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Terrain Transformation of the Fishing Industry in East Sea Rim: Impact of Entering Chinese Fishing Fleets into East Sea on the Fishery Production, Employment and Life Threat

환동해 어업의 지형 변화: 중국어선의 동해 진출이 어업생산과 고용 및 생존 위협에 미치는 영향

  • 최영진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 Received : 2021.01.18
  • Accepted : 2021.02.21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ace common threats from the depletion of fish resources, the decline of production and employment as well as the increase of life risk in East Sea Rim countries, North Korea, South Korea, Japan and Russia due to the Chinese fishing fleets entering East Sea. The recent competition in fishing among fishing vessels and fleets of national origin operating in the East Sea has induc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ecological landscape of the fishing fleets cluster while having influenced production and employment in the fishing industries of South Korea and Japan as well as life threat on the fishermen in North Korea. It seems that the population organizational ecological theory can be applied to this change. It can be seen as the isomorphism of the selection process over the exclusive economic zone (EEZ) to avoid the environment in which these North Korean fishing vessels are pushed against the Chinese fleet in the North Korean part of the East Sea. To resolve the fishery disputes or conflict in the common waters in East Sea, first of all, Chinese fishing fleets will be required to put international pressure so as to solve the unfairness of the illegal fishing and overfishing by the International Fishery Organization or the UN violations of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elling fishing rights to China. Although it is not easy for South Korea to cooperate with North Korea in the short term, South Korea will be able to support the fishery infrastructure in North Korea in the mid- to the long-term to prevent the loss of innocent lives for their fishermen and to raise their incomes.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11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1-362-H00001).

