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심리적 적응과 연쇄적 변화의 구조 모형

A Structural Framework on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equential Chang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고동우 (대구대학교 호텔관광학과) ;
  • 서현숙 (대구대학교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 Ko, Dong-Woo (Department of Hotel & Tourism Management, Daegu University) ;
  • Seo, Hyun-Sook (Department of Hotel & Tourism Management, Daegu University)
  • 투고 : 2021.07.26
  • 심사 : 2021.10.12
  • 발행 : 2021.11.30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에 처한 사람들이 심리적 수준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결과적으로 어떤 심리적 변화를 겪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구조적 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팬데믹 경험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잠정적인 분석의 틀을 설정한 후, 이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방향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 성인 6명으로부터 인터뷰 자료를 구하였고, 근거이론의 절차를 부분적으로 차용한 내용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해석하고 정리하였다. 최종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심리적 적응과 변화 과정의 패러다임 구조 모형을 확장, 도출하였다. 이 패러다임 구조 틀은 '원인적 조건 ⇨ 중심 현상 ⇨ 연쇄적 결과'로 이어지는 심리학적 인과 과정을 중심으로 하고, 개인의 심리적 특성 범주를 '중개 조건'으로 추가한 패러다임 형태로 묘사되었다. 팬데믹 위기와 사회적 거리두기 및 결정적 사건 등이 '원인적 조건' 범주에 해당되고, '중심 현상' 범주는 긍정/부정/복합적 심리 경험을 포함하고, '연쇄적 결과' 범주에는 가치관/행동양식 변화 등이 분류되었다. 중개조건 중 '맥락조건'으로서 직장과 가족관계 특성이 확인되었고, '조절적 중개 조건'으로서 공동체책임의식, 여가능력 및 긍정심리자본 등 다양한 심리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고, 연구 결과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develop a structural framework that explains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equential changes being perceived by Korean people under the COVID-19 Pandemic past year. Setting a tentative analysis frame induced from antecedent literatures about psychological phenomen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6 Korean adults by semi 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For the data, content analysis applied from the grounded theory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initial framework was extended and revised to describe the psychological phenomena under the pandemic. This paradigm structure includes the process of 'causal factors ⇒ psychological main phenomena ⇒ sequential results' being intervened by personal contextual situation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moderators. The category of causal factors were the COVID-19 pandemic, relevant critical incidents, and social distancing policy. The main phenomena reflected either positive, negative, or complicated experiences. The sequential psychological results included transformation of cognitive system or behavior patterns. Various variables such as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psychological capability for leisur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found out as moderating factors. In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oretical/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direction to study in the future were suggested.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8학년도 대구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연구임(과제번호 20180426)

