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Building Composition of Buddhist Temples Belonging to Jinpyo's Beobsang School

진표계 법상종 사원의 가람 구성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1.06.14
  • Accepted : 2021.08.01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In the study of Buddhist architecture before the Goryeo Dynasty, the analysis of sectarian viewpoints is one of the effective means. In the study of Buddhist architecture before the Goryeo Dynasty, analyz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a Buddhism sect is one of the effective means. Until now,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the Beopsang school before the Goryeo period in the field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Buddhist architecture, research on its temples was the least compared to those of other denominations. In this study, as one of the studies on Beopsang school temples, Geumsansa(金山寺), Beopjusa(法住寺), and Donghwasa(桐華寺), which were built as the Jinpyo's Beopsang school temple in the late 8th century and maintained until the Goryeo Dynasty, were targeted. And I tried a rudimentary analysis on the building composition of those temples from the viewpoint of the beliefs and teachings of Beopsang schoo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attempted study in the field of architectural history on the Buddhist temple of the Beopsang school, which led non-Zen sects of Buddhism along with the Hwaeom school until the Goryeo Dynasty.

Keywords

References

  1. 고당건축사사무소, 「법주사 원통보전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0
  2. 국립대구박물관, 「팔공산 동화사」, 그라픽네트, 2009
  3.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건축」, 제18호, 1996
  4. 국립문화재연구소, 「법주사 팔상전 수리공사보고서」, 1998
  5. 「금산사 미륵전 수리보고서」, 김제시, 2000
  6. 김경미, 「조선 전반기 三身.三世佛 조성에 대한 연구」, 한국학연구, 49, 2014.6, 5-34쪽
  7. 김남윤, 「신라 중대 법상종의 성립과 신앙」, 한국사론, 11, 1984.6, 96-148쪽
  8. 김남윤, 이응묵, 소재구, 「금산사」, 대원사, 2017(2000)
  9. 김동욱, 「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2007
  10. 김봉렬, 「조선시대 사찰건축의 전각구성과 배치형식 연구: 교리적 해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11. 김봉렬, 「김봉렬의 한국건축이야기 1: 시대를 담는 그릇」, 돌베게, 2012(2006)
  12. 김창겸, 「신라 승려 心地 연구: 「삼국유사」「心地繼祖」와 관련하여」,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34, 2013.4, 197-232쪽
  13. 晩悟生, 「桐華寺의 一週日(續)」, 佛敎, 제75호, 1930.9, 32-37쪽
  14. 무경자수 저, 김재희 옮김, 「무경집」, 동국대학교출판부, 2013
  15. 문명대, 「太賢과 茸長寺의 佛敎彫刻」, 백산학보, 17, 1974.12, 113-160쪽
  16. 문명대, 「법주사 마애미륵.지장보살부조상의 연구」, 미술자료, 37, 1985, 42-59쪽
  17. 박광연, 「관단 사원과 계단: 고려전기 금산사의 교단에서의 위상」, 한국불교학, 88, 2018.11, 7-30쪽
  18. 「법주사 팔상전 수리공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1998
  19. 「寺誌」, 충청북도, 1982
  20. 삼성건축사사무소, 「법주사 대웅전 실측.수리보고서」, 문화재청, 2005
  21. 새한건축사사무소, 「금산사 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87
  22. 신은영, 「법주사 용화보전 석조물 배치의 내러티브와 '石蓮池'」, 미술사학, 40, 2020.8, 33-57쪽
  23. 아리건축사사무소, 「김제 금산사 석련대 정밀실측조사보고서」, 김제시, 2019
  24.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동화사 실측조사보고서」, 대구직할시, 1993
  25. 예그린건축사사무소, 「보은 법주사 팔상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0
  26. 오세덕, 「팔공산 동화사의 창건시기와 가람의 변화과정 고찰」, 불교학보, 79, 2017.6, 159-184쪽
  27. 오세덕, 「금산사의 시대별 가람배치 변화와 조선후기 후원자」, 불교학보, 89, 2019.12, 101-123쪽
  28. 윤용진, 「대구 용수동 와요지 조사보고서」, 대구직할시, 1986
  29. 이강근, 「조선중기 불전건축 내부공간의 장엄」, 불교 미술연구, 1, 1994, 63-117쪽
  30. 이강근, 「17세기 법주사의 재건과 양대 문중의 활동에 관한 연구」, 강좌미술사, 26, 2006, 449-474쪽
  31. 이분희, 「금산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고찰: 탑 안에 봉안된 불상을 중심으로」, 동악미술사학, 15, 2013, 117-143쪽
  32. 이홍직, 「동화사 금당암 서탑 사리장치」, 아세아연구, 1-2, 1958.12, .85-106쪽
  33. 장현석, 최효승, 「속리산 법주사 가람배치의 변천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4권3호, 2005.9, 77-87쪽
  34. 최병헌 외, 「한국 불교사 연구 입문-상」, 지식산업사, 2013
  35. 최성은, 「고려 중기 법상종 사원의 불교조각」, 미술자료, 제194호, 2018, 14-59쪽
  36. 최현각, 김봉렬, 소재구, 「법주사」, 대원사, 2004(1994)
  37. 태창건축사사무소, 「김제 금산사 대장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1
  38. 한국학문헌연구소, 「금산사지」, 아세아문화사, 1982
  39. 한지만, 「팔공산 동화사의 가람 구성 변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7-5, 2021.5, 103-111쪽 https://doi.org/10.5659/JAIK.2021.37.5.103
  40. 홍병화, 「금산사 대장전의 변화와 상징」, 문화재, 51-1, 2018.3, 66-79쪽 https://doi.org/10.22755/KJCHS.2018.51.1.66
  41. 황수영, 「금산사오층석탑중창기」, 미술사학연구, 1976. 6, 126-12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