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민석, 김은애, 허진미, 양일호(2013). 초등학교 교사의 탐구에 대한 신념과 과학과 수행평가의 실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2), 124-135.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2.124
- 곽영순(2008).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 유형별 교사 전문성의 특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92-602.
- 곽영순(2011). 초등 과학수업 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2(4), 422-434. https://doi.org/10.5467/JKESS.2011.32.4.422
- 교육부(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 교육부(2014).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3-1. 미래엔.
-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 김동현(2014). 초등학생 과학 학습정서 검사 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민희, 김영수(2015).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탐구과정 내용 분석과 학생들의 탐구과정에 대한 인식 및 탐구 사고력 조사. 생물교육, 43(1), 17-26. https://doi.org/10.15717/BIOEDU.2015.43.1.17
- 김선영(2017).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학습의 효과성 탐색-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을 중심으로. 생물교육, 45(1), 16-29.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1.16
- 김영신, 조윤정, 임수민(2020). 초, 중, 고등학생들의 과학 교사 자질에 대한 이미지. 과학교육연구지, 44(1), 61-73. https://doi.org/10.21796/JSE.2020.44.1.61
- 김효준, 송진웅(2019). 미국 차세대과학교육표준(NGSS)과 한국 미래세대과학교육표준(KSES)의 종합적 비교와 TIMSS Science Framework 준거를 통한 수행기대의 물리 내용 요소 분석. 새물리, 69(9), 916-931.
- 박재용, 이기영(2011). 중학교 과학 자유 탐구 수행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3), 603-632.
- 박정희, 박예리, 김정률(2004). 탐구 학습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731-738.
- 박준형, 나지연, 정용재, 송진웅(2015).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수업의 특징: 과학수업 문화 분석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99-508.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3.0499
- 배병렬(2009).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 변태진, 백종호, 심현표, 이동원(2019).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탐구실험'운영 실태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5), 669-679.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5.669
- 서형두(2003). 물 속에서 물체의 무게에 대한 과학 수업의 탐색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서희정, 박재원, 원정애, 백성혜(2007). 초등학생의 과학수업에 대한 평가가 교사의 수업 행동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6(1), 12-23.
- 성혜진, 임희준(2018). 과학 탐구 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7(4), 391-401.
- 성혜진, 임희준(2019). 과학 탐구 활동의 유형과 과학 탐구의 특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8(2), 163-172.
- 소경희(2003). '교사 전문성'의 재개념화 방향 탐색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과정연구, 21(4), 77-96.
- 소경희, 최유리(2018). 학교 중심 교육 개혁 맥락에서 교사의 실천 이해: '교사 행위주체성'개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6(1), 91-112.
- 송진웅, 나지연(2014). 창의융합의 과학교육적 의미와 과학 교실문화의 방향. 교과교육학연구, 18(3), 827-845. https://doi.org/10.24231/RICI.2014.18.3.827
- 송하영, 김영신(2010). 예비 과학 교사가 보유한 과학 교사에 대한 이미지. 과학교육연구지, 34(1), 33-46. https://doi.org/10.21796/JSE.2010.34.1.33
- 양일호, 서형두, 정진우, 권용주, 정재구, 서지혜, 이혜정(2004). 초등 과학 교사들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행동 요소와 수업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회지, 24(3), 565-582.
- 양정은, 최애란(2020).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들의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을 위한 PCK 구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5), 565-582.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5.565
- 오필석(2020). 과학교육에서 기능 중심의 과학 탐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141-150.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2.141
- 우종필(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 유용모, 김미숙(2020).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사업에 나타난 교사 행위주체성(teacher agency).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 905-935.
- 윤혜경, 강남화, 김미정(2011).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한국, 싱가포르, 미국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초등과학교육, 30(4), 574-588.
- 이기영(2009). 지구과학 교사의 주제-특정적 PCK 분석: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 사례.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0(3), 330-343.
- 이기영, 박재용(2014). 교사 지식의 관점에서 학생들이 인식하는 과학 교사 효과성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7), 625-63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7.0625
- 이동승(2014). 탐구 중심 수업의 적용에서 초등교사가 겪는 변화와 어려움.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동승, 박종석(2017). 과학탐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에 의한 '과학탐구'관련 연구동향 분석. 대한화학회지, 61(4), 197-203. https://doi.org/10.5012/jkcs.2017.61.4.197
- 이선경, 오필석, 김혜리,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2009). 과학 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 관점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7-57.
