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ase of Polymath Activities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집단지성을 활용한 폴리매스(Polymath) 활동 사례

  • Received : 2021.07.05
  • Accepted : 2021.08.11
  • Published : 2021.08.31

Abstract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should emphasize the experience of sharing, coexisting, and solving problems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the community.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problem-solving capability,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mathematic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to solve unstructured problems through collabor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at solving complex problems through collaboration is used in school classes or gifted education by introducing polymath that solves problems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Accordingly, a target problem was set and an example of polymath in which community members exert each other's intelligence to solve the problem. In addition,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olymath, positive aspects and improvements of polymath were suggested. Through thi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Keywords

References

  1. 고상숙, 노지연(2007). 중학교 기하단원의 개방형문제에서 학생의 문제해결과 정의 사고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3), 303-322.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8). 문재인 정부의 과학영재 성장지원 계획 -제3차 ['18~'22]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안)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8). 문재인 정부의 과학영재 성장지원 계획 -제3차 ['18~'22]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안)
  4. 교육부(2018).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8~2022)
  5. 권찬호(2018). 집단지성의 이해. 서울: 박영사
  6. 김군수, 성영조, 한영숙(2020). 포스트 코로나19, 뉴노멀 시대의 산업 전략. 이슈&진단.
  7. 김다원(2014). 개인별 책무성 강화에 따른 협력학습의 긍정적 상호 의존성 효과 분석. 교양교육연구, 8(5), 485-515.
  8. 김다원(2013). 집단지성 구현을 위한 토의 수업에서 "월드카페형 대화법"의 적용 가능성 모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4), 787-804.
  9. 김래영, 김구연, 권나영(2012). 연구 설계 및 연구 방법의 최근 동향: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학교수학, 14(3), 395-408.
  10. 김진형(2016).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STSS지속가능과학회 학술대회, (), 21-29.
  11. 김진형(2016).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STSS 지속가능과학회 학술대회(2016), 21-29.
  12. 김환남, 이영주(2012).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와 학생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241-1250.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241
  13. 나귀수, 박미미, 김동원, 김연, 이수진(2018). 미래 시대의 수학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8(4), 437-478.
  14. 류태호(2017).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15. 박경빈, 이미순, 전미란(2010). 미래사회 영재의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예비연구. 영재교육연구, 20(3), 681-701.
  16. 박진해(2017). 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수학교육의 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7-29.
  17. 신동조, 권대용, 심재권(2019). 정보영재와 수학영재의 특성 분석 - 과흥분성과 지능을 중심으로 -. 영재교육연구, 29(2), 165-189.
  18. 양미경(2010). 집단지성의 특성 및 기제와 교육적 시사점의 탐색. 열린교육 연구. 18(4), 1-30.
  19. 양미경(2011). 집단지성의 구현을 위한 협력학습의 원리 탐색. 교육방법연구, 23(2), 457-483. https://doi.org/10.17927/TKJEMS.2011.23.2.457
  20. 양지선, 이경숙(2018).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기초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하는 지식과 역량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0(3), 129-149. https://doi.org/10.19031/jkheea.2018.09.30.3.129
  21. 영재교육진흥법(2000). 제정 2000, 1, 28, 법률 제6215호.
  22. 이선영(2017).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한국교육학연구, 23(1), 231-260
  23. 이슬기, 이광호. (2019). 수학 패턴 유형에 따른 5학년 일반학생과 수학영재 학생의주의집중과 주의전환, 22(1), 1-12.
  24. 이영희, 윤지현, 홍섭근, 임재일, 백병부(2018).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문화연구, 24(5), 127-153. https://doi.org/10.24159/JOEC.2018.24.5.127
  25. 이용률(2015). 과제와 문제. 경인초등수학교육연구회 합동발표대회 자료집 16권, 29-30.
  26. 이주호(2017).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선진화 정책시리즈, 158-189.
  27. 이지원, 김중복(2013). 과학영재들은 협업적 문제해결과정에서 무엇을 공유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3(6), 1099-1115. https://doi.org/10.9722/JGTE.2013.23.6.1099
