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빅데이터 기반 산학협력 네트워크 분석

A Network Analysis o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based on Big Data Analytics

  • 강대희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
  • 안현철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 투고 : 2021.11.26
  • 심사 : 2021.12.20
  • 발행 : 2021.12.31

초록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대학 중심의 산학협력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최근 기술협력 및 공동연구가 성과창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혁신성과 창출을 위하여 주요 참여주체(대학 및 공공 등)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협력활동 추진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성장동력 창출은 다소 미흡한 상황이기에 대학중심의 산학협력 활동강화를 위한 혁신 네트워크 구축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 유형(특허, 논문, 공동연구, 기술이전)에 따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QAP상관분석 및 QAP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산학협력 네트워크간 관련성 및 연관성을 통계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동연구 네트워크는 논문 네트워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다른 산학협력 네트워크와도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의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에 필요한 산학협력 전략수립 및 협력 파트너 발굴 등과 같은 혁신활동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In this pape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networks are analyzed using network analysi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echnological cooperation and joint research has a positive effect on R&D performance. In order to boost innovation performance, various types of cooperative activities and governmental policy supports for major R&D stakeholders(i.e. universities, laboratories, etc.) are provided.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the outcome is still insufficient, so it is time to prepare for a plan to build an innovative network to strengthen university-centere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ctiv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builds the networks according to the form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s(i.e. patent, paper, joint research, and technology transfer), and different types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networks are analyzed from a statistical viewpoint by using QAP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joint research network is closely related to paper network, and is related to other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networks. This study is expected to shed a light on supporting innovation activities such as establishi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trategies and discovering cooperative partners necessary for creating new growth engines for universities.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의 4단계 두뇌한국21 사업(4단계 BK21 사업)으로 지원된 연구입니다.