- 이성회(2021). 생태학적 "교사 행위주체성"의 한계와 대안. 교육사회학연구, 31(1), 129-154. https://doi.org/10.32465/KSOCIO.2021.31.1.005
-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 이학식, 임지훈(2009).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 법문사.
- 인수정, 최애란(2018).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과학 탐구교수 효능감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3), 379-392.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3.379
- 임성은, 김종욱, 김찬종(2021). 사회적 실천지향 SSI 수업을 시행하면서 직면하는 초등 교사의 어려움 탐색- 구조와 행위주체성 관점에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2), 115-131.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2.115
- 전경문(2017). 과학 실천의 측면에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인식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21(6), 644-653. https://doi.org/10.24231/RICI.2017.21.6.644
- 전영석, 전민지(2010). 과학 자유탐구를 지도할 때 발생하는 어려움. 한국초등교육, 20(1), 105-115.
- 전화영(2009). 과학 교사 학습 공동체의 현황과 참여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정연수(2018).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진우, 이근준, 김진국(2006). 중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서 초임 과학 교사들의 탐구 지도 수준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364-373.
- 조벽(2002). 조벽 교수의 명강의 노하우 & 노와이. 해냄.
- 조현준, 한인경, 김효남, 양일호(2008). 초등학교 과학 탐구 수업 실행의 저해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01-921.
-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2009).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3판. 교육과학사.
- 최상희, 이영희(2015). 미국 초등교사교육 과정 과학교육방법론 수업(Science Methods Course)의 과학적 탐구활동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PCK 이해의 향상. 초등과학교육, 34(4), 406-418.
- 최지미(2015). 초등교사의 과학 탐구 수업 실행 전문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창호, 유연우(2017).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의 비교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0), 103-111. https://doi.org/10.14400/JDC.2017.15.10.103
- 팽애진, 백성혜(2005).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교사의 신념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146-161.
- 한국과학창의재단(2019).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 모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적 소양. 한국과학창의재단.
- 한재영(2011). 과학 수업에서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 학습지도 능력에 대한 다양한 관점. 과학교육연구지, 35(2), 138-148.
- Akuma, F. V., & Callaghan, R. (2019). A systematic review characterizing and clarifying intrinsic teaching challenges linked to inquiry-based practical work.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6(5), 619-648. https://doi.org/10.1002/tea.21516
- Anderson R. D. (2002). Reforming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says about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1), 1-12. https://doi.org/10.1023/A:1015171124982
- Barendsen, E., & Henze, I. (2019). Relating teacher PCK and teacher practice us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9(5), 1141-1175. https://doi.org/10.1007/s11165-017-9637-z
- Bevins, S., Price, G., & Booth, J. (2019). The I files, the truth is out there: Science teachers' constructs of inqui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4), 533-545. https://doi.org/10.1080/09500693.2019.1568605
- Brown, J. C. (2017). A metasynthesis of the complementarity of culturally responsive and inquiry based science education in K 12 settings: Implications for advancing equitabl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4(9), 1143-1173. https://doi.org/10.1002/tea.21401
- Chi, S., Liu, X., Wang, Z., & Han, S. W. (2018). Moderation of the effects of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on low SES students' PISA 2015 science achievement by school teacher support and disciplinary climate in science classroom across gende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11), 1284-1304. https://doi.org/10.1080/09500693.2018.1476742
- Concannon, J. P., Brown, P. L., Lederman, J. S., & Lederman, N. G. (2020).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students'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2(6), 906-933. https://doi.org/10.1080/09500693.2020.1742399
- Crawford, B. A. (2007). Learning to teach science as inquiry in the rough and tumble of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4), 613-642. https://doi.org/10.1002/tea.20157
- Crawford, B. A. (2014). From inquiry to scientific practices in the science classroom. In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volume II (pp. 529-556). Routledge.
- Crawford, B. A. (2016). Supporting Teachers in Inquiry/Science Practices, Modeling, and Complex Reasoning in Science Classrooms. In Southern Africa Association of Math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Annual Conference, Pretoria, South Africa, January (pp. 12-15).
