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Acceptance and Use of New Technologies in the Metaverse Era :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B2C Context and B2B Context

Metaverse 시대의 신기술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B2C 맥락과 B2B 맥락의 차이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1.10.13
  • Accepted : 2021.12.15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ogresses, new technologies and services are being born, growing, and maturing. Now, beyond the mobile era, the metaverse is being discussed as a new paradigm. Therefore, in this study, in preparation for the metaverse era, we tried to analyze what factors have an important influence when consumers want to use new technologies. In particular,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how the context in which consumers use the technology change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B2C or B2B. For this, augmented reality (AR) was selected in the B2C context by linking the research subject with the metaverse era, and the smart factory was selected in the B2B context. The research model for the analysis was established by deriving and setting common influence variable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target technology based on the modified 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A survey was conducted for empirical analysis, and 150 AR and 150 smart factory subjects were analyzed. The empirical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expectancy and intention to use, technology readiness and intention to us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oth AR and smart factor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trust had a positive (+) effect on intention to use only in AR. Only in smart factory, facilitating condition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tention to use. It was also found that the perceived risk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only in the smart fac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we empirically test that influencing factors of technology use varies depending on the context in which it is used by consumers. In practice, it provided an implication of what to focus on first is being implemented.

4차산업혁명이 진전되면서 새로운 기술이나 서비스들이 탄생, 성장, 성숙해 가고 있다. 이제는 모바일 시대를 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metaverse에 대한 논의가 진행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시대를 대비하여 새로운 기술을 소비자들이 사용하고자 할 때 어떠한 요인들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했다. 특히 소비자들이 해당 기술을 사용하는 맥락이 B2C인지 B2B인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을 메타버스 시대와 연계해서 B2C 맥락에서는 증강 현실(AR)을 선정하였고, B2B 맥락에서는 스마트 팩토리를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한 연구 모형은 수정 확장된 통합기술 수용이론(Meta-UTAUT)을 기반으로 연구 대상 기술의 특성을 반영하여 공통의 영향 변인을 도출하여 설정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AR 사용자 150명, 스마트 팩토리 사용자 150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실증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과기대와 사용 의도, 기술 준비도와 사용 의도 간의 관계는 AR과 스마트 팩토리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력 기대, 사회적 영향, 신뢰성은 AR에 있어서만 사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팩토리에서만 사용 지원이 사용 의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인지된 위험 역시 스마트 팩토리에서만 사용 의도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술적으로는 새로운 기술의 사용도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맥락에 따라 영향 요인이 달라진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정 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공하는 기술이나 서비스가 어떠한 맥락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해서 무엇에 우선적으로 집중해야 할 지를 제시한 점에서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봉, 정병규(2019), "AR과 드론의 기술수용 비교분석,"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6(4), 30-41.
  2. 김기웅(2016), 중소기업의 사물인터넷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정래, 이상직(2020), "스마트팩토리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7(1), 75-95. https://doi.org/10.21219/jitam.2020.27.1.075
  4. 김현규(2019), "스마트 팩토리의 지속사용의도와 전환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4(2), 65-80. https://doi.org/10.9723/JKSIIS.2019.24.2.065
  5. 오주환, 서진희, 김지대(2019), "종업원 기술수용태도와 기술 사용용이성이 스마트 공장 기술 도입수준과 제조 성과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6(2), 13-26.
  6. 이예림(2019),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준비도가 기술수용성과 기업경쟁력 기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기업가적 지향성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중심으로," 무역연구, 15(4), 465-481.
  7. 이용규, 박찬권, 서영복(2020), "중소기업의 스마트 팩토리 수용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 통합기술수용모형 (UTAUT)을 중심으로," 기업경영연구, 27(5), 157-182.
  8. 이종근, 길종구(2021),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이 스마트 팩토리 도입의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최고경영자 태도의 조절효과," 경영컨설팅연구, 21(3), 61-84.
  9. 정병규(2019), "증강현실 기술수용에 있어서 신뢰성의 역할," 벤처혁신연구, 2(2), 1-20. https://doi.org/10.22788/2.2.1
  10. 정병규, 동학림(2019),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AR)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벤처창업연구, 14(3), 153-168.
  11. 정병규(2021a), "Digital Native의 4차산업혁명 기술수용 영향 요인: FinTech 및 AR(증강현실) 기술을 중심으로," 벤처혁신연구, 4(2), 77-95. https://doi.org/10.22788/4.2.6
  12. 정병규(2021b),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메타버스 비즈니스 플랫폼," 강일모외, 메타버스를 타다, 브레인플랫폼, 125-145.
  13. 조성희,김칠순(2019), "UTAUT 모델을 응용한 패션 증강현실(FAR) 기술수용에 관한 한국 20대 여성의 소비자 태도, 기술 사용의도 및 구매의도,"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3(1), 125-137. https://doi.org/10.5850/JKSCT.2019.43.1.125
  14. 조철호(2017), SPSS/AMOS 활용 구조방정식모형 논문 통계분석, 도서출판청람, 서울
  15. 중소벤처기업부. 8개관계부처 합동(2018),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16. Lin, D., C. K. M. Lee, H. Lau and Y. Yang(2018), "Strategic Response to Industry 4.0: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Chinese Automotive Industry,"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118(3), 589-605. https://doi.org/10.1108/IMDS-09-2017-0403
  17. Mutterlein, J., R. E. Kunz, and D. Baier(2019), "Effects of Lead-Usership on the Acceptance of Media Innovation : A Mobile Augmented Reality Case,"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145, 113-124.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9.04.019
  18. Nizar, N. N. M., M. K. Rahmat, S. Z. Maaruf, and S. M. Damio(2019), "Examining the Use Behaviour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rough MARLCardio: Adapting the UTAUT Model," Asian Journal of University Education, 15(3), 198-210. https://doi.org/10.24191/ajue.v15i3.7799
  19. Paulo, M. M., P. Rita, T. Oliveira, and S. Moro(2018), "Understanding Mobile Augmented Reality Adoption in a Consumer Context,"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Technology, 9(2), 142-157. https://doi.org/10.1108/JHTT-01-2017-0006
  20. Porter, M. E., and J. E. Heppelmann(2017), "Why Every Organization Needs an Augmented Reality Strategy," Harvard Business Review, 95(6), 46-57.
  21. Rodrigues, J. M. F., C. M. Q.. Ramos, J. A. R. Pereira, J. D. P. Sardo, and P. J. S. Cardoso(2019), "Mobile Five Senses Augmented Reality System : Technology Acceptance Study," Digital Object Identifier 10.1109/ACCESS.2019.2953003
  22. Venkatesh, V., M. G. Morris, G. B. Davis, and F. D. Davis(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https://doi.org/10.2307/30036540
  23. Dwivedi, Y. K., N. P. Rana, K. Tamilmani and R. Raman(2020), "A Meta-analysis based Modifi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eta-UTAUT): A Review of Emerging Literature," Current Opinion in Psychology, 36, 13-18. https://doi.org/10.1016/j.copsyc.2020.03.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