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Factors on Wage Gap of Workers in Logistics Industry -Focusing on Factors that don't directly affect Productivity-

물류산업 종사자의 임금격차에 관한 요인분석 -생산성에 직접적 영향을 주지 않는 요인을 대상으로-

  • 구경모 (동의대학교 유통물류학과)
  • Received : 2021.05.03
  • Accepted : 2021.07.04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wages of workers in the logistics industry an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employment and wages in the logistics industry. Based on this, it sought to find analytical factors on the wages of workers in the logistics industry and explain their impact on the wage gap. The analysis data were interpreted as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ver the past decade and the analysis data were set to three typ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uld be explained that three factors understood as wage discrimination factors that do not directly affect productivity generall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wage gap among workers in the logistics industry. Air and water transport industries received high salaries due to factors in the industry. The very low-paid sector for that was the land transport industry, and the courier industry as a detailed sector. Due to the nature of job factors, technicians and assistants received lower wages than other jobs. Due to the nature of the company's size factors, companies with 51 or more employees received higher wages than companies with 50 or less employees. In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multiple sources of ANOVA, the common 'industry × enterprise size' variable was explain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aps in wages for workers in the logistics industry. In addition, the comparison of the influence of the main effects of the three factors put into the analysis model shows that the industry has the most influ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물류산업 종사자의 급여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를 조사하고, 물류산업의 고용과 임금에 관련된 현황을 파악하는 것에 있다. 이에 기초하여 물류산업 종사자 임금에 미치는 분석요인을 찾고, 그것이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최근 10년간의 통계청 업종분류 자료를 횡단면자료로 해석하고 분석자료를 3가지로 세팅하였다. 분석 결과는 일반적으로 생산성에 직접적 영향을 주지 않는 임금차별적 요인으로서 이해한 업종, 기업규모, 직종의 3개 요인이 물류산업 종사자의 급여차이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업종 요인 속성으로 항공운송업과 수상운송업이 높은 급여를 받았다. 그에 대해 매우 낮은 급여를 받는 업종은 육상운송업이며, 세부업종으로서 택배업이었다. 직종 요인 속성으로 정비사및보조근무 직종은 타 직종에 비해 낮은 급여를 받았다. 기업규모 요인 속성으로 51인 이상의 기업규모가 50인 이하의 기업규모에 비해 높은 급여를 받았다. 다원 분산분석의 요인 간 효과 검정에서 공통적으로 '업종×기업규모' 변수는 물류산업 종사자 급여차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더불어 분석모형에 투입된 3개 요인의 주효과의 영향력을 비교한 결과, 업종이 가장 주된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동의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권덕희,정세은(2017), 외환위기 이후 제조업과 서비스업간 임금격차 추이와 원인 분석,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통권 31호.
  2. 권혜자외(2017), 물류산업 고용변동과 인력수요 전망, 한국고용정보원, 기본연구 2017-28.
  3.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2017), 비정규직 고용차별 개선의 과제와 제언, 경제사회 발전 노사정위원회.
  4. 김재덕,홍성욱,박근형,(2018), 글로벌 가치사슬 구조의 변화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 지역경제조사연구, 한국은행.
  5. 김재욱,정지웅(2016), 우리나라 기업의 자본구조와 인건비, 재무연구, 제29권 제4호.
  6. 김영준,손종칠(2015), 우리나라 기업 특성별 성장성 및 고용창출 효과 분석, 한국경제의 분석, 제21권 제2호, pp.183~242.
  7. 김형락, 이정민(2012), 주 40시간 근무제의 도입이 근로시간, 임금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 노동경제논집.
  8. 남재량(2007), 비정규 근로와 정규 근로의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노동경제논집, 제30권 제2호.
  9. 류장수외(2018)물류산업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인력야성의 고용효과, 한국노동연구원, 위탁연구보고서.
  10. 문영만(2010),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에 관한 실증분석, 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대학원 경제학과.
  11. 박기봉(2015), 인적자본기업패널 자료를 이용한 산업별 임금격차에 대한 증거, 산업경제연구, 제28권 제1호..
  12. 소애림,신승식(2019),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한 국내 운송업 고용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5권 제1호.
  13. 유진성(2017),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 추이분서과 요인 분해, KERI Insight 17-15, 한국경제연구원.
  14. 윤영삼(2018), 택배 업종 및 노동자 실태 및 현황과 과제, 택배노동자 원청 사용자성 인정과 권리 보장을 위한 국회 토론회 발제자료, 국회의원 박홍근. 2018년 11월 19일.
  15. 윤홍식(2010).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결정요인 분석, 석사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16. 이근희,표학길(2015), 기업동학, 자원재배분 및 노동생산성 결정요인, 한국경제의 분석, 제21권 제3호.
  17. 이상붕(2011), 경제 불평등 구조 분석: 계급, 지역 및 연령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45집 2호.
  18. 이종수(2016), 지역별 임금격차에 대한 고찰-수도권/비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본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19. 장승진(2011), 행복의 정치경제학, 한국정당학회보, 제10권 제2호.
  20. 조동현,권혁용(2014) 무엇이 한국인을 불행하게 만드는 가?: 소득불평등, 기회불평등, 그리고 행복의 균영구조, Oothtopia: 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pp.5-39.
  21. 조동훈(2010), 패널자료를 이용한 산업간 임금격차 분석, 산업관계연구, 제20권 제4호.
  22. 최민식(2006), 외국계 기업이 국내기업보다 실제로 임금을 더 많이 주는가? 노동경제논집, 제29권 제2호, pp.1~23.
  23. 한국은행, 부산 주요산업의 지역경제효과 및 경쟁력 강화방안, 한국은행 부산본부, 한국은행 연구자료집.
  24. 한국은행, 부산지역 주요 서비스업 기업특성과 일자리의 질, 한국은행 부산본부, 한국은행 연구자료집.
  25. 현대경제연구원(2018), 경제주평, 산업별 고용의 특징과 시사점, 18-16(통권 791호)
  26. 현대경제연구원(2017), VIP레포트, 4차 산업혁명 시대 물류산업의 미래, 17-34(통권 707호)
  27. Becker, G.S(1971), Human capital 2nd ed., Univ. of Chicage Press.
  28. Blanchflower et al.(2008), Is well-being U-shaped over the life cycle?, Social Science & Medicine, 66(8).
  29. Frey et al.(2000), Happiness, Economy and Institutions, The Economic Journal, v.110.
  30. Helliwell, J.F(2003), How's life? Combining individual and national variables to explain subjective Well-being, Economic Modelling, 20(2).
  31. Myers, D(2000), Hope and Happiness, Templeton Foundation Press.
  32. Oaxaca, R(1973), Male-female wage differentials in unrban labor markets,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14(3).
  33. Oishi, S et al.(2011), Income inequality and happiness, Pscyhological Science, 22(9).
  34. Schultz T.W(1961),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merican Economic Review, March.
  35. Veenhoven, R(1996), Development in satisfaction research, Social Indicators Research, 37(1).
  36.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http://www.moel.go.kr/index.do)
  37.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38. 한국은행 홈페이지 (http://www.bok.or.kr/portal/main/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