- Fenstermacher, G. D. (1994). The knower and the known: The nature of knowledge in research on teaching. In L. Darling-Hammond (Ed.)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20, 3-56. https://doi.org/10.3102/0091732X020001003
- Gess-Newsome, J. (2015). A model of teach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including PCK: Results of the thinking from the PCK Summit. In Re-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pp. 38-52). Routledge.
- Gungoren, S. C., & Ozturk, E. (2021). What d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views about the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International Journal of Progressive Education, 17(1), 421-438. https://doi.org/10.29329/ijpe.2021.329.27
- Gyllenpalm, J., Rundgren, C. J., Lederman, J., & Lederman, N. (2021).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A study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in grade 7 and 12 in Sweden.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19.
- Herranen, J., Kousa, P., Fooladi, E., & Aksela, M. (2019). Inquiry as a context-based practice -A case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nd implementation of inquiry in context-based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14), 1977-1998. https://doi.org/10.1080/09500693.2019.1655679
- Ireland, J. E., Watters, J. J., Brownlee, J., & Lupton, M. (2012).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inquiry teaching: Messages for teacher developmen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3(2), 159-175. https://doi.org/10.1007/s10972-011-9251-2
- Jones, A., Scanlon, E., Gaved, M., Blake, C., Collins, T., Clough, G., & Twiner, A. (2013). Challenges in personalisation: Supporting mobile science inquiry learning across contexts. Research and Practice in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8(1), 21-42.
- Kim, M., & Tan, A. L. (2011). Rethinking difficulties of teaching inquiry based practical work: Stories from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4), 465-486. https://doi.org/10.1080/09500691003639913
- Knight, S. L., & Waxman, H. C. (1991). Students' cognition and classroom instruction. Effective Teaching: Current Research, 239-255.
- Kyle Jr, W. C. (1980). The distinction between inquiry and scientific inquiry and why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cognizant of the distin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7(2), 123-130. https://doi.org/10.1002/tea.3660170206
- Lederman, N. G., Lederman, J. S., & Antink, A. (2013).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as contexts for the learning of science and achievement of scientific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1(3), 138-147.
- Lotter, C. R., & Miller, C. (2017). Improving inquiry teaching through reflection on practic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7(4), 913-942. https://doi.org/10.1007/s11165-016-9533-y
- Martin, J. (2020). Researching teacher agency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using positioning theory and grammar of agenc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31(1), 94-113. https://doi.org/10.1080/1046560x.2019.1666628
- Martin, R. E., Sexton, C. M., Franklin, T. J., Gerlovich, J. A., & McElroy, D. (2009). Teaching science for all children: An inquiry approach. Pearson.
- Menter, I., & Hulme, M. (2013). Developing the teacher. In: M. Priestley & G. Biesta (eds.) Reinventing the curriculum: New trends in curriculum policy and practice. Bloomsbury Publishing. pp. 165-186.
- Mesci, G., Schwarts, R. S., & Pleasants, B. A. (2020). Enabling factor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nature of science and nature of scientific inquiry. Science & Education, 29, 263-297. https://doi.org/10.1007/s11191-019-00090-w
- Moote, J. (2019). Investigating the longer-term impact of the CREST inquiry-based learning programme on student self-regulated processes and related motivations: Views of students and teacher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9(1), 265-294. https://doi.org/10.1007/s11165-017-9621-7
-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z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https://doi.org/10.1007/s11165-007-9049-6
- Roehrig, G. H., & Luft, J. A. (2004). Constraints experienced by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implementing scientific inquiry less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1), 3-24. https://doi.org/10.1080/0950069022000070261
- Ryan, C. (2009). Current challenges in basic science education. Pari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 Ryder, J., Lidar, M., Lundqvist, E., & Ostman, L. (2018). Expressions of agency within complex policy structures: Science teachers' experiences of education policy reforms in Swede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0(5), 538-563. https://doi.org/10.1080/09500693.2018.1435921
- Taylor, J. C., Tseng, C.-m., Murillo, A., Therrien, W., & Hand, B. (2018). Using argument-based science inquiry to improve science achieve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21(1), 1-14. https://doi.org/10.14448/jsesd.10.0001
- Wellington, J., & Ireson, G. (2008). Science learning, science teaching. Routledge.
- Zion, M., Cohen, S., & Amir, R. (2007). The spectrum of dynamic inquiry teaching practic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4), 423-447. https://doi.org/10.1007/s11165-006-90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