  28. 이현주, 채유정(2018). 중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유형에 따른 학습흥미 및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1), 57-68.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1.57
  29. 인성교육진흥법. http://www.law.go.kr/법령/인성교육진흥법/(13004,20150120)
  30. 임영빈, 홍진곤(2019). 수학 기반의 융합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초등영재학생의 수학적 사고와 태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239-257.
  31. 임영빈(2018). 삼각부등식 개념형성을 위한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수학적 사고와 교사의 역할. 수학교육학연구, 28(2), 203-220.
  32. 전종희(2013). 공과대학 대학원에서의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양상 탐색. 교육심리연구, 27(1), 1-34.
  33. 조난심(2017).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교육비평, (39), 330-347.
  34. 조상식(2016).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교육의 과제. 미디어와 교육, 6(2), 152-185.
  35. 조현국(2017)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사회와 교육환경의 변화, 그리고 초, 중등 과학교육의 과제. 초등과학연구. 36(3). 286-301
  36. 진미르, 고호경(2019). 최근 수학교육 연구 논문에서 나타나는 키워드 분석. East Asian Math. J., 35(4), 512-523.
  37. 채유정, 이현주(2018). 중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유형에 따른 학습흥미 및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1), 57-68.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1.57
  38. 채유정, 이현주(2018). 중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유형에 따른 학습흥미 및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1), 57-68.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1.57
  39. 최은미(2017). 4차 산업혁명에서의 STEAM과 기초수학 교육의 방향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2-26.
  40. 최지웅(2017). 4차 산업혁명이 다가온 미래 사회의 수학교육 동향 고찰. 교과교육연구, 10(1), 59-72.
  41. 최항섭(2009). 레비의 집단지성; 대중지성을 넘어 전문가지성의 가능성 모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6(3), 287-322.
  42. 최항섭(2009). 레비의 집단지성; 대중지성을 넘어 전문가지성의 가능성 모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6(3), 287-322.
  43. 최호성(2017). 사회변화에 부응하는 영재성, 영재 판별 및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재개념화와 법 개정 방향의 시사점. 영재교육연구, 27(3), 255-276. https://doi.org/10.9722/JGTE.2017.27.3.255
  44. 최호성(2017). 사회변화에 부응하는 영재성, 영재 판별 및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재개념화와 법 개정 방향의 시사점. 영재교육연구, 27(3), 255-276. https://doi.org/10.9722/JGTE.2017.27.3.255
  45. 최호성(2017). 사회변화에 부응하는 영재성, 영재 판별 및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재개념화와 법 개정 방향의 시사점. 영재교육연구, 27(3), 255-276. https://doi.org/10.9722/JGTE.2017.27.3.255
  46. 한국과학창의재단(2019).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단계별 수행기대] 개발 연구
  47. 한국과학창의재단(2019).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단계별 수행기대] 개발 연구.
  48. 한국교육개발원(2017). 제1차 KEDI 미래교육 정책포럼_4차 산업혁명과 미래교육의 변화. CRM 2017-92.
  49. 한국교육개발원(2017). 국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초.중학교 수학. 연구자료 CRM 2017-16.
  50. 한국정보화진흥원(2017).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51. 한국정보화진흥원(2017).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52. 홍진곤, 강은주(2009). 사고구술법을 이용한 수학 영재의 사고 특성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9(4), 545-562.
  53. Csikszentmihalyi, M. (1990). Optimal experience. New York, NY: Harper and Row.
  54. Gravemeijer, K., Stephan, M., Julie, C., Lin, F. L., & Ohtani, M. (2017). What Mathematics Education May Prepare Students for the Society of the Fu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5, 105-123. https://doi.org/10.1007/s10763-017-9814-6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73106&searchKeywordTo=3
  55. Leadbeater, C.(2008). We-think: mass innovation, not mass production. 이순희 역(2009).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서울: 21세기북스.
  56. Locke, E. A., Shaw, K. N., Saari, L. M., & Latham, G. P. (1981).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 19
  57.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OECD. Retrieved from http://www.oecd.org/education/2030.
  58. UNESCO. (2015).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59. World Economic Forum.(2015). New vision for education: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Colony/Geneva: World Economic Forum.
  60. Yitang Zhang(2014). Bounded gaps between primes. Annals of Mathematics. 179 (3): 1121-1174. https://doi.org/10.4007/annals.2014.179.3.7
  61. Polymath, D. H. J. (2014), The "bounded gaps between primes" Polymath project: A retrospective analysis, Newsletter of the European Mathematical Society, 94: 1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