References

  1. 구민교 (2011), "지속가능한 동북아시아 해양질서의 모색", 국제.지역연구, 20 (2), 1-36.
  2. 구민교 (2019), "한반도 평화체제 이후 남북한 해양협력 방안: 수산업, 해운업, 해상유전 공동개발을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연구, 11 (3), 1-16.
  3. 김대영 (2018), "동북아 수역의 신 어업질서 성립과 향후 과제", 해양정책연구, 33 (2), 57-82.
  4. 김병섭 (2019), "Michael T. Hannan과 John H. Freeman의 조직군 생태이론", 오석홍.손태원.이창길 편저, 조직학의 주요 이론, 법문사, 427-433.
  5. 김하영 (2013), "동해 해양질서의 특징과 수산자원 관리의 한계", 한국정치연구, 22 (2), 101-124.
  6. 양원규.김광주.정우열 (2012), 조직이론 제대로 알기, 대왕사.
  7. 오석홍 (2020), 조직이론, 박영사.
  8. 윤승완.채희준 (2017), 강원지역의 어업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은행 강릉본부.
  9. 원석범 (2018), "러시아 연해주 수산업 발전 전망 및 한국과의 협력 방안 모색", 시베리아연구, 22 (2), 91-116.
  10. 이우도.김남수.이진수 (2017), "동북아 어장에서의 어업분쟁 해결 사례를 통한 국제법 적용 방안", 수산경영론집, 48 (3), 15-32. https://doi.org/10.12939/fba.2017.48.3.015
  11. 이정삼 (2019), "연근해 어업 동향과 전망", KMI 동향분석, 106.
  12. 전주람.곽상인 (2021), 절박한 삶, 글항아리.
  13. 정명화.이상건 (2017), "수산산업에 대한 UN 대북제재 결의 2371호의 영향", KMI 동향분석, 42.
  14. 조윤수 (2015), "한일어업협정과 해양경계 획정 50년", 일본비평, 12, 102-133.
  15. 조정희 외 4인 (2016), 중국어선 북한수역조업 피해조사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6. Bermudez, J. and DuMond, M. (2018), "North Korean Strategic Fisheries Development Persists in Spite of Sanctions," Beyond Parallel,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Sep. 19.
  17. Hannan, M. and Freeman, J. (1989), Organizational ecolog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8. Kim, H. J. (2018), "Governing Fishing Stocks in Northeast Asia's Disputed Waters: Preventing a 'Tradegy of the Common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arine and Coastal Law, 495-527. https://doi.org/10.1163/157180811X592101
  19. Lawrence, P. and Lorsch, J. (1989),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Managing difference and integr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 Park, J. Y. et al. (2020), "Illuminating dark fishing fleets in North Korea," Science Advances, 6, 1-7.
  21. 日本 水産庁.海洋水産資源開発センター (1992), 沖合漁場総合整備開発基礎調査日本海大和堆海域報告書, 1-125.
  22. 銭谷 弘 (2016), "日本海の漁業資源(総説)," 平成 27年度国際漁業資源の現況, 日本 水産庁.水産総合研究センタ.
  23. 長沼 光亮 (2000), "生物の生息環境としての日本海". 日水研報告, 50, 1-42.
  24. 日本 海上保安庁 (2019), "特集 増大する危機に立ち向かう", 海上保安庁レポート.
  25. 中国统计局 (2018), 2017中国渔业统计年鉴.
  26. 김대호, "오징어 어획량 4분의 1토막...중국서 수입 오징어는 15배 증가", 매일신문. 2019.11.21.
  27. 김동현, "일본 '퇴거 경고한 북한어선 올해 1천308척'...전문가 '더 심해질 것'", Voice of America. 2019.12.31.
  28. 김성권, "중국어선 200여척 울릉도 또 온다...군부대 주관 경계강화 대책회의등 대응책 분주". 헤럴드경제. 2020.12.13.
  29. 김종배, "오징어 따라 NLL 넘은 北어선 급증...軍 긴장 고조", 연합뉴스TV. 2019.7.7.
  30. 김진우, "끊이지 않는 북한 어선의 일본 표류...북한인 추정 시신 7구 발견", 경향신문. 2019.12.29.
  31. 노정민, "코로나로 일 해상 출물 북 어선도 자취 감춰", 자유아시아방송. 2020.10.09.
  32. 데일리NK 특별취재팀, "목숨을 건 북한 어로전투: 누가 그들을 바다로 내몰았나", 데일리NK. 2018.7.6.
  33. 데일리NK 특별취재팀, "목숨을 건 북한 어로전투: 누가 그들을 바다로 내몰았나", 데일리NK. 2018.7.20.
  34. 데일리NK 특별취재팀, "北어민 희생 막을 책임 우리 모두에게 있다", 데일리NK. 2018.7.25.
  35. 문동희, "中어선, '코로나 사태' 노린다...조업 통제에 北어장 싹쓸이", 데일리NK. 2020.5.26.
  36. 박세인, "한.일.북.러 만나는 대화퇴, 조업 싸고 마찰 잦은 '황금어장'", 한국일보. 2019.10.7.
  37. 박은성, "대화퇴 해역 한일 선박 충돌..."승선원 13명 전원 구조", 한국일보. 2018.11.14.
  38. 박태우, "[극동러시아에 답 있다] 4. 변화하는 한국.러시아 수산협력", 부산일보. 2019.11.26.
  39. 엄남석, "북한 수역서 활개치는 중국 '검은 선단' 과학 앞에 실체 드러내", 연합뉴스. 2020.7.23.
  40. 오주한, "북한-러시아, 어업 협정 체결...불법조업도 논의", NK뉴스. 2016.5.24.
  41. 유정환, "'중국 남획 손놓고 대형트럴만 단속'어민 반발", 국제신문. 2020.1.20.
  42. 윤신영, "中어선, 동해 북한 수역서 오징어 5,200억원어치 잡아들였다", 동아일보. 2020.7.24.
  43. 이경하, "러, 북 불법 오징어잡이 선장에 벌금형 선고", 자유아시아방송. 2020.6.8.
  44. 이경하, "러, 불법조업 단속원 폭행 북선원에 징역 4년 선고", 자유아시아방송. 2020.7.7.
  45. 이인모 외 2인, "독도인근 '대화퇴'에서 벌어지는 남북한-日-러 전쟁", 동아일보. 2019.8.17.
  46. 정면구, "코로나19 여파 '러시아 원정 출어' 차질...조업 포기 검토", KBS뉴스, 2020.6.26.
  47. 조영삼, "<독도이야기>북한은덕 어장上", 경상매일신문. 2019.3.5.
  48. 최선영, "북한 선원 14명, 러시아 국경수비대 폭행 협의로 기소", 연합뉴스. 2020.8.14.
  49. 해양수산부, "올해 러시아 수역 어획 할당량, 최근 5년 내 최대치 확보", 2020.2.20.
  50. 홍알벗, "러, 지난해 불법조업 북 어부 3천7백여 명 구금", 자유아시아방송. 2020.5.28.
  51. "러시아 '불법 조업' 북한어선 3척 나포", Voice of America. 2019.11.25.
  52. [사설] "한일 새 어업 협정의 문제점", 중앙일보. 1998.9.26.
  53. "이젠 동해까지 위협...불법조업 중국어선 첫 나포", KBS News. 2018.12.12.
  54. "중국어선 검문했더니...'북한수역 갑니다'", KBS News. 2020.6.4.
  55. "중국어선, 9월 들어 북한수역서 불법조업 재개", NK뉴스, 2020.9.10.
  56. "한.러 어업위원회 열려...오징어 어획량 증가 기대", KBS World Radio. 2019.4.19.
  57. "Japan Releases Video of N. Korean Fishing Boat Collision", Jiji Press, October 19, 2019.
  58.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접속일; 2020.9.10.[https://www.nifs.go.kr/frcenter/species/?_p=species_view&mf_tax_id=MF0001820]
  59. [영상뉴스] 생사(生死)와 오징어 '절박한 삶' 저자 인터뷰, 접속일; 2021.2.18. [https://www.youtube.com/watch?v=GyxvzQwzzdM],
  60. 해양수산부 통계시스템, 접속일; 2020.8.20. [http://www.mof.go.kr/statPortal/cate/statView.do]
  61. Park, J. Y. (2021) "A 2020 Analysis: Detecting the Dark Fleets in North Korea and Russia", https://globalfishingwatch.org/fisheries/2020-analysis-dark-fleets/ (Search: January 29, 2021).
  62. 日本農林水産省, 접속일; 2020.8.9. [https://www.maff.go.jp/j/tokei/kouhyou/kaimen_gyosei/index.html].
  63. 日本農林水産省-國勢凋謝, 접속일: 2020.8.15. https://www.maff.go.jp/j/tokei/census/shuraku_data/2015/sb/.
  64. 日本 水産庁, "日ロ地先沖合漁業交渉の結果 (「日ロ漁業委員会第36回会議」 の結果) について 令和元年 (2019) 12月 9日.[https://www.jfa.maff.go.jp/j/press/kokusai/191209.html].접속일; 2020.8.8.
  65. 日本 外務省, "「日ソ地先沖合漁業協定」に基づく日ロ漁業委員会第36回会議 (結果)", 접속일; 2020.9.28. [https://www.mofa.go.jp/mofaj/press/release/press4_008121.html].
  66. Google Earth Pro, 북한 청진항, 접속일; 202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