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본 논문은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의 4단계 두뇌한국21 사업(4단계 BK21 사업)으로 지원된 연구입니다.
참고문헌
- 오진환, 구훈영, "공동연구성과에 협력요소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T R&D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3, no.1, pp.23-36, 2018. https://doi.org/10.7838/JSEBS.2018.23.1.023
- 박의범, 김지호, "전략적 제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기업정보화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국제경영리뷰, vol.7, no,2, pp.37-56, 2003.
- Ahuja, G., "Collaboration Networks, Structural Holes,and Innovation: A Longitudinal Stud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45, pp.425-455, 2000. https://doi.org/10.2307/2667105
- Hagedoorn, J., "Understanding the Rationale of Strategic Technology Partnering: Inter-organizational Modes of Cooperation and Sectoral Differenc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4, pp.371-385, 1993. https://doi.org/10.1002/smj.4250140505
- Lee, C., Lee, K., and Pennings, J. M., "Internal Capabilities, External Networks, and Performance: A Study on Technology-based Ventur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2, pp.615-640, 2001.
- Mitchell, W., and Singh, K., "Survival of Businesses us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o Commercialize Complex Good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7, no.3, pp.169-195, 1996.
- Powell, W. W., Koput, K., and Simth-Doerr, L., "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and the Locus of Innovation: Networks of Learning in Biotechnolog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41, no.1, pp.116-145, 1996. https://doi.org/10.2307/2393988
- 김영조, "기술협력 활동이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식흡수능력(Absorptive Capacity)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vol.34, no.5, pp.1365-1390, 2005.
- Laursen, K., and Salter, A., "Open for Innovation: The Role of Openness in Explaining Innovation Performance among UK Manufacturing Firm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27, no.2, pp. 131-150, 2006. https://doi.org/10.1002/smj.507
- 안치수, 이영덕, "우리나라 개방형 혁신활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3, pp.431-465, 2011.
- 박웅, 박호영, 염명배, "ICT 중소기업의 산.연 R&D협력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출연연구기관과의 협력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vol.12, no.6, pp.139-150, 2017. https://doi.org/10.16972/APJBVE.12.6.201712.139
- 이공래, 심상완, 기업의 기술협력과 네트워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9.
- 손병호, 이병헌, 장지호, "우리나라 산학협력의 현황과 과제; 국가혁신시스템 관점", 벤처창업연구, vol.1, no.1, pp.23-52, 2006.
- 성태경, 이원경, "연구개발시스템에서 공공-민간 파트너십", 과학기술정책, no.172, pp.100-112, 2008.
- 박종무, 한국 산학협동의 실태와 전망, 산학경영기술연구원, 2000.
- 홍은영, 최종인, "산학협력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산학협력관계강도와 장애의 극복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3, pp.410-422, 2018. https://doi.org/10.5762/KAIS.2018.19.3.410
- 박동, 혁신주도형 경제도약을 위한 신산학협력, 폴리테이아, 2004.
- 안재영, 이병욱, "산학협력 네트워크 형성 과정과 단계별 성공 요인의 구명", 한국직업교육학회, vol.35, no.3, pp.97-131, 2016.
- 박한우, "트리플헬릭스(Triple-Helix)와 산학융합". Busan HRD Review, vol.5, no.3, pp. 51-60, 2012.
- 허성욱, OECD 지식삼각형 (Knowledge Triangle) 정책연구 추진, OECD 대한민국 대표부, 2015.
- D'Este, P., Nesta, L., and Patel, P., Analysis of University - industnry research collaborations in the UK: Preliminary results of a survey of university researchers, SPRU Report for a project funded by EPSRC/ESRC, 2005.
- 김남희, 이종선, 국가연구개발 연구성과 관리활용 실태조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
- 정동덕,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해 대학차원에서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 정동덕, 산학협력 업무매뉴얼, 교육부, 2015.
- 김홍영, 한국.미국의 산학연 협력 정책 및 성과지표 분석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 박준경, 산학협력 성과분석 및 성공사례 확산방안, 한국개발연구원, 2004.
- 김형주,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산학협력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 성을현, 황경연, 정혜림, R&D투자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산학연 연계 활성화 방안-대덕특구를 중심으로-, 한국은행, 2017.
- Mark Freel, "External linkages and product innovation in small manufacturing firms", Entrepreneurship and Regional Development, vol.12, no.3, pp.245-266, 2000. https://doi.org/10.1080/089856200413482
- KIM L. & B. LEE, "Patterns of technological learning among the strategic groups in the Korean Electronic Parts Industry, Research Policy, vol.31, no.4, pp.543-567, 2002. https://doi.org/10.1016/S0048-7333(01)00127-5
- 홍장표. "기술협력이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vol. 27, pp.3-32, 2005.
- 양종서, 대학-기업간 연구개발 협력과정에 대한 단계별 핵심성과모형, 서울대학교, 2005.
- 공재형, 김경섭, 장후은, 허선영, 이종호, "산학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기업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3, no.1, pp.82-92, 2020. https://doi.org/10.23841/EGSK.2020.23.1.82
- 곽기영, 소셜네트워크분석, 도서출판청람, 2017.