참고문헌

  1. 고동우 (2020). 코로나19의 제약을 견디는 사람들: 공동체 의식, 사회적 책임의식 및 자기오락화 역량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21(3), 399-424. https://doi.org/10.21074/KJLCAP.2020.21.3.399
  2. 김옥현 (2020). COVID-19 시대, 외식 소비자의 건강신념이 예방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강신념모델 적용. 관광연구저널, 34(12), 169-185.
  3. 김진희 (2021.03.31). '코로나 우울'에 심리방역...성동구 '텃밭가꾸기 키트' 지원. 뉴스 1. https://www.news1.kr/articles/?4258897.
  4. 박상미 (2020).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7(5), 83-91.
  5. 오인근 (2020.11.23). 괴산군 보건소 해내리 조기적응 프로그램 실시. 대전일보. 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448435
  6. 유기웅, 정종원, 김영석, 김한별 (2012).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스토리.
  7. 윤홍식 (2020). 코로나19, 성공한 방역과 실태한 고용.복지. 월간복지동향, 259, 30-35.
  8. 이권호 (2020). COVID-19 장기화가 지역 대기질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94-94.
  9. 이동훈, 김예진, 이덕희, 황희훈, 남슬기, 김지윤 (2020).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4), 2119-2156.
  10. 이동훈, 김지윤, 강현숙 (2016). 메르스 감염에 대해 일반대중이 경험한 두려움과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355-383.
  11. 이미지 (2020.07.09). 코로나만큼 무서운 '코로나 블루'.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709/101884332/1
  12. 이무열 (2021.03.31). 대구지역 학생들 코로나19 피해 잘 극복.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331_0001389721&cID=10810&pID=10800.
  13. 이정원 (2020). 코로나19 위기 극복 및 변화적응 행동 영향요인 연구: 대학생의 시민정체성, 집단효능감, 조직지원인식의 역할. 한국생산성학회 생산성논집, 34(4), 283-307.
  14. 이주일, 김태웅, 김필현, 이한송 (2020). 활동적인 노인의 일상적 활동 참여가 시민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공동체 응집성의 매개효과와 소공동체 이기주의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2), 47-68.
  15. 정수인, 안현의 (2019). 한국판 성인용 놀이성 척도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5(4), 353-375.
  16. 정신의학신문 (2020). 가족갈등, 코로나 '집콕'이 가져온 또 다른 일상의 문제. 2020.08.19자.
  17. 조영경, 박완주 (2020).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심리적 수용과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22(5), 1959-1976.
  18. 최영진 (2020). 환동해의 범유행 감염병, 대응조치와 시스템 위험 및 감염재난 협력체제 구축: 코로나19의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23(4), 1-22.
  19. 최영현, 이규혜 (2020). 팬데믹 상황에서의 패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변화 분석코로나19확산의 영향. 복식문화학회, 28(3), 285-298.
  20. 한겨레 (2020). 코로나가 드러낸 영국의 사회적 돌봄 문제. 2020.08.09자.
  21. 한지민, 최훈석 (2021).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집단주의 성향과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간의 관계: 사회적 거리두기에 관한 주관적 규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7(3), 217-236.
  22. Bhuiyan, A. I., Sakib, N., Pakpour, A. H., Griffiths, M. D., & Mamun, M. A. (2020). COVID-19-related suicides in Bangladesh due to lockdown and economic factors: case study evidence from media report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1-6.
  23.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Special Issue on Corona Virus (2020). http://lps3.www.sciencedirect.com.libproxy.daegu.ac.kr/journal/journal-of-affective-disorders/special-issue/10CH804TXSN
  24. Luthans, F., Avolio, B., Avey, J. B., & Norman, S. M. (2007).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60, 541-572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7.00083.x
  25. Luthans, F., & Youssef, C. M. (2007). Emerging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33(3), 321-349. https://doi.org/10.1177/0149206307300814
  26. Luthans, F, Luthans, K. W., & Luthans, B. C. (2004).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yond human and social capital. Business Horizons, 47(1), 45-50. https://doi.org/10.1016/j.bushor.2003.11.007
  27. Magnuson, C. D., & Barnett, L. A. (2013). The playful advantage: How playfulness enhances coping with stress. Leisure Sciences, 35(2), 129-144. https://doi.org/10.1080/01490400.2013.761905
  28. McMillan, D. W., &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
  29. Nabity-Grover, T., Cheung, C. M., & Thatcher, J. B. (2020). Inside out and outside in: How the COVID-19 pandemic affects self-disclosure on social media.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55, Article 102188.
  30. Na, J., Kim, N., Suk, H. W., Choi, E., Choi, J. A., Kim, J. H., ... & Choi, I. (2021). Individualism-collectivis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field study testing the pathogen stress hypothesi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in Korea.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83, Article 111127.
  31. Nowell, B., & Boyd, N. (2010). Viewing Community as Responsibility as Well as Resource: Deconstructing the theoretical roots of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8(7), 828-841. https://doi.org/10.1002/jcop.20398
  32. Sarason, S. B. (1974).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Prospects for a community psychology. San Francisco: Jossey-Bass.
  33. Seligman, M. E. P. (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R. Snyder, and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vol.1, New York, Wiley, 3-9.
  34. Seligman, M. E. P. (2004).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김인자(역) (2006). 긍정심리학. 물푸레]
  35. Seligman, M. E.,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61(8), 774-788. https://doi.org/10.1037/0003-066X.61.8.774
  36. Strauss, A. L., & Corbin, J. M.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신경림(역) (2001). 근거이론의 단계. 서울: 현문사].
  37. Thu, T. P. B., Ngoc, P. N. H., & Hai, N. M. (2020). Effect of the social distancing measures on the spread of COVID-19 in 10 highly infected countri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42, Article 14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