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Study on Archival Management in Civil Sector : The Establishment of Local Government Archives in 2021

민간기록관리와 아카이브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을 중심으로

  • 윤은하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Received : 2021.06.29
  • Accepted : 2021.07.13
  • Published : 2021.07.30

Abstrac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yeongnam provincial archives in 2018, the researches for establishing local archives has been steadily conducted by many other provincial or municipals. This paper focus on the cultural functions of local government archival institutions and critically examine the current status the establishment stages of local archival institu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hol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To do this, From 2017 to 2021, we collects the research reports which was written by the government institution conducting researches on the establishment of local archival repositories and analyzes the pros and cons of current establishment of local archives management.

현재 2018년 경남기록원 설립 이후 11개 광역시도에서 지방기록물 설립을 위한 기초연구들이 꾸준히 수행되고 있다.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은 2009년 그 설립 초기부터 아카이브의 문화적 기능을 강조했다. 2009년 처음 논의가 시작되고 12년이 흐른 현재, 과연 이와 같은 초기의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상은 실현되고 있는가. 지방기록물관리기관과 더불어 기록관리의 행정적 담론을 넘어 문화적 차원으로 나가고자 하는 시도는 지금 어떠한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는가. 본고는 국가기록관리 체계 내 민간기록관리에 대한 우리의 이상과 현실의 가늠자가 되고 있는 지점을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 간주하고, 민간기록관리의 관점에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현문제를 비판적으로 점검하고자 한다. 이에 2021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을 위해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등에서 수행한 연구보고서를 분석하고, 이러한 보고서에서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 특징과 한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전북대학교 연구기반 조성비 및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B8099507).

References

  1. 강원연구원 (2020). 강원기록원 설립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및 연구, 강원도.
  2. 경기연구원 (2019). 경기 천년 기록원 기본계획 수립보고서, 경기도.
  3. 광주전남연구원 (2019). 광주기록원 설립을 위한 연구, 광주시.
  4. 대구경북연구원 (2018). 대구기록원 설립을 위한 기초 연구, 대구시.
  5. 대전세종연구원 (2017).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 및 운영방안, 대전.
  6. 부산연구원 (2018). 부산기록원 설립 필요성 및 방향 설정 연구, 부산시.
  7. 아카이브웍스 (2020). 경상북도 기록원 걸립 추진을 위한 연구용역, 경상북도.
  8. 울산연구원 (2020).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 및 운영계획 연구, 울산시.
  9. 제주연구원 (2020). 제주기록원 설립 필요성 및 방향설정 연구, 제주도.
  10. 충북연구원 (2019). 충북기록원 설립을 위한 기초 연구, 충청북도.
  11. 충남연구원 (2018). 충청남도 기록원 건립 기초 연구, 충청남도.
  12. 한국지식산업연구원 (2020). 전라북도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 기본계획수립, 전라북도.
  13. 김영종, 이재호 (2009). 지방기록물 관리기관 설립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지방 기록물 생산량 및 보존량 추정과 인력수요량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11(2), 155-173.
  14. 김형국 (2004).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치와 관련된 제도적 검토. 영남학, 6, 135-157.
  15. 설문원 (2015). 로컬리티와 지방기록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51-171.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4.151
  16. 손동유 (2011). 지방의 역사기록관리 활성화 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28, 155-180. https://doi.org/10.20923/kjas.2011.28.155
  17. 안병우 (2004). 지방기록관 설립과 경기기록문화포럼의 활동. 영남학, 6, 159-190.
  18. 염수정 (2020). 지역기록화를 위한 지방기록물관리기관과 지역 공동체의 협력방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 석사학위 논문, 1-81.
  19. 오항녕 (2004). 지방기록보존소의 기능과 조직. 대전.충남 기록문화 발전을 위한 포럼, 53-62.
  20. 이영학 (2010). 기록문화와 지방자치. 기록학연구, 26, 1-30.
  21. 이영남 (2000).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과 운영, 기록보존, 13, 19-47.
  22. 이재호 (2020). 지방기록물 관리기관 설립을 위한 공공기록물 보존 대상 추정량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467-484.
  23. 이해준 (2001). 지역 기록물 관리기관 설립과 운영방향. 역사와 담론, 30, 177-200.
  24. 지수걸 (2009).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의 방향과 방법. 기록학연구, 21, 247-281. https://doi.org/10.20923/kjas.2009.21.247
  25. 홍성덕 (2004). 지방기록보존소와 지방사연구. 영남학, 6, 19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