- 김용학, 김영진, 사회연결망분석, 박영사, 2016.
- 김지수, 변창욱, 지역 산업혁신클러스터 성장과 지식 네트워크, 산업연구원, 2019.
- 장석류, 조민혁, 이숙종. "초기 연결망의 연결강도 증가 요인에 관한 연구: '낯선대학'참여자 연결망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vol.14, pp.197-225, 2019. https://doi.org/10.16973/JGS.2019.14.2.007
- 박준형, 곽기영, 한희준, 김윤정, "기업 간 특허인용 관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MR-QAP분석", 지능정보연구, vol.19, no.4, pp.21-37, 2013. https://doi.org/10.13088/JIIS.2013.19.4.021
- 백영기, "공동저술 논문을 이용한 연구협력에 대한 공간적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6, pp.641-657, 2015.
- 전은혜, 이찬구,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 한국내 BT 분야 공동연구 활성화 정책 방향", 사회과학연구 vol.29, no.1, pp.85-109, 2018.
- 김용학, 윤정로, 조혜선, 김영진. "과학기술 공동연구의 연결망 구조", 한국사회학, vol.41, no.4, pp.68-103, 2007.
- Bozeman, B., H. Rimes, and J. Youtie, "The Evolving State-of-the-art in Technology Transfer Research:Revisiting the Contingent Effectiveness Model", Research Policy, vol.44, no.1, pp.34-49, 2015. https://doi.org/10.1016/j.respol.2014.06.008
- 전하성, 김상덕, 홍종의, "기술이전중개자 도출을 통한 기술이전 활성화 방법론 - Global MVP 연구단 사례".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7, pp.361-370, 2016.
- 권기석 외, 우리나라 산학협력 네트워크 분석기술이전 계약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2014.
- 손수정 외, 기술사업화 정책 20년의 진단과 새로운 전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0.
- https://www.academyinfo.go.kr/index.do
- https://scienceon.kisti.re.kr/main/mainForm.do
- https://www.wisdomain.com/About/Features
- https://plus.kipris.or.kr/portal/main.do
- https://www.ntis.go.kr/ThMain.do
- M. D. Santoro, "Success breeds success: The linkage between relationship intensity and tangible outcomes in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ve ventures", The Journal of High Technology Management Research, vol.11, no.2, pp.255-273, 2000.
- 김유영, 공저자 네트워크의 중심성이 연구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11.
- 이수상.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1, no.2 pp.297-315, 2010.
- 임병학, 전희주,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물류 공저자들의 협력 네트워크 구조 분석", 물류학회지, vol.21, no.2, pp.205-229, 2011.
- 이현익, 2020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0
- 최태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유형별 성과분석을 통한 전략적 연구관리 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07.
- 류영수,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측정 방법론 연구: 질 중심의 R&D 성과 지표 개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
- 최상선, 오인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술사업화 성공요인 분석 연구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해양정책연구, vol.32, no.1 pp.1-31, 2017. https://doi.org/10.35372/KMIOPR.2017.32.1.001
- 김이경 외, 2017년 산학연협력 스코어보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7.
- Raesfeld, A., Geurts, P., Jansen, M., Boshuizen, J., and Luttge, R., "Influence of partner diversity on collaborative public R&D project outcomes: A study of appl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nanotechnologies in the Netherland", Technovation, vol.32, no.3-4, pp.227-233, 2012. https://doi.org/10.1016/j.technovation.2011.12.001
- 김준혁, "공공 R&D의 기술이전이 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4, pp.1159-1191, 2017.
- 한지영, 기업의 관점에서 바라본 산학협력의 현황과 개선, 전국경제인연합회, 2010.
- 김종우, "산학협력 및 기술이전 촉진을 위한 텍스트마이닝과 사회 네트워크 분석 기반의 특허 분석 방법",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 22, no. 3, pp.1-28, 2017. https://doi.org/10.7838/JSEBS.2017.22.3.001
- 이길우,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기술이전.사업화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5.
- Hagedoorn, J., and Wang, N., "Is there complementarity or substitutability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D strategies?", Research Policy, vol.41, pp.1072-1083, 2012. https://doi.org/10.1016/j.respol.2012.02.012
- 홍지승, 양현봉, 홍석일, 중소기업의 산학협력실태 및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2006.
- L. McGowen, Predictors of cooperative research center post-graduation survival and success,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10.
- 정형식, 김영심, "중소기업의 산학협력 관계구축과 기술지식 및 시장지식 습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vol.18, no.4, pp.57-79, 2010.
- 정형식, "산학협력 기술개발에 있어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vol.14, no.3, pp.255-278., 2001.
- 윤용중⋅박대식, "대학의 산학협력 역량이 기술사업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vol.26, no.3, pp.157-177, 2015.
- 이창연, 김병근, "중소기업의 산⋅연 기술협력성과 영향 요인", 기술혁신학회지, vol.22, no.3, pp.416-445, 2019.
- 김미란, 서영인, 심우정, 김재효, 양오석, 산.학연계 강화를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 개선방안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