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중·고등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21.12.22
  • Accepted : 2021.12.23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an adaptively solve various problem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level. To this end, the growth mindset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predict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set as the mediating variables. As for the research data, responses of 94 middle school students(40 males, 54 females) and 134 high school students(63 males, 71 females) who participated through mobile and off-line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AMO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level were significant only in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problem-solving ability respectively. Third,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presented.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이 다양한 문제를 적응적으로 해결해나갈 수 있는 심리 기제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 기제들이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예측하는 독립변인으로 성장 마인드셋을 설정하였고, 매개변인으로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을 설정하였다. 연구자료는 모바일과 오프라인을 통해 참여한 중학생 94명(남자 40명, 여자 54명), 고등학생 134명(남자 63명, 여자 71명), 총 228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SPSS 24.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집단 차이는 정서지능 영역에서만 유의하였고, 성장 마인드셋, 자아탄력성 및 문제해결능력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서지능 전체로 보면 여고생이 남중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은 각각 정적으로 매개하였다. 셋째, 성장 마인드셋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의 이중매개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고등학생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이론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규리 (2014).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공감과 자아탄력성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민수 (2001). 어머니와 자녀의 정서지능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강은아 (2017). 아동.청소년의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강지예 (2013). 놀이중심의 정서지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청소년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곽윤정 (2010). 청소년을 위한 정서지능 프로그램 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17(4), 263-281.
  6. 관계부처 합동(2018). 제6차 청소년정책기본계획(2018~2022).
  7. 구현영, 박현숙, 장은희 (2006). 고등학교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영향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6(1), 151-158.
  8. 권지은 (2003). 부모 및 또래 애착, 문제해결방식과 자아탄력성(Ego-Resilence)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민지 (2021). 고등학생의 정서지능과 마인드셋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8(9), 1-21.
  10. 김선희 (2013). 고등학생의 감사성향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영주, 홍혜영 (2014).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2(4), 31-46.
  12. 김정민, 이유리 (2010). 청소년의 부모-자녀의 사소통, 정서지능 및 부모화경험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3), 13-26.
  13. 김정은 (2012). 아동의 분노 표출을 위한 정서중심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지은, 정혜린, 박혜준, 이순형 (2017). 지역아동센터 지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문제해결능력과 또래관계의 매개 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38(5), 19-32.
  15. 김진아(2015).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 상담학연구, 16(3), 359-377. https://doi.org/10.15703/KJC.16.3.201506.359
  16. 김현주, 김덕진 (2019). 댄스스포츠선수의 마인드셋과 주관적 웰빙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코칭능력개발지, 21(1), 43-53.
  17. 김형수 (2019).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마인드셋 및 회복탄력성과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12), 1059-1070.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12.092
  18. 김희숙, 김영금, 김종운 (2016).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자아탄력성이 대인간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5), 221-242.
  19. 길효정 (2019). 팀 기반 학습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그릿과 정서지능, 문제해결력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5), 227-235. https://doi.org/10.35873/AJMAHS.2019.9.5.022
  20. 문용린 (1999). 인성 교육을 위한 정서 지능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사대논총, 59, 31-98.
  21. 박기령, 최중진 (2016). 청소년 레질리언스 (resilience)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1998-2015). 청소년학연구, 23(10), 451-478.
  22. 박성민, 임정하 (2021). 아동과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동향: 2010-2020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아동학회, 42(1), 89-103.
  23. 성영순 (2012). 고등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자아탄력성 및 성별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소연희 (2016). 사범대학생의 창의성에 대한 변화신념, 학습참여,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구조적 관계. 사고개발, 12(4), 1-22.
  25. 송윤희 (2007).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메타인지, 상호작용, 몰입과 문제해결력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신지예, 홍성두 (2016). 정서지능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 27(3), 173-190. https://doi.org/10.20972/KJEE.27.3.201609.173
  27. 신현주 (2020). 무용전공대학생의 마인드셋이 자아탄력성 및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양영미 (2013).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 및 청소년 우울의 관계.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양혜연, 양성은 (2013). 부모의 인성지향적 지도와 아동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4(2), 83-99.
  30. 원두리 (2011). 사회적지지, 희망 및 문제해결 대처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2), 297-311.
  31. 원영식, 김은지, 허정훈 (2019). 야구선수 마인드셋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4), 1-18.
  32. 여성가족부 (2020). 2020 청소년백서.
  33. 유아라, 김정민, 이지명, 이지선 (2020).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정 정서강도의 조절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6(2), 147-168.
  34. 윤소정 (2012). 문제해결능력과 귀인성향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이기쁨, 민하영 (2020). 청소년의 정서지능과 대인 간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연구, 38(1), 205-216.
