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부 (2021). 2021 특수교육통계. Retrieved from http://www.nise.go.kr/ebook/site/20210803_092644/
- 구본용, 김영미 (2014). 중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1(7), 275-306.
- 김달효 (2020). 학교장의 민주적 리더십이 학교풍토, 교사협력, 교사사기,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6(4), 79-92. https://doi.org/10.24159/JOEC.2020.26.4.79
- 김상돈, 김현진 (2013). 임파워먼트와 교직헌신을 매개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이중매개효과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0(4), 95-122.
- 김아영, 김민정 (2002).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6(3), 5-29.
- 김영한, 서영, 강소영, 구현진, 권수정 (2014). 특수학급 교사의 임파워먼트, 소진 및 교직적응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3(4), 375-392.
- 김영한, 추경진 (2010).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특수아동교육연구, 12(4), 413-432.
- 김은라, 박재국 (2017).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직무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0(4), 47-68.
- 김은주, 김은라 (2017). 초등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교풍토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7(4), 345-363. https://doi.org/10.21024/PNUEDI.27.4.201712.345
- 김자경, 강영심, 안성우, 박재국 (2006). 특수학급교사의 탈진감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41(3), 321-334.
- 김자경, 강혜진 (2020). 특수교사의 학생 문제 행동 지각과 심리적 소진 간 관계. 특수교육논총, 36(3), 1-20.
- 김재엽, 장대연, 배성훈, 서대민 (2020). 군 초급간부의 부대 내 관계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5(3), 253-270.
- 김정휘 (1991).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신체적 증상 또는 탈진과의 관계: A형 성격과 사회적 지원의 완충 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태성, 허찬영 (2012).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KTX 승무서비스 종사자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5(9), 3761-3780.
- 김현진, 전용관 (2011). 학교조직풍토와 교사 효능감을 매개로 학교장의 과업지도성과 인화지도성이 교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8(3), 79-99.
- 김희경, 지현순, 류은경, 이현주, 연승은, 전미경, 김희정 (2004).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임상간호연구, 10(2), 7-18.
- 남택영, 김헌형 (2009). 호텔종사원의 소진현상이 서비스제공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0), 368-377. https://doi.org/10.5392/JKCA.2009.9.10.368
- 노종희 (1990). 학교조직풍토의 개념화 및 측정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28(2), 67-80.
- 문영주 (2018).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교장의 수업지도성 인식이 교사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장공모제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4(1), 373-397.
- 박경옥, 김지연 (2021). 유.초.중등 특수교사의 감정노동, 심리적 소진, 교수효능감, 사회적 지지의 잠재평균분석.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22(1), 79-107.
- 박미화 (2016).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9(3), 109-128.
- 방제철, 표윤희 (2016). 특수학교장의 수업지도성, 학교풍토, 교사효능감, 수업전문성에 대한 지각과 영향 관계. 특수교육, 15(2), 31-55.
- 배옥경, 김자경, 강혜진 (2013). 특수교사의 소진,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5(2), 147-169. https://doi.org/10.21075/KACSN.2013.15.2.147
- 서미옥 (2017). 초 중등 교사들의 소진과 개인 내적 요인, 직무요인 및 사회적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31(4), 615-637
- 서석림 (1995). 내외통제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특수교사의 소진 (燒盡) 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신승인, 최은수 (2018). 중등학교장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 조직 내 의사소통, 학습 조직문화, 교사의 교수역량 및 교사학습 공동체 활성화 수준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5(4), 41-70.
- 심덕섭, 최지호, 양동민, 문연희 (2011). 집단 내 갈등(관계갈등과 과업갈등)의 개념 구성과 인과 경로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4(3), 1287-1307.
- 안우환, 권민석, 신재한 (2006). 교장의 미시 정치적 결합기제와 교사의 대응방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4(1), 51-68.
- 엄문영, 길혜지, 이재열, 황정훈, 서재영 (2020).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한 개방적 학교풍토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8, 197-225.
- 오찬교, 정진자, 이예다나 (2019). 특수교사의 임파워먼트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몰입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특수교육, 18(3), 83-109.
- 오혜정 (2014).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특수교육, 13(1), 273-295.
- 윤경미, 윤혜미 (2015).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정서성, 건강상태 및 조직 건강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503-528.
- 윤민희 (2020). 사회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풍토의 개방성이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경은, 신효정 (2017).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 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교사 기본심리욕구와 일터영성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9(1), 57-74.
- 이경화, 정혜영 (2009). 학교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 수산해양교육연구, 21(1), 121-133.
- 이광림, 이미숙 (2019). 중학교 일반학교 특수 교사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Q방법론적 접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20(1), 65-87.
- 이상은, 조원일 (2009).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들의 직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10(2), 1-32.
- 이영만 (2016). 교사의 심리적 소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교사교육연구, 55(4), 441-459.
- 이주영, 유재경 (2020). 교사학습공동체 풍토와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 교사소진의 구조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7(1), 109-134. https://doi.org/10.24211/TJKTE.2020.37.1.109
- 이현호, 홍지영 (2018). 학교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와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9(2), 173-194. https://doi.org/10.15703/KJC.19.2.201804.173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법률 제17494호, 2020. 10. 20. 일부개정).
- 정미경, 주영효, 정바울 (2013). 교사 업무경감 정책의 단위학교 추진 실태. 한국교원교육연구, 30(3), 377-404.
- 정수경 (2017). 교사가 지각한 학교 조직문화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및 교직 헌신.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조민아, 이정화, 송소원, 장석진 (2010). 교사의 발달 단계에 따른 교사 효능감, 적응 유연성, 심리적 소진의 차이. 교원교육, 26(1), 93-111.
- 조인수, 김영학 (2013). 지적장애 특수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에 따른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 특수아동교육연구, 15(1), 109-128.
- 주영효, 정주영 (2020). 중등교사의 교직만족도 영향 요인 및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6(2), 309-333.
- 최석봉, 정미영, 문재승 (2013).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갈등 및 과업갈등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0(2), 193-214.
- 최원석, 길혜지 (2019). 중등교사의 수업개선 노력이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 풍토 유형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5), 472-483. https://doi.org/10.5392/JKCA.2019.19.05.472
- 최태진 (2014). 교사 소진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과 집단적 자기존중감의 영향 비교. 수산해양교육연구, 26(3), 510-524. https://doi.org/10.13000/JFMSE.2014.26.3.510
- 최항석 (2012). 팀 구성원의 과업갈등이 팀 몰입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5(2), 1019-1039.
- 허병기 (2008). 교육조직의 문화적 리더십이 갖는 예술성. 교육행정연구, 26(4), 489-507.
- 홍우림 (2015).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8(3), 255-280.
- 황순영, 강영심 (2007). 특수교사 임파워먼트 척도 타당화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9(1), 223-239.
- 황연우 (2016).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종합연구, 14(1), 195-224.
- Akaike, H. (1987). Factor analysis and AIC. Psychometrika, 52, 317-332. https://doi.org/10.1007/BF02294359
- Anderson, C. S. (1982). The search for school climate: A review of the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3), 368-420. https://doi.org/10.3102/00346543052003368
- Armon, G., Melamed, S., Shirom, A., & Shapira, I. (2010). Elevated burnout predicts the onset of musculoskeletal pain among apparently healthy employe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5(4), 399-408. https://doi.org/10.1037/a0020726
- Asparouhov, T., & Muthen, B. (2014). Auxiliary variables in mixture modeling: Three-step approaches using Mplu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21(3), 329-341. https://doi.org/10.1080/10705511.2014.915181
- Ballet, K., & Kelchtermans, G. (2008). Workload and willingness to change: Disentangling the experience of intensifica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40(1), 47-67 https://doi.org/10.1080/00220270701516463
- Berlin, K. S., Williams, N. A., & Parra, G. R. (2014). An introduction to latent variable mixture modeling (part1): Overview and cross-sectional latent clas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39(2), 174-187. https://doi.org/10.1093/jpepsy/jst084
- Bottiani, J. H., Bradshaw, C. P., & Mendelson, T. (2014). Promoting an equitable and supportive school climate in high schools: The role of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staff burnou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52(6), 567-582. https://doi.org/10.1016/j.jsp.2014.09.003
- Bradshaw, C. P., Koth, C. W., Bevans, K. B., Ialongo, N., & Leaf, P. J. (2008). The impact of school-wide positive behvioral interventions and supports (PBIS) o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elementary schools.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3(4), 462-473. https://doi.org/10.1037/a0012883
- Brunsting, N. C., Sreckovic, M. A., & Lane, K. L. (2014). Special education teacher burnout: A synthesis of research from 1979 to 2013. Edu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37(4), 681-711. https://doi.org/10.1353/etc.2014.0032
- Capp, G., Astor, R. A., & Gilreath, T. D. (2021). Exploring Patterns of Positive and Negative School Climate Experiences among Staff Members in California. Journal of School Violence, 20(2), 153-166. https://doi.org/10.1080/15388220.2020.1862673
- Caruso, A. L., Giammanco, M. D., & Gitto, L. (2014). Burnout experience among teachers: a case study. Mediterran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3). 1-20.
-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 Grayson, J. L., & Alvarez, H. K. (2008). School climate factors relating to teacher burnout: A mediator model.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5), 1349-1363. https://doi.org/10.1016/j.tate.2007.06.005
- Hakanen, J. J., Bakker, A. B., & Schaufeli, W. B. (2006). Burnout and work engagement among teacher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3(6), 495-513. https://doi.org/10.1016/j.jsp.2005.11.001
- Halpin, A. W., & Croft, D. B. (1963).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school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 Hoy, W. K., & Miskel, C. G. (2008). The school as a social system.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8th ed (pp. 2-23). Boston, MA: McGraw Hill.
- Jehn, K. A., & Mannix, E. (2001). The dynamic nature of conflict: A longitudinal study of intragroup conflict and group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 238-251. https://doi.org/10.2307/3069453
- Karasek, R. A. (1979).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4(2), 285-308. https://doi.org/10.2307/2392498
- Lavian, R. H. (2012).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burnout among homeroom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ull classes/individual pupils) in mainstream schools. Teachers and Teaching, 18(2), 233-247. https://doi.org/10.1080/13540602.2012.632272
- Lo, Y., Mendell, N., & Rubin, D. (2001).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8, 767-778.
- Malinen, O.-P., & Savolainen, H. (2016). The effect of perceived school climate and teacher efficacy in behavior management on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A longitudinal stud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60, 144-152. https://doi.org/10.1016/j.tate.2016.08.012
- Maslach, C., & Jackson, S.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 99-113. https://doi.org/10.1002/job.4030020205
- McCrae, J. S., Champman, M. V., & Christ, S. L. (2006) Profile of children investigated for sexual abuse: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symptoms and service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76(4), 468-481. https://doi.org/10.1037/0002-9432.76.4.468
- McLachlan, G., & Peel, D. (2000). Finite mixture models. New York: John Wiley.
- Meyer, J. P., Stanley, L. J., & Vandenberg, R. J. (2013).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the study of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23(2), 190-202. https://doi.org/10.1016/j.hrmr.2012.07.007
- Muthen, B. O. (2004). Latent variable analysis. In D. Kaplan (Ed.), Handbook of quantitative methodology for the social science (pp. 345-368). Thousand Oaks, CA: Sage.
- Muthen, L. K., & Muthen, B. O. (2006). Mplus, Los Angeles, CA: Muthen, & Muthen.
- Nylund, K. L., Asparouhov, T., & Muthen, B. O. (2007).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Structure Equation Modeling, 14, 535-569. https://doi.org/10.1080/10705510701575396
- Park, E. Y., & Shin, M. (2020). A meta-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urnout. SAGE Open, 10(2), 2158244020918297.
- Pastor, D. A., Barron, K. E., Miller, B. J., & Davis, S. L. (2007).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2(1), 8-47. https://doi.org/10.1016/j.cedpsych.2006.10.003
- Platsidou, M. (2010).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of Greek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relation to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31(1), 60-76. https://doi.org/10.1177/0143034309360436
- Rohatgi, A., & Scherer, R. (2020). Identifying profiles of students' school climate perceptions using PISA 2015 data. Large-scale Assessments in Education, 8(1), 1-25. https://doi.org/10.1186/s40536-020-0079-0
- Schwarz, G. (1978).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Annals of Statistics, 6, 461-464. https://doi.org/10.1214/aos/1176344136
- Sclove, L. (1987). Application of model-selection criteria to some problems in multivariate analysis. Psychometrika, 52, 333-343. https://doi.org/10.1007/BF02294360
- Siegrist, J. (1996). Adverse health effects of high-effort/low-reward condi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1), 27-41. https://doi.org/10.1037/1076-8998.1.1.27
-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Newbury Park, CA: Sage.
- Yao, X., Yao, M., Zong, X., Li, Y., Li, X., Guo, F., & Cui, G. (2015). How school climate influences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labor.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2(10), 12505-12517. https://doi.org/10.3390/ijerph121012505