참고문헌

  1. 오진환, 구훈영, "공동연구성과에 협력요소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T R&D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3, no.1, pp.23-36, 2018. https://doi.org/10.7838/JSEBS.2018.23.1.023
  2. 박의범, 김지호, "전략적 제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기업정보화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국제경영리뷰, vol.7, no,2, pp.37-56, 2003.
  3. Ahuja, G., "Collaboration Networks, Structural Holes,and Innovation: A Longitudinal Stud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45, pp.425-455, 2000. https://doi.org/10.2307/2667105
  4. Hagedoorn, J., "Understanding the Rationale of Strategic Technology Partnering: Inter-organizational Modes of Cooperation and Sectoral Differenc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4, pp.371-385, 1993. https://doi.org/10.1002/smj.4250140505
  5. Lee, C., Lee, K., and Pennings, J. M., "Internal Capabilities, External Networks, and Performance: A Study on Technology-based Ventur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2, pp.615-640, 2001.
  6. Mitchell, W., and Singh, K., "Survival of Businesses us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o Commercialize Complex Good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7, no.3, pp.169-195, 1996.
  7. Powell, W. W., Koput, K., and Simth-Doerr, L.,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and the Locus of Innovation: Networks of Learning in Biotechnolog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41, no.1, pp.116-145, 1996. https://doi.org/10.2307/2393988
  8. 김영조, "기술협력 활동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식흡수능력(Absorptive Capacity)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vol.34, no.5, pp.1365-1390, 2005.
  9. Laursen, K., and Salter, A., "Open for Innovation: The Role of Openness in Explaining Innovation Performance among UK Manufacturing Firm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7, no.2, pp. 131-150, 2006. https://doi.org/10.1002/smj.507
  10. 안치수, 이영덕, "우리나라 개방형 혁신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3, pp.431-465, 2011.
  11. 박웅, 박호영, 염명배, "ICT 중소기업의 산.연 R&D협력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출연연구기관과의 협력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vol.12, no.6, pp.139-150, 2017. https://doi.org/10.16972/APJBVE.12.6.201712.139
  12. 이공래, 심상완, 기업의 기술협력과 네트워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9.
  13. 손병호, 이병헌, 장지호, "우리나라 산학협력의 현황과 과제; 국가혁신시스템 관점", 벤처창업연구, vol.1, no.1, pp.23-52, 2006.
  14. 성태경, 이원경, "연구개발시스템에서 공공-민간 파트너십", 과학기술정책, no.172, pp.100-112, 2008.
  15. 박종무, 한국 산학협동의 실태와 전망, 산학경영기술연구원, 2000.
  16. 홍은영, 최종인, "산학협력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산학협력관계강도와 장애의 극복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3, pp.410-422, 2018. https://doi.org/10.5762/KAIS.2018.19.3.410
  17. 박동, 혁신주도형 경제도약을 위한 신산학협력, 폴리테이아, 2004.
  18. 안재영, 이병욱, "산학협력 네트워크 형성 과정과 단계별 성공 요인의 구명", 한국직업교육학회, vol.35, no.3, pp.97-131, 2016.
  19. 박한우, "트리플헬릭스(Triple-Helix)와 산학융합". Busan HRD Review, vol.5, no.3, pp. 51-60, 2012.
  20. 허성욱, OECD 지식삼각형 (Knowledge Triangle) 정책연구 추진, OECD 대한민국 대표부, 2015.
  21. D'Este, P., Nesta, L., and Patel, P., Analysis of University - industnry research collaborations in the UK: Preliminary results of a survey of university researchers, SPRU Report for a project funded by EPSRC/ESRC, 2005.
  22. 김남희, 이종선, 국가연구개발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태조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23. 정동덕,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대학차원에서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24. 정동덕, 산학협력 업무매뉴얼, 교육부, 2015.
  25. 김홍영, 한국.미국의 산학연 협력 정책 및 성과지표 분석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26. 박준경, 산학협력 성과분석 및 성공사례 확산방안, 한국개발연구원, 2004.
  27. 김형주,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28. 성을현, 황경연, 정혜림, R&D투자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산학연 연계 활성화 방안-대덕특구를 중심으로-, 한국은행, 2017.
  29. Mark Freel, "External linkages and product innovation in small manufacturing firms", Entrepreneurship and Regional Development, vol.12, no.3, pp.245-266, 2000. https://doi.org/10.1080/089856200413482
  30. KIM L. & B. LEE, "Patterns of technological learning among the strategic groups in the Korean Electronic Parts Industry, Research Policy, vol.31, no.4, pp.543-567, 2002. https://doi.org/10.1016/S0048-7333(01)00127-5
  31. 홍장표. "기술협력이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vol. 27, pp.3-32, 2005.
  32. 양종서, 대학-기업간 연구개발 협력과정에 대한 단계별 핵심성과모형, 서울대학교, 2005.
  33. 공재형, 김경섭, 장후은, 허선영, 이종호, "산학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기업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3, no.1, pp.82-92, 2020. https://doi.org/10.23841/EGSK.2020.23.1.82