  36. 이미경 (2017). 어린이집교사의 정서지능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이보미 (2010). 청소년의 또래관계 질 및 자아탄력성과 정서지능.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이선형 (2020). 학령기 아동의 그릿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9. 이수경 (2016). 성인 초기의 성장 마인드셋, 고정 마인드셋과 그릿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이숙현 (2018). 청소년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1. 이승철 (2019).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성장 마인드셋, 정서지능, 그릿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이영미 (2010).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학생생활상담, 28, 45-61.
  43. 이재문, 조영구, 이은모 (2014). 청소년의 정서지능이 공격성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15(2), 77-89.
  44. 이정숙, 김수진, 권영란, 김보영 (2010). 적응유연증진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 및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9(4), 400-410.
  45. 이정아, 탁진국 (2018). 성장마인드셋 코칭프로그램이 성장마인드셋, 학습목표지향성,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2(1), 1-27. https://doi.org/10.51457/KJCP.2018.06.2.1.1
  46. 이주연, 장성예 (2019).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의 위험요인이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3(1), 7-36.
  47. 이지숙, 윤용희 (2019). 중학생 청소년의 분노, 문제해결, 문제행동의 관계연구: 문제해결 유형별 조절효과 분석. 학교사회복지, 45, 85-106.
  48. 이학식, 임지훈 (2011).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 파주: 법문사.
  49. 임수진 (2016).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갈등해결전략의 관계: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장미영, 강균영 (2017).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의 융합적 관계.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4), 79-87. https://doi.org/10.15207/JKCS.2017.8.4.079
  51. 전미애 (2017). 감정코칭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정서지능과 행복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조미소 (2018). 정서지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조민진 (2014). 고등학교 디자인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 모형적용이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조진숙, 탁진국 (2018). 학습부진 고등학생을 위한 성장 마인드셋 기반 학습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청소년학연구, 25(11), 325-347.
  55. 차은주 (2010).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 최숙희 (2020). 간호대학생의 진로동기, 유머감각, 문제해결능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지, 21(4), 109-116.
  57. 한국교육개발원 (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5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아동종합실태조사.
  59. 홍세희, 조기현, 이현정, 김효진, 윤미리, 강윤경, 손수경 (2019). 청소년 회복탄력성 검사개발 및 타당화. 미래청소년학회지, 16(1), 57-86.
  60. 홍은미 (2015).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Bandura, M., & Dweck, C. S. (1985). The relationship of conceptions of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s to achievement-related cognition, affect and behavior. Unpublished manuscript, Harvard University.
  62. Bell, A. C., & D'Zurilla, T. J. (2009). The influence of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adjustment.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3, 439-448. https://doi.org/10.1007/s10608-009-9256-8
  63. Belzer, K. D., D'Zurilla, T. J., & Maydeu-Olivares, A. (2002). Social problem solving and trait anxiety as predictors of worry in a college student popul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 573-585. https://doi.org/10.1016/S0191-8869(01)00173-8
  64. Block, J. (2002). Personality as an affect-processing system: Toward an integrative theory. Psychology Press, 118-143.
  65.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Hillsdale, NJ: Erlbaum.
  66.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e: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67. Dweck, C. S. (2006). Mindset: The new psychology of success. New York: Random House. 20-24.
  68. D'Zurilla, T. J., & Nezu, A. M. (1990).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SPSI). Psychological Assessment, 2, 156-163. https://doi.org/10.1037/1040-3590.2.2.156
  69.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70.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71. Heppner, P. P., & Petersen, H. C. (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1), 66-75. https://doi.org/10.1037/0022-0167.29.1.66
  72. Lochman, J. B., Wayland, K. K. & White, K. J. (1993). Social goals: relationship to adolescent adjustment and to soci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1(2), 135-151. https://doi.org/10.1007/BF00911312
  73.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3-31). New York: Basic Books.
  74. OECD (2019). PISA 2018 results(Volume III): What school life means for students' lives, PISA, OECD Publishing, Paris, 199-209.
  75.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76. Schleider, J., & Weisz, J. (2018). A single-session growth mindset intervention for adolescent anxiety and depression: 9-month outcomes of a randomized trial. Journal of Child Psychology & Psychiatry, 59(2), 160-170. https://doi.org/10.1111/jcpp.12811
  77. Thorndike, R. L. (1920). Intelligence and its uses. Harper's Magazine, 140, 227-235.
  78. Yeager, D. S., & Dweck, C. S. (2012). Mindsets that promote resilience: When students believe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can be developed. Educational psychologist, 47(4), 302-314. https://doi.org/10.1080/00461520.2012.722805
  79. Zeng, G., Hou, H., & Peng, K. (2016). Effect of growth mindset on school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nese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resilience. Frontiers in psychology, 7 (187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