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언어 수업 방식 고찰 - 문법 번역식 교수법 개선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1.08.08
  • Accepted : 2021.09.06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South Korean users of second language have been often heard such assessments as "you don't' have confidence" and "your writing is good, but your speech is poor." Some scholars have pointed out the teaching method as the cause. In other countries, the mainstreamargument is that students can have practical language experience in a more liberal atmosphere through small group-oriented classes rather than through teacher-centered whole-group activities in foreign language curriculums. Many teachers are using various learning tools or a combination of different teaching methods to minimize the shortcomings of the grammar translation method. However, unlike other studies,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improving the grammar translation teaching method itself.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과제번호)(NRF-2019S1A5B5A07104669)

References

  1. 김세중, <외국어 습득 이론과 모형-Krashen의 이론을 중심으로>, ≪論文集≫, 32, 1998.
  2. 김창호, <협동학습과 외국어습득>, ≪外大論叢≫, 5, 1999.
  3. 권영석, <협초등영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외국어 습득 이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4. 나순경, <협제2언어로서 중국어 습득과정중의 전이현상 연구>, ≪언어학연구≫, 14, 2009.
  5. 노지영, <중국어 문법교육에서의 코퍼스 활용방안에 대한 소고>, ≪동덕여자대학교 한중미래연구소 학술대회≫, 5, 2012.
  6. 민향기, <제2 언어습득과 외국어 학습 - 상황과 조건에 알맞은 교수법 개발을 위하여>, ≪독어학≫, 5, 2002.
  7. 박덕준, <汉语写作课的语法教学策略>, ≪중국어문학지≫, 43, 2013.
  8. 박선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진행상 습득 연구>, ≪이중언어학≫, 41, 2009
  9. 유덕근, <기억의 특성에서 바라본 외국어학습>,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31, 2012.
  10. 임은하, <모국어 습득 및 외국어 학습의 이론적 개관>,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1. 이재관, <외국어 습득을 위한 학습자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12. 이은화, <어휘의 의미투명도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중국어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국언어연구≫, 61, 2015.
  13. 이은하.김영규, <인지적 개인차-수정적 피드백-목표 언어구조의 규칙 복잡성 간 상호작용에 대한 제2언어 습득 연구의 비판적 고찰>, ≪외국어교육연구≫, 31, 2017.
  14. 이재희, <한국 영어교육과정 변천사에 반영된 제2외국어습득이론(SLA)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5. 최은재,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한 국내 중국어교육에 대한 사회 인식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6, 2019.
  16. 최인철, ≪English Grammar Encyclopedia≫, 사람in, 2010.
  17. 최현희, <언어 습득 이론과 조기 외국어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18. 유재원.김윤정,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의 가능 및 능력 표시 구문 습득 연구>, ≪중국학연구≫, 45, 2008.
  19. 윤유정, <한국학생의 중국어 문장성분 습득 연구>, ≪한국중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4, 2015.
  20. 함순애 <외국어 습득과 사용의 심리언어학적 기저>, ≪한국영어교육학회≫, 12, 1995.
  21. 황용수, , ≪인문과학연구≫, 13, 145-167, 1995.
  22. 吕叔湘, ≪现代汉语八百词≫, 北京: 商务印书馆, 2006.
  23. Edmondson, W. J & House, J, Einfuhrung in die Sprachlehrforschung. Tubingen: UTB, 2006.
  24. Kagan, S, Cooperative learning and sociocultural factors in schooling. In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Ed), Beyond languag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n schooling language minority students. Los Angeles: California State University. Evaluation, Dissemination, and Assessment Center, 1986.
  25. Krashen, Stephen. D, The Input Hypothesis, London: Longman, 1999.
  26. Schumann, J. H, The Acculturation Model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 R, C, Gingas(ed.), Second-Language Acquisition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 Va,: Center for Applied Linguistics
  27. Slavin, R. E, Cooperative learning and student achievement In R. E. Slavin(Ed), School and classroom organization, 129-156, 1998.
  28. Thomas, W. P & Collier, V. P, A national study of school effectiveness for language minority students long-term academic achievement. Santa Cruz: CA,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