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ucture and expression of legal principl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awyers

인공지능 변호사를 위한 법리의 구조화와 그 표현

  • Received : 2021.06.03
  • Accepted : 2021.06.28
  • Published : 2021.06.30

Abstract

In order to implement an artificial intelligence lawyer, this study looked at how to structure legal principles, and then gave specific examples of how structured legal principles can be expressed in predicate logic. While previous studies suggested a method of introducing predicate logic for the reasoning engine of artificial intelligence lawy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method of expressing legal principles with predicate logic based on the structural appearance of legal principles. Jurisprudence was limited to the content of articles and precedents, and the vertical hierarchy leading to 'law facts - legal requirements - legal effect' and the horizontal hierarchy leading to 'legal effect - defense - defense' were examined. In addition, legal facts were classified and explained that most of the legal facts can be usually expressed in unary or binary predicates. In future research, we plan to program the legal principle expressed in predicate logic and realize an inference engin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awyers.

본 연구는 한국형 인공지능 변호사를 구현하기 위하여, 법리를 어떻게 구조화 할 수 있는지 살펴본 후, 구조화된 법리를 술어논리로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보았다. 선행연구에서 인공지능 변호사의 추론엔진을 위해서 술어논리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법리의 구조적 외형을 토대로 술어논리로 법리를 표현하는 방식에 관하여 초점을 맞추었다. 법리를 조문과 판례의 내용으로 한정하고, '법률사실-법률요건-법률효과'로 이어지는 수직적 계층과 '법률효과-항변-재항변'으로 이어지는 수평적 계층을 살펴보았다. 또한 법률사실을 분류하고 법률사실의 대부분이 통상 일항술어 내지 이항술어로 표현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사건, 상대방 없는 단독행위, 법적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일항술어를 사용하였고, 관념적 용태, 위법행위, 의사적 용태, 상대방 있는 단독행위, 계약, 동시이행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이항술어를 사용하였다. 대여금채권에 관한 요건사실과 항변을 술어논리로 표현해 보았으며, 전통적인 주제인 법정지상권에 관하여 관습상 법정지상권과 저당권 실행에 따른 법정지상권으로 나누어 관련 법리를 표현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술어논리로 표현된 법리를 프로그래밍해보고 인공지능 변호사를 위한 추론엔진을 현실화할 계획에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봉철(2020). 법률상담 챗봇 정책을 위한 법률요건의 퍼지화 - 토지임차인의 건물매수청구권을 중심으로. 일감부동산법학 제21호, pp. 231-262. https://doi.org/10.35148/ILSIRE.2020..21.231
  2. 박봉철(2020). 인공지능 변호사를 위한 술어논리 기반 추론엔진. 제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 변화에 따른 법적 이슈(발표논문집),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공동학술대회, pp. 41-54.
  3. 양종모(2020). 인공지능 챗봇 알고리즘에 대한 몇 가지 법적 고찰. 홍익법학. 21(1), pp. 449-482.
  4. 양종모(2018). 인공지능에 의한 판사의 대체 가능성 고찰. 홍익법학, 19(1), pp. 1-29. https://doi.org/10.16960/JHLR.19.1.201802.1
  5. 양종모(2016). 인공지능을 이용한 법률전문가 시스템의 동향 및 구상. 법학연구, 19(2), pp. 213-242.
  6. 오병철(2017). 인공지능 로봇에 의한 손해의 불법행위책임. 법학연구. 27(4), pp. 157-231.
  7. 사법연수원(2021). 요건사실론. 서울: 사법연수원
  8. 송덕수(2018). 민법전의 용어와 문장구조. 서울: 박영사
  9. 지원림(2020). 민법강의(제17판). 서울: 홍문사.
  10. 지원림(2021). 민법판례. 서울: 박영사.
  11. Gupta & G.Nagpal(2020).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pert Systems. Mercury Learning and Information.
  12. K. Satoh et al., "Interactive System for Arranging Issues based on PROLEG in Civil Litigation", In the Proc. of the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aw, ACM, 2021.
  13. R. Hamdani et al., "A Combined Rule-Based and Machine Learning Approach for Automated GDPR Compliance Checking", In the Proc. of the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aw, ACM,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