/S0022-4359(96)900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