  34. 곽기영, 소셜네트워크분석, 도서출판청람, 2017.
  35. 김용학, 김영진, 사회연결망분석, 박영사, 2016.
  36. 김지수, 변창욱, 지역 산업혁신클러스터 성장과 지식 네트워크, 산업연구원, 2019.
  37. 장석류, 조민혁, 이숙종. "초기 연결망의 연결강도 증가 요인에 관한 연구: '낯선대학'참여자 연결망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vol.14, pp.197-225, 2019. https://doi.org/10.16973/JGS.2019.14.2.007
  38. 박준형, 곽기영, 한희준, 김윤정, "기업 간 특허인용 관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MR-QAP분석", 지능정보연구, vol.19, no.4, pp.21-37, 2013. https://doi.org/10.13088/JIIS.2013.19.4.021
  39. 백영기, "공동저술 논문을 이용한 연구협력에 대한 공간적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6, pp.641-657, 2015.
  40. 전은혜, 이찬구,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 한국내 BT 분야 공동연구 활성화 정책 방향", 사회과학연구 vol.29, no.1, pp.85-109, 2018.
  41. 김용학, 윤정로, 조혜선, 김영진. "과학기술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 한국사회학, vol.41, no.4, pp.68-103, 2007.
  42. Bozeman, B., H. Rimes, and J. Youtie, "The Evolving State-of-the-art in Technology Transfer Research:Revisiting the Contingent Effectiveness Model", Research Policy, vol.44, no.1, pp.34-49, 2015. https://doi.org/10.1016/j.respol.2014.06.008
  43. 전하성, 김상덕, 홍종의, "기술이전중개자 도출을 통한 기술이전 활성화 방법론 - Global MVP 연구단 사례".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7, pp.361-370, 2016.
  44. 권기석 외, 우리나라 산학협력 네트워크 분석기술이전 계약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2014.
  45. 손수정 외, 기술사업화 정책 20년의 진단과 새로운 전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0.
  46. https://www.academyinfo.go.kr/index.do
  47. https://scienceon.kisti.re.kr/main/mainForm.do
  48. https://www.wisdomain.com/About/Features
  49. https://plus.kipris.or.kr/portal/main.do
  50. https://www.ntis.go.kr/ThMain.do
  51. M. D. Santoro, "Success breeds success: The linkage between relationship intensity and tangible outcomes in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ventures", The Journal of High Technology Management Research, vol.11, no.2, pp.255-273, 2000.
  52. 김유영, 공저자 네트워크의 중심성이 연구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11.
  53. 이수상.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1, no.2 pp.297-315, 2010.
  54. 임병학, 전희주,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물류 공저자들의 협력 네트워크 구조 분석", 물류학회지, vol.21, no.2, pp.205-229, 2011.
  55. 이현익, 2020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56. 최태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유형별 성과분석을 통한 전략적 연구관리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7.
  57. 류영수,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측정 방법론 연구: 질 중심의 R&D 성과 지표 개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
  58. 최상선, 오인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술사업화 성공요인 분석 연구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해양정책연구, vol.32, no.1 pp.1-31, 2017. https://doi.org/10.35372/KMIOPR.2017.32.1.001
  59. 김이경 외, 2017년 산학연협력 스코어보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7.
  60. Raesfeld, A., Geurts, P., Jansen, M., Boshuizen, J., and Luttge, R., "Influence of partner diversity on collaborative public R&D project outcomes: A study of appl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nanotechnologies in the Netherland", Technovation, vol.32, no.3-4, pp.227-233, 2012.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11.12.001
  61. 김준혁, "공공 R&D의 기술이전이 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4, pp.1159-1191, 2017.
  62. 한지영, 기업의 관점에서 바라본 산학협력의 현황과 개선, 전국경제인연합회, 2010.
  63. 김종우, "산학협력 및 기술이전 촉진을 위한 텍스트마이닝과 사회 네트워크 분석 기반의 특허 분석 방법",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 22, no. 3, pp.1-28, 2017. https://doi.org/10.7838/JSEBS.2017.22.3.001
  64. 이길우,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65. Hagedoorn, J., and Wang, N., "Is there complementarity or substitutability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D strategies?", Research Policy, vol.41, pp.1072-1083, 2012. https://doi.org/10.1016/j.respol.2012.02.012
  66. 홍지승, 양현봉, 홍석일, 중소기업의 산학협력실태 및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2006.
  67. L. McGowen, Predictors of cooperative research center post-graduation survival and succes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10.
  68. 정형식, 김영심, "중소기업의 산학협력 관계구축과 기술지식 및 시장지식 습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vol.18, no.4, pp.57-79, 2010.
  69. 정형식, "산학협력 기술개발에 있어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vol.14, no.3, pp.255-278., 2001.
  70. 윤용중⋅박대식, "대학의 산학협력 역량이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vol.26, no.3, pp.157-177, 2015.
  71. 이창연, 김병근, "중소기업의 산⋅연 기술협력성과 영향 요인", 기술혁신학회지, vol.22, no.3, pp.416-445, 2019.
  72. 김미란, 서영인, 심우정, 김재효, 양오석, 산.학연계 강화